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성경 석의방법론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약성경 석의방법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신약성경 석의방법론

제1장 본문 비평 Textual Criticism
제2장 개인 번역과 번역 성경들 Translation and Translations
제3장 역사적-문화적 문맥Historical-Cultural Context
제4장 문학적 문맥Literary Context
제5장 단어 Word Studies
제6장 문 법 Grammar
제7장 해석상의 문제들 Interpretive Problems
제8장 개요 만들기 Outlining
제9장 신 학 Theology
제10장 적 용 Application

본문내용

어 배울 때 발견하는 세 가지 첫째, 헬라어와 석의상의 이슈들이 복잡하다는 것,
둘째, 왜 다른 해석들이 생겨나는지를 이해하기 시작한다. 셋째, 본문에 대해 많은 대안의 해석들이 존재한다는 점을 인식.
세상에는 그 어떤 두 언어도 개별적 단어에 혹은 단어의 조합의 의미론적 영역이 전체적으로 정확하게 서로 중첩되는 경우는 없다. 즉, 다른 언어에서 의미하는 바에 정확히 들어맞는 단어나 표현을 찾는데에는 어려움뿐만 아니라 구문이나 어순의 문제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언어학자들은 보다 더 문자적 번역인가 보다 덜 문자적 번역인가를 말하기 보다는 형식상의 대등 번역인가 기능상의 대등번역인가 라고 말하기를 선호한다. (기능상의 대등번역은 역동적 대등번역이라 불린다) 기능상 대등번역은 원래 언어의 기능상의 역할을 똑 닮은 단어나 표현을 사용하여 번역한다. 번역할 경우에 형식상의 대등번역과 기능상의 대등 번역이 특정한 정도록 혼재되어 있으며 동시에 이 양단의 번역을 의도적으로 절충하는 많은 번역기법들이 그 중간에 놓인다.
형식상의 대등 번역 범주와 기능상의 대등 번역 범주 사이에 놓인 번역성경에 의존해야 한다.
성경의 독자라면 헬라어를 충분히 공부한 다음에 자신만의 형식상의 대등번역(문법적이고 동시에 가독성을 지닌 현대어 어투를 사용하는 한 심지어 투박할 정도로 문자적인 번역 본문)을 만드는 것이 소중하고 중요하다는 점이다. 헬라어를 배우지 못했다면 형식상의 대등번역 성경을 반드시 참조해야 한다.(NASB, NRSV, ESV) 성경을 공적인 차원에서 사용할 때에는 완전히 형식상으로 대등한 번역과 완전히 기능상으로 대등한 번역 사이에 중간적 입장을 점하도록 의도된 좋은 번역 성경을 사용하는 것이 최선이다.(NIV, TNIV, HCSB)
1. 은유 관용적 표현 완곡어법들을 번역하기
가장 형식상의 대등번역 성경들도 만약 문자적으로 번역한다면 전혀 의미가 통하지 않는 표현들에서 방법론에 예외를 두지 않을 수 없다.
사도행전 26:14
-개역개정 : 네가 가시채를 발로 차는 것이 힘들도다
-표준새번역 : 가시 돋친 채찍을 발길로 차면, 너만 아플 뿐이다\'
-쉬운성경 : 가시 돋친 채찍을 발로 차 보아야 너만 다칠 뿐이다
-NIV ; It is hard for you to kick against the goads
2. 문체와 수사적 효과를 재현하기
3. 인간을 지칭하는 포괄적 언어사용
최근에 Men이나 Man, brothers, he 등과 같은 용어들에 대해 논쟁보다 더 커다란 격정을 자극하고 더 많은 오해를 낳게 하는 것들은 없다. 특히 원래의 성경 언어들은 분명하게 남자와 여자를 똑같이 가리키고 있는데 말이다. (요한복음 14:21)
KJV는 현재 출판된 그 어떤 중 영어 번역 성경들만큼이나 형식상의 대등 번역을 일관성 있게 보여주는 전형적인 예이다. 그런데 이 성경의 두 가지 주요 약점은
