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5.4 열기의 화려한 추락 - 지식인중심의 공산당은 왜 실패 했는가?
3. 승리의 밑거름이 된 참담한 패배, 대장정
4. 항일 시기 두 얼굴의 공산당
5. 당원과 민중, 그리고 국가를 포섭하게 한 사상
6. 사료 - 8.1선언,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선언
7. 맺음말
8. 원문사료
2. 5.4 열기의 화려한 추락 - 지식인중심의 공산당은 왜 실패 했는가?
3. 승리의 밑거름이 된 참담한 패배, 대장정
4. 항일 시기 두 얼굴의 공산당
5. 당원과 민중, 그리고 국가를 포섭하게 한 사상
6. 사료 - 8.1선언,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선언
7. 맺음말
8. 원문사료
본문내용
성을 경계
※ 비판론적 관점
-실천론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당내입지 강화와 독재로 쓰였음
-사회와 역사를 모순의 발생으로 발전한 것으로 보는 것은 편협한 시각이라는 비판 존재
* 실천론과 모순론의 효과로는 ①중국혁명의 절대적인 이론적 기초가 성립
②당내 모택동의 권력이 확대 → 당권장악
Ⅳ. 신민주주의론 - 2단계 혁명론과 중도 세력의 흡수
-1939년 이후 국공합작에 마찰이 발생하자 구민주주의 혁명과정에서 국민당 부르주아 계급의 실패를 강조, 동시에 공산당과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지도적 역할을 공개적으로 주 장
→ 항일 전쟁이후 처음으로 중국 혁명과정에서 공산당의 주도적인 역할과 임무를 주장
-19c 서양의 침탈이후 중국은 半植民地· 反封建 사회로 변모 되어, 새로운 정치, 경제, 문화를 만들어 내기 위해 혁명의 진행과정은 2단계여야 함을 주장.
※ 2단계 혁명론
1단계: 半植民地· 反封建 사회를 자주독립의 부르주아 민주사회로 개조하는 反帝·反封建 의 부르주아 민주혁명의 단계
2단계: 혁명을 심화 발전시켜 사회주의를 건설하는 프롤레타리아사회주의혁명의 단계
-중국혁명의 1차적인 과제는 反封建·反帝투쟁을 전개하여 민족국가의 독립과 민주주의를 쟁취하여 부르주아 민주혁명을 완수하는 것이라 인정
but)5·4운동으로 말미암아 부르주아 혁명에는 성격변화가 발생하여 5·4운동을 전후로 舊·新 민주주의 혁명단계로 구분
-기본적인 혁명세력은 노동자, 농민,小자본가
중간계급은 동요하는 민족자본가과 개명된 향신층
완고파는 극소수의 대지주와 대자본가 계급
→ 공산당의 기본전략은 진보적인 세력을 발전시키고, 중간세력을 쟁취하는 것이며, 동시 에 완고파를 고립시키는 것
→ 공산당은 이들 중간세력을 포용하는 정치질서, 경제, 문화를 창출해내는 것을 강조
☞노동계급 ·농민계급 ·小자본가 ·민족자본가 및 기타 애국적 민주분자를 망라한 연합정권 수립을 의미
-해방구에서 계급연합에 기초한 신민주주의 정권을 수립하고 토지개혁을 비롯하여, 사회경제 개혁을 단행하여 해방구의 발전을 실현(ex.3·3제, 감조감식)
→ 공산당이 주도하는 신민주주의 혁명과 신중국의 미래상을 미리 제시
장개석의 일인지배, 국민당의 부패의 국민당정부와 대비
☞민족해방과 민주주의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유일한 정치 세력임을 자임 가능
※ 비판론적 관점
-1954년 공산당이 정식으로 헌법을 채택하였을 때에는·小자본가 ·민족 자본가를 포섭대상 에서 제외
→ 투쟁대상으로 전환시킨 ‘인민민주주의 국가’를 제기, 신민주주의 단계는 끝났음을 선 포. 결국 신민주주의는 중국공산당의 힘이 부족하자 중립적인 인사들을 포섭하여 중국 국민당에 대항하기 위한 전략에 불과.
