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각하라’는 뜻이다. 유명한 독일의 철학자 칸트는 이것을 정언명법이라 불렀다. 철학적인 표현이지만 뜻은 “당신의 개인적인 행동 지침이 보편적 자연법칙이되어도 좋다면 그 지침대로 행동하라” 쉽게 말하면 내가 도적질을 하면 모든 사람들이 다라해도 좋다고 여겨질 때 하라는 말이다. 반대로 내가 해서 다른 사람이 비판의 대상이 되는 일이라면 하지 말아야 한다는 뜻이다. 칸트는 이를 양심의 명력이라고 해서 절대적 위치에 두었다. 사람은 반드시 이 정언명법의 원칙을 실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리가 사는 사회는 이 도덕적 명령 때문에 유지되고 있으며, 훌륭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남이 보지 않는다고 얼마든지 나쁜 짓을 해도 된다는 위선은 우리 사회에 뿌리 내려진 값비싼 도덕적 유산을 송두리째 도적질 하는 행위이다.
추천자료
칸트의 윤리학과 칸트에 대한 비판
칸트의 자유와 자율
칸트의 자율과 자유
임마누엘 칸트 - ‘윤리형이상학 정초’, ‘영구한 평화를 위하여’ 를 중심으로
칸트의 윤리형이상학 정초 서평
[칸트][역사][윤리학][정언명법][복지국가][순수이성비판][육상산][세계관]칸트가 바라본 역...
칸트의 윤리학과 인간존중
니체의 철학 (허무주의, 영원회귀, 초인, 윤리, 양심, 금욕주의, 도덕의 계보, 죄의식)
듀이의 철학(주관의 평가활동, 가치판단, 사실판단, 실천판단, 도덕판단, 성장, 개선, 진보)
철학과 보살핌에 있어서 간호사로서의 과제 및 도덕역량
무도인의 도덕적 삶과 무도철학에 대한 지도이념과 교수방법
인문예술적 창조경영 - 모듈 4: 철학 읽기 (여러갈래 생각하는 힘 키우기).pptx
[인간과 교육 공통]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인간과교육3공통)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