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관찰대상 및 내용
1) 조직적 관찰의 대상 및 내용
2) 비조직적 관찰의 대상 및 내용
2. 관찰의 시기
1) 시점 표본추출
2) 간격 표본추출
3) 초점개인 표본추출
3. 관찰의 기록
1) 조직적 관찰에서의 기록
2) 비조직적 관찰에서의 기록
3) 관찰의 추론
1) 조직적 관찰의 대상 및 내용
2) 비조직적 관찰의 대상 및 내용
2. 관찰의 시기
1) 시점 표본추출
2) 간격 표본추출
3) 초점개인 표본추출
3. 관찰의 기록
1) 조직적 관찰에서의 기록
2) 비조직적 관찰에서의 기록
3) 관찰의 추론
본문내용
범주의 체크 리스트를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므로 관찰 내용의 범주들은 분명하고 상호배타적이어야 하며 모든 관찰 내용을 범주화할 수 있도록 포괄적이어야 한다. 그리고 관찰의 기록 방법과 부호화 의 지침이 구체적이고 분명한 것이 좋다.
2) 비조직적 관찰에서의 기록
참여관찰에서 기록의 원칙 중 하나는 잊어버리기 전에 가급적 빨리 기록을 남기는 것이다. 그러나 비조직적 관찰에서는 관찰 대상과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에 방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관찰대상자 면전에서 바로 기록하는 경우가 드물다 그래서 관찰이 끝난 후에 관찰내용을 기록을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관찰 내용을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기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관찰 내용을 기억하고 회상하는 훈련을 많이 하여야 한다.
4. 관찰의 추론
관찰자는 관찰의 기록을 통해서 관찰된 행동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판단하여야 하기 때문에 추리 또는 유추가 개입될 수밖에 없다. 즉 관찰 된 행동과 관찰 기록과의 사이에 관찰자의 추리가 작용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관찰된 객관적 사실 이외에도 객관적 사실로부터 정확한 추리 또는 유추할 수 있도록 관찰자는 많은 추론훈련을 받아야 할 것이다.
2) 비조직적 관찰에서의 기록
참여관찰에서 기록의 원칙 중 하나는 잊어버리기 전에 가급적 빨리 기록을 남기는 것이다. 그러나 비조직적 관찰에서는 관찰 대상과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에 방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관찰대상자 면전에서 바로 기록하는 경우가 드물다 그래서 관찰이 끝난 후에 관찰내용을 기록을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관찰 내용을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기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관찰 내용을 기억하고 회상하는 훈련을 많이 하여야 한다.
4. 관찰의 추론
관찰자는 관찰의 기록을 통해서 관찰된 행동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판단하여야 하기 때문에 추리 또는 유추가 개입될 수밖에 없다. 즉 관찰 된 행동과 관찰 기록과의 사이에 관찰자의 추리가 작용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관찰된 객관적 사실 이외에도 객관적 사실로부터 정확한 추리 또는 유추할 수 있도록 관찰자는 많은 추론훈련을 받아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사회복지조사론, 영대생의 출산에 대한 태도 조사
사회복지조사론- 대학생의 성의식설문지
사회복지조사론 기말고사 예상문제 - 경북외국어대학(사이버대학)
사회복지조사론 중간고사 예상문제 - 명신대학(사이버대학)
사회복지조사론 기말고사 예상문제 -명신 대학(사이버대학)
사회복지조사론 중간고사 예상문제 - 예원예술대학(사이버대학)
사회복지조사론 중간고사 예상문제 - 카톨릭상지대학(사이버대학)
우석_중간_사회복지조사론
군장대-사회복지조사론 기말고사 족보 (75문제)
군장대-사회복지조사론 중간고사 족보
사회복지조사론 - 신뢰도, 타당도, 척도, 실험조사설계, 욕구조사, 자료수집방법
사회복지조사론_공통과제_용어정리
사회복지조사론 ) 설문 조사시 회수율 저하방지를 위한 방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