“연합계급에 노동자, 농민, 소시민은 물론 민족 자본가까지 포함시켜서 신민주혁명을 민족주의 혁명으로 위장시키려고 했던 것이다. 이러한 혁명목표를 전략적 차원에서 사용함으로써 모택동은 민족주의자로 가장을 하고 있다.” 오세길, 「毛澤東思想에 있어서 理論과 實踐의 統合에 관한 硏究」, 『연세대학교』, 1990.p30
7. 맺음말
* 2조의 결말
→초기 공산당의 실패와 국민당의 토벌작전을 피하기 위한 대장정, 2차 국공합작을 거치면서 얻은 경험들과 농민을 위한 토지개혁을 바탕으로 대폭적인 지지를 얻어 공산당 성장.
→그러나 제2차 국공합작시기에 보여준 공산당의 기회주의적인 모습과 항일전쟁에 대한 모택동의 발언에서 그의 이면적인 면모가 들어남.
→ 연안 정풍문예운동이 인민들을 위한 정책인지 의문
→1954년 공산당이 정식으로 헌법을 채택하면서 小자본가와 민족 자본가를 포섭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통해, 중립적인 인사들을 포섭하기위한 이론이었음.
→중국 공산당은 항일이란 목표를 내세우며 이를 이용하여 대중들의 지지를 확보하고 세력을 강화하는데 사용하였다.
→공산당이 국민당을 이길 수 있었던 것은 인민을 위한 정책덕분이 아니라 국민당을 이기기 위해 인민을 위한 정책을 펼친 것이 아닐까?
8. 원문사료
-8.1선언문
防政府的主要任在于抗日救,其行政方包括下列各点:
(一)抗日救收失地。
(二)救治水安定民生。
(三)收日帝在一切、充作日。
(四)收奸、粮食、土地,交苦同胞和抗日士享用。
(五)除苛捐、整理政金融、展工商。
(六)加薪加、改良工各界生活。
(七)行民主自由、放一切政治犯。
(八)行免育、安置失年。
(九)行中境各民族一律平等政策,保胞在外生命,、居住和的自由。
(十)合一切反帝主的民(日本苦民、高、台等民族)作友,合一切同情中民族解放的民族和家,一切中民反日解放守善意中立的民族和家建立友系。
-중화인민공화국 선포문
同胞!中人民共和中央人民政府已于本日成立了
自介石民反政府背叛祖,勾帝主,反革命以,全人民于水深火的情之中。幸我人民解放在全人民援助下,保祖的土主,保人民的生命,解除人民的痛苦和取人民的利,不身,英勇作,得以消反,推民政府的反治。在人民解放已取得基本的利,全大多人民已得解放。
<참고문헌>
-단행본
공기두 외 저, 『중국 공산당사』, 첨성대, 1990
김세호 외 저, 『강좌중국사-Ⅶ』, 지식산업사, 1989
김승일 역, 『동양의 고전을 읽는다』, 휴머니스트 2006.
김유 저, 『모택동과 중국공산주의』, 인간과사회, 2004.
료개륭 저, 정석태 역, 『중국 공산당사 1919~1991』녹두, 1993,
서진영 저, 『중국혁명사』, 한울아카데미, 1992.
우노 시게아끼 저, 김정화 역,「중국공산당사」,일월서각, 1984
에드가 스노우 저, 홍수원 외 역『중국의 붉은 별』, 두레, 1985
조너선 D. 스펜스 저, 김희교 역, 『현대 중국을 찾아서1,2』, 이산, 1998
존 킹 페어뱅크 저, 중국사연구회 역, 『신중국사』, 까치, 1994
히메다 미쓰요시 외 저, 김순호 역, 『20세기 중국사 』, 돌베개, 1995.
-연구논문
서진영「공산당의 조직과 구성변화, 1921-1987」,아세아연구,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제31권 2호 (통권 80호) 1988.7
오세길, 「毛澤東思想에 있어서 理論과 實踐의 統合에 관한 硏究」,『인하대학교 교육대학교』, 국민윤리교육전공, 1990.
이종화, 「中國共産黨의 發展過程과 毛澤東思想에 관한 硏究」,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1986.
