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라는 주장을 거부한다. 실존적인 자세에서 성서의 비신화화를 주창한 불트만은 종말론 역시 신화론적 형태로 이해하였다.
마치며
불트만의 이러한 비신화론에 의하면 예수의 부활은 보통 인간의 죽음이 아니라 세상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이며 죽음을 무력화하는 구원을 의미한다. 따라서 부활은 그리스도를 믿도록 강요할 수 있는 기적적 증거가 아니라 그리스도인은 매일 매일의 생활에서 그리스도의 사랑 뿐만 아니라 그의 부활에도 참여한다는 의미가 된다. R 불트만, 「성경의 실존론적 이해」 대한기독교서회, 1997
따라서 불트만은 객관적인 세계상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가 살고 있는 세계에 있어서의 인간의 자기 이해를 표현한다. 그러므로 신약성경은 인간에게 진실한 실존적 결단을 요청하는 자기이해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R 불트만. 역사와 종말론, 대한기독교서회, 1968
김영환, 「바르트에서 몰트만까지」, 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 1983
R. 불트만, 신약성서신학, 성광문화사, 1991
R 불트만, 예수그리스도와 신화, 한국로고스연구원, 1994
R. 불트만, 성서의 실존론적 이해, 대한기독교서회, 1997
데이비드 퍼거슨, 불트만, 대한기독교서회, 2000
마치며
불트만의 이러한 비신화론에 의하면 예수의 부활은 보통 인간의 죽음이 아니라 세상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이며 죽음을 무력화하는 구원을 의미한다. 따라서 부활은 그리스도를 믿도록 강요할 수 있는 기적적 증거가 아니라 그리스도인은 매일 매일의 생활에서 그리스도의 사랑 뿐만 아니라 그의 부활에도 참여한다는 의미가 된다. R 불트만, 「성경의 실존론적 이해」 대한기독교서회, 1997
따라서 불트만은 객관적인 세계상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가 살고 있는 세계에 있어서의 인간의 자기 이해를 표현한다. 그러므로 신약성경은 인간에게 진실한 실존적 결단을 요청하는 자기이해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R 불트만. 역사와 종말론, 대한기독교서회, 1968
김영환, 「바르트에서 몰트만까지」, 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 1983
R. 불트만, 신약성서신학, 성광문화사, 1991
R 불트만, 예수그리스도와 신화, 한국로고스연구원, 1994
R. 불트만, 성서의 실존론적 이해, 대한기독교서회, 1997
데이비드 퍼거슨, 불트만, 대한기독교서회,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