첫째로, 고대 영어를 사용함으로써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쉽게 이해 할수 없다는 것이고, 둘째로 문제가 있는 본문상의 근거를 갖고 있다는 점이다
-일관되게 높은 차원의 형식상의 대등 번역을 추구하는 가장 참고할 만한 현재의 새 번역 성경은 NASB, NRSV, ESV.이다
-오늘날 사용되는 대부분의 주요 번역 성경들은 1차적으로 형식상의 대등 번역과 1차적으로 기능상의 대등번역 사이의 중간 지대에 차지한다.
-어떠한 형대 영어 번역 성경들도 NIV만큼 널리 선호되고 거의 “표준에” 가까운 성경은 없다.
- GNT를 발견하였는데 이것이 완전히 기능상으로 대등한 번역 성경들의 시발점이다.
-결론
이미 주목한 바 있듯이 성경 원어를 배운 바 없지만 성경을 진지하게 읽는 사람들은 그들이 가장 “문자적인” 번역을 원할 경우 즉 어떤 것이 헬라어 신약성경과 문자적으로 가장 일치하는가를 보고자 할 경우에는 형식상의 대등 번역 성경을 반드시 참고해야 한다.
-강단용 성경의 경우 혹은 설교자나 성경 교사 혹은 다른 크리스천 지도자가 폭넓은 대표적인 공적 문맥에서 정기적으로 사용하는 성경의 경우 중간 범주에 속한 번역 성경들 중 하나를 선책하는 것이 최선이다.
NIV, TNIV가 아마도 정확성과 정상적인 현대적 영어 사이에서 최선의 조화를 이루어 내는 데 가장 유용한 성경일 것이다.
쟈유롭지만 때로는 보다 분명하거나 보다 신선한 번역들을 위해서라면 기능상의 대등 번역 성경을 채택하라.
성인 회중들 또는 해석자가 오래되고 잘 알려진 본문에 대해 새로눔 입장을 취하고자 하는 특정한 경으들 모두가 이러한 기능상의 대등번역 성경들 중 하나를 피룡로 하는 이상적 상황이다.
NLT가 영어권에서는 가장 좋은 기능상 대등 번역 성경의 예이다 GNT,CEV역시 부가적이지만 여전히 충실한 예이다. 이상의 제언들은 성경 독자가 하나의 번역 성경 그 이상을 참고한다는 점을 전제하고 있다. 번역 성경들 간의 차이점들은 뉘앙스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것이자, 기독교의 근본적인 진리들에 관계된 것이 아니다 본문비평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신앙의 그 어떠한 교리도 어떤 현대의 번역 성경의 독특한 번역에 달려 있지 않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제3장 역사적-문화적 문맥Historical-Cultural Context
성경해석과 관련하여 두 지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 대해, 첫 번째 지평은 원래 본문의 의미이고, 두 번째 지평은 현대적 적용이다. 예를들면, 고린도전서 8장의 경우이다. 제물로 바쳐진 고기들에 관한 바울의 교훈과 관련한 역사적 문맥을 이해 해야 한다. 우상숭배로 이방신에게 바쳤던 고기를 먹는 것은 로마제국의 제의에 참여하는 것으로 그리스도의 절대적 주되심을 위반 하는 것으로 믿었다. 이에 바울의 주장은 그리스도인들이 자유 가운데 살아야 하지만 그 자유가 다른 그리스도인에게 죄 짓게 할 경우 그리스도인의 자유는 피해야 한다고 말한다.
고대의 상황과 현재의 상황이라는 두 가지의 구체적인 상황들은 모두 그리스도인의 현대적인 윤리적 삶과 동시에 1세기 그리스도인의 윤리적 삶에 의미 있는 특정한 원리를 가리킨다.
역사적 문맥 연구는 기본적으로 본문의 통시적 측면들 즉 저작 시기, 저자, 수신자, 신약 책들의 저작에 영향을 미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7.04.25
  • 저작시기201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44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