※ 비판론적 관점
-실천론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당내입지 강화와 독재로 쓰였음
-사회와 역사를 모순의 발생으로 발전한 것으로 보는 것은 편협한 시각이라는 비판 존재
* 실천론과 모순론의 효과로는 ①중국혁명의 절대적인 이론적 기초가 성립
②당내 모택동의 권력이 확대 → 당권장악
Ⅳ. 신민주주의론 - 2단계 혁명론과 중도 세력의 흡수
-1939년 이후 국공합작에 마찰이 발생하자 구민주주의 혁명과정에서 국민당 부르주아 계급의 실패를 강조, 동시에 공산당과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지도적 역할을 공개적으로 주 장
→ 항일 전쟁이후 처음으로 중국 혁명과정에서 공산당의 주도적인 역할과 임무를 주장
-19c 서양의 침탈이후 중국은 半植民地· 反封建 사회로 변모 되어, 새로운 정치, 경제, 문화를 만들어 내기 위해 혁명의 진행과정은 2단계여야 함을 주장.
※ 2단계 혁명론
1단계: 半植民地· 反封建 사회를 자주독립의 부르주아 민주사회로 개조하는 反帝·反封建 의 부르주아 민주혁명의 단계
2단계: 혁명을 심화 발전시켜 사회주의를 건설하는 프롤레타리아사회주의혁명의 단계
-중국혁명의 1차적인 과제는 反封建·反帝투쟁을 전개하여 민족국가의 독립과 민주주의를 쟁취하여 부르주아 민주혁명을 완수하는 것이라 인정
but)5·4운동으로 말미암아 부르주아 혁명에는 성격변화가 발생하여 5·4운동을 전후로 舊·新 민주주의 혁명단계로 구분
-기본적인 혁명세력은 노동자, 농민,小자본가
중간계급은 동요하는 민족자본가과 개명된 향신층
완고파는 극소수의 대지주와 대자본가 계급
→ 공산당의 기본전략은 진보적인 세력을 발전시키고, 중간세력을 쟁취하는 것이며, 동시 에 완고파를 고립시키는 것
→ 공산당은 이들 중간세력을 포용하는 정치질서, 경제, 문화를 창출해내는 것을 강조
☞노동계급 ·농민계급 ·小자본가 ·민족자본가 및 기타 애국적 민주분자를 망라한 연합정권 수립을 의미
-해방구에서 계급연합에 기초한 신민주주의 정권을 수립하고 토지개혁을 비롯하여, 사회경제 개혁을 단행하여 해방구의 발전을 실현(ex.3·3제, 감조감식)
→ 공산당이 주도하는 신민주주의 혁명과 신중국의 미래상을 미리 제시
장개석의 일인지배, 국민당의 부패의 국민당정부와 대비
☞민족해방과 민주주의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유일한 정치 세력임을 자임 가능
※ 비판론적 관점
-1954년 공산당이 정식으로 헌법을 채택하였을 때에는·小자본가 ·민족 자본가를 포섭대상 에서 제외
→ 투쟁대상으로 전환시킨 ‘인민민주주의 국가’를 제기, 신민주주의 단계는 끝났음을 선 포. 결국 신민주주의는 중국공산당의 힘이 부족하자 중립적인 인사들을 포섭하여 중국 국민당에 대항하기 위한 전략에 불과.
“연합계급에 노동자, 농민, 소시민은 물론 민족 자본가까지 포함시켜서 신민주혁명을 민족주의 혁명으로 위장시키려고 했던 것이다. 이러한 혁명목표를 전략적 차원에서 사용함으로써 모택동은 민족주의자로 가장을 하고 있다.” 오세길, 「毛澤東思想에 있어서 理論과 實踐의 統合에 관한 硏究」, 『연세대학교』, 1990.p30
7. 맺음말
* 2조의 결말
→초기 공산당의 실패와 국민당의 토벌작전을 피하기 위한 대장정, 2차 국공합작을 거치면서 얻은 경험들과 농민을 위한 토지개혁을 바탕으로 대폭적인 지지를 얻어 공산당 성장.
→그러나 제2차 국공합작시기에 보여준 공산당의 기회주의적인 모습과 항일전쟁에 대한 모택동의 발언에서 그의 이면적인 면모가 들어남.
→ 연안 정풍문예운동이 인민들을 위한 정책인지 의문
→1954년 공산당이 정식으로 헌법을 채택하면서 小자본가와 민족 자본가를 포섭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통해, 중립적인 인사들을 포섭하기위한 이론이었음.
