사회경제사학과 실증사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社會經濟史學
1. 社會經濟史學의 성립
2. 唯物史觀
3. 白南雲과 《朝鮮社會經濟史》
4. 社會經濟史學의 의의와 한계

Ⅲ. 實證史學
1. 성립과 전개과정
2. 李丙燾와 實證史學
3. 實證史學의 의의와 한계

Ⅳ. 마치며

본문내용

學者들은 해방 후 대학의 강단에 진출함으로 그 후 한국역사학의 주류를 형성하게 되었다.
3. 實證史學의 의의와 한계
이병도는 신채호, 정인보 등 민족주의 사학 계열에 대해서 계몽기의 역사학으로 비판하였다. 근대 역사학의 시작은 實證主義 史學 계열로 생각하여 나름대로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역사학이 민중을 선도하고 계몽하는 차원이 아니라 순수학문으로 생각하였던 것이다.
이런 주장에 대해서 정인보나 社會經濟主義 사학자들은 이병도를 비판하였는데, 이청원은 진단학보 4권에서
"그러나 그와 동시에 좋지 못한 결과도 산출하였다는 것을 조금도 숨겨서는 아니된다. " 사회적 운행을 초월한 순수사유’니 ‘순수한 개인의 자기사상’이니 하는 따위의 ‘늘 점진적으로’라는 기분좋은 선율(멜로틱)에 나아가는 관념적 사관으로 이 나라의 젊은 연구자들에게 소화불량의 결과를 주었다는 것이 즉 그것이다".
이청원은 實證主義 史學의 문제점을 정확하게 지적하였다. 즉, 實證主義 史學의 한계는 사관의 부재에서 나왔던 것이다. 더욱이 시대적 상황은 역사학의 역할이 강조되는 시기였다. 일제 시대에 역사를 통해서 조선 민중에게 용기와 희망을 주고 깨달음을 주어야 할 시점에서 實證主義 史學者들은 대부분 방관론자 입장이었다.
너무나 순수하게 역사를 봤다는 것이 그들에게 문제가 된 것이다. 결국, 實證主義 史學者들은 출발부터 명확히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런 비판과 부정적 인식에도 불구하고 실증주의 사학은 구체적 연구방법, 철저한 문헌 비판과 고증을 통해서 역사학을 학문으로 승화시켰다는 점, 한국 역사의 상당 부문을 규명하고자 노력했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이 후대 재야 사학에 의해서 식민지 사학의 아류라고 평가절하를 당하는 것도 시대를 잘못 만난 불운이라고 볼 수 있다. 당대 民族主義 史學이나 社會經濟主義 史學 역시 현실과 일정 부문 괴리가 있었던 점을 인정할 때 實證主義 史學만 부정적으로 평가할 수 없는 것과 같은 맥락인 것이다.
Ⅳ. 마치며
이와 같이 근대 역사방법론에 있어서 社會經濟史學과 實證史學은 시대적 배경에 의해 도입, 발전된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일제의 식민사관을 극복하려는 데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社會經濟史學은 그 중 일부인 唯物史觀이 1920년대에 보급되기 시작하여 1930년대에 결실을 맺게 된다. 이 사상은 세계사의 보편적인 시각에서 한국사의 발전단계 과정을 찾으려고 했으며 특히, 일제의 정체성론과 한국의 특수사관 등을 비판하였다. 하지만 경제의 발전단계라는 일원적인 법칙으로 한국사를 이해하는 협소한 관점을 가진 것이 한계라고 할 수 있다. 반면 實證史學은 문헌고증을 통한 증거를 바탕으로 하는 순수 학문적 경향의 史學이다. 그들은 객관적인 역사적 사실을 밝힐는 자세를 유지하였고 이러한 학문태도는 해방 후 남한 학계를 주도하게 된다. 즉, 엄격한 사료비판과 철저한 고증을 연구의 기본 전제로 삼고 있었다. 하지만 동시에 實證史學者들은 한국사의 발전과정을 체계적으로 인식하는 일 등을 찾는 데에 소홀히 하였다는 한계를 지니게 된다.

추천자료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6.23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42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