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종합사회복지관 사업계획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랑종합사회복지관 사업계획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업개요
2. 사업계획
3. 서비스 지역, 서비스 대상 및 실인원수
4. 사업 목적 및 목표
5. 사업내용
6. 향후운영계획

본문내용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2
15
0
6
8
11
4
0
0
1
1
1
③ 성수2가1동
공공기관
의료시설
복지시설
금융기관
교육기관
병의원
한의원
약국
경로당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3
14
4
10
6
9
4
4
1
2
1
0
④ 성수2가3동
공공기관
의료시설
복지시설
금융기관
교육기관
병의원
한의원
약국
경로당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3
21
7
14
9
6
12
1
1
0
0
0
3. 서비스 지역, 서비스 대상 및 실인원수
1) 서비스 지역 :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성수1가1동, 1가2동, 2가1동, 2가3동)
2) 서비스 대상 : 저소득층 맞벌이 가정
3) 서비스 대상 선정기준 및 방법:
-성수동 저소득층 맞벌이 가정
-프로그램 참여 의사확인 및 동의
-대상자가 초과될 경우, 저소득 순으로 선발
4) 실인원수
대상구분
서비스대상자 산출근거
단위수(가구)
① 일반대상
성수동 가정
29,664
② 위기대상
성수동 저소득층 가정
③ 표적대상
성수동 저소득층 맞벌이 가정
④ 실인원수
표적 대상 중 프로그램 참여가능 한 적정 인원
10
4. 사업 목적 및 목표
목 적
산출목표
성과목표
가족유대감 향상
부모자녀 교육 월1회
부모의 양육기술 향상
가족문화 활동 월2회
가족관계증진
부모자녀 상담 월1회
부모자녀 이해도 향상
5. 사업내용
1) 세부사업내용
성과목표
프로그램명
활동
(수행방법)
시행
시기
수행
인력
참여
인원
시행
횟수
시간
부모의 양육기술 향상
부모자녀교육
-1회기: O.T(일정 소개, 가족소개, 안전관리교육, 다과회)
-2회기: 부모자녀 교육의 필요성
-3회기: 부부 간 이해
-4회기: 부모 자녀 간 이해
-5회기: 부부 간 대화법
-6회기: 부모 자녀 간 대화법
-7회기: 가족 간의 표현법
-8회기: 가족 구성원 역할극
-9회기: 종결(서약서, 규칙판 등)
9개월
3-11월
복지사 2명
강사 1명
봉사자 5명
10가구
1일
120분
월1회
(1째주 토요일)
가족관계 증진
가족문화활동
-1회기: Ice breaking
-2회기: 가족 운동회(친해지길 바라)
-3회기: 쿠폰 만들기(소원 적기: 알라딘의 요술램프)
-4회기: 야외 문화 활동(공연, 영화 등)
-5회기: 자유선언(서운한 거)
-6회기: 여행
-7회기: 중간 평가
-8회기: 콜라쥬(가족 이해하기)
-9회기: 야외 문화 활동 (역사 탐방)
-10회기: 찜질방 가기
-11회기: 쿠폰 만들기(소원 적기: 알라딘의 요술램프)
-12회기: 여행
-13회기: 밥상머리 교육(식사예절)
-14회기: 가족요리 만들기(오늘은 내가 요리사!)
-15회기: 야외 문화 활동
-16회기: 자유선언(감사, 기쁨)
-17회기: 여행
-18회기: 가족 신문 (공모전)
10개월
3~11월
복지사 2명
봉사자 5명
10가구
1일
120분
월2회
(2,4째주 토요일)
부모자녀 이해도 향상
부모자녀상담
-상담전공자를 통한 가족상담 시행(해결중심기법 활용)
-토요일 맞는 시간대에 맞는 상담시간 신청
-회기별 맞춤 상담 진행
10개월
3~12월, ‘15.1월
복지사1명
상담사2명
10가구
1일
회당 50분
월1회
(3째주 토요일)
2) 목표에 대한 평가방법
성과목표
목표에 대한 평가방법
성과지표
자료원
자료수집방법
자료수집시기
부모의 양육기술 향상
-다중 지능 점수의 유의미한 변화
-프로그램 만족도의 유의미한 변화
아동
부모
-다중지능검사도구
-프로그램 만족도 설문지
-사전 사후 다중지능 척도 검사 점수 비교 평가
-매 회기 실시 후
부모자녀 이해도 향상
가족관계증진
-가족 건강성 척도 점수의 유의미한 변화
-프로그램 만족도의 유의미한 변화
아동
부모
-가족 건강성 검사 도구
-프로그램 만족도 설문지
-사전 사후 가족 건강성 척도 검사 점수 비교 평가
-매 회기 실시 후
3) 담당인력 구성
이름
(역할)
담당부서/직위
투입시간
(단위:1주일)
경력(년)/주요업무
자격증
(신청사업 관련)
(주담당)
가족복지팀
사회복지사
50시간
종합사회복지관 2년
성수종합사회복지관 2년
사회복지사 1급
가족치료상담사 1급
(부담당)
가족복지팀
사회복지사
40시간
◇◇종합사회복지관 2년
성수종합사회복지관 1년
사회복지사 1급
가족치료상담사 1급
(슈퍼바이저)
가족복지팀
팀장
10시간
□□종합사회복지관 3년
성수종합사회복지관 4년
사회복지사 1급
가족치료상담사 1급
4) 사업 진행 일정
기간
내용
2014년
‘15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사전 준비 단계
사업계획서 작성
홍보
대상자 접수
사전검사
실행 단계
<부모 자녀>
부모자녀 교육(월1회)
가족문화 활동(월2회)
부모자녀 상담(월1회)
최종평가
사후 검사
사업평가
5) 홍보 계획
대상
홍보방법 및 횟수
활용매체
비 고
지역사회주민
리플렛 등 홍보물 제작,
지역 초등학교에 홍보,
사업설명회 실시,
광고우편보내기,
구두 커뮤니케이션( 대상 파악후 전화연락 또는 방문),
지역사회신문에 투고
SNS 담벼락 활용
리플렛, 홍보지, 전화 , 신문, 인터넷
-
타 복지기관
인근지역에서 같은 문제를 겪고 있는 대상들에게 알릴 수 있도록 프로그램영상 게시,
프로그램 소개 리플렛 보내기,
타지역사회복지관 게시판에 알림
인터넷, 리플렛
-
지방자치단체
주민생활지원센터 방문,
리플렛 제공
지자체 블로그에 프로그램 홍보 게시
인터넷, 리플렛
-
※ 사업 관련 홍보 및 제작에 관련하여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배분사업임을 반드시 명시하여야 함[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 제20조의3].
6) 지역자원 활용 계획
자원명
활용계획
비고
한국 가족상담센터
서비스 발굴 및 공유, 문제가족 연계
-
서울시립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대학생 자원봉사자
-
성동구 자원봉사센터
부모자녀 교육 강사 선생님 자원봉사
-
성동구청, 주민센터
프로그램 홍보 및 실 인원 추천 통로
-
6. 향후운영계획
① 사업 서비스 욕구 재조사
② 다음 년도 사업 크기 결정
③ 지속 가능성을 검토한 후 타 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지역사업으로 성장
④ 서울시 사업으로 발전시켜 지원을 받는 프로그램으로 이끌어내어 부족한 사업비 충당
  • 가격7,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4.10.18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71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