→중국 공산당은 항일이란 목표를 내세우며 이를 이용하여 대중들의 지지를 확보하고 세력을 강화하는데 사용하였다.
→공산당이 국민당을 이길 수 있었던 것은 인민을 위한 정책덕분이 아니라 국민당을 이기기 위해 인민을 위한 정책을 펼친 것이 아닐까?
8. 원문사료
-8.1선언문
防政府的主要任在于抗日救,其行政方包括下列各点:
(一)抗日救收失地。
(二)救治水安定民生。
(三)收日帝在一切、充作日。
(四)收奸、粮食、土地,交苦同胞和抗日士享用。
(五)除苛捐、整理政金融、展工商。
(六)加薪加、改良工各界生活。
(七)行民主自由、放一切政治犯。
(八)行免育、安置失年。
(九)行中境各民族一律平等政策,保胞在外生命,、居住和的自由。
(十)合一切反帝主的民(日本苦民、高、台等民族)作友,合一切同情中民族解放的民族和家,一切中民反日解放守善意中立的民族和家建立友系。
-중화인민공화국 선포문
同胞!中人民共和中央人民政府已于本日成立了
自介石民反政府背叛祖,勾帝主,反革命以,全人民于水深火的情之中。幸我人民解放在全人民援助下,保祖的土主,保人民的生命,解除人民的痛苦和取人民的利,不身,英勇作,得以消反,推民政府的反治。在人民解放已取得基本的利,全大多人民已得解放。
<참고문헌>
-단행본
공기두 외 저, 『중국 공산당사』, 첨성대, 1990
김세호 외 저, 『강좌중국사-Ⅶ』, 지식산업사, 1989
김승일 역, 『동양의 고전을 읽는다』, 휴머니스트 2006.
김유 저, 『모택동과 중국공산주의』, 인간과사회, 2004.
료개륭 저, 정석태 역, 『중국 공산당사 1919~1991』녹두, 1993,
서진영 저, 『중국혁명사』, 한울아카데미, 1992.
우노 시게아끼 저, 김정화 역,「중국공산당사」,일월서각, 1984
에드가 스노우 저, 홍수원 외 역『중국의 붉은 별』, 두레, 1985
조너선 D. 스펜스 저, 김희교 역, 『현대 중국을 찾아서1,2』, 이산, 1998
존 킹 페어뱅크 저, 중국사연구회 역, 『신중국사』, 까치, 1994
히메다 미쓰요시 외 저, 김순호 역, 『20세기 중국사 』, 돌베개, 1995.
-연구논문
서진영「공산당의 조직과 구성변화, 1921-1987」,아세아연구,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제31권 2호 (통권 80호) 1988.7
오세길, 「毛澤東思想에 있어서 理論과 實踐의 統合에 관한 硏究」,『인하대학교 교육대학교』, 국민윤리교육전공, 1990.
이종화, 「中國共産黨의 發展過程과 毛澤東思想에 관한 硏究」,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1986.
추천자료
태평천국의 혁명적 성격-동학혁명과의 비교-
한국근현대사 4.19혁명 알아보자
중국현대문학 노신의 아큐정전(정신 승리법 신해혁명)
‘대중을 중심으로 살펴 본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의 배경과 전개과정'
문화대혁명
양계초의 생애, 사상, 근대화론, 군주입헌사상, 국민경제사상, 사회계몽사상, 국민교육사상, ...
왕멍의 단편 문학 1980년대의 중국 문학견고한 죽 , 밤의 눈, 나비 ,반우파 투쟁, 문화대혁...
[한국근현대사과제내용] 공녀(중국으로 끌려간 우리 여인들의 역사) _ 지은이 : 정구선
[한국민족운동사] 3·1운동에 대한 해외의 반응 - 일제의 야만성을 규탄한 중국, 거족적 행동...
[중국근대사 독후감] 역사 속에서 끊임없이 투쟁하는 혁명가들 - 조너선 D.스펜스의 《천안문...
[A+] 중화인민공화국 수립배경 - 중국의 자연조건과 인구, 국민당, 공산당 정책, 국공간 세력...
[A+] 중화인민공화국의 역사 중국 역사 마오시기 사회주의 건설을 둘러싼 노선 대립 홍과...
현대중국가족과 여성,한국과 중국의 유교와 가족제도 비교,유교의 기본 사상-삼강오륜,오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