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활력징후
2. 흡인(suction)
3. 산소요법
4. 격리, 역격리
5. 투약
6. 관절가동범위
2. 흡인(suction)
3. 산소요법
4. 격리, 역격리
5. 투약
6. 관절가동범위
본문내용
배근, 대원근
주관절-접번관절(Elbow-hinge joint)
①굴곡 : 손바닥이 앞을 향하도록 하고 아래쪽 팔을 올려 어깨에 닿도록 전방으로 뻗은 상태에서 위로 구부린다.
정상범위 : 160°
주요근육 : 상완이두군, 상완근, 완요골근
②신전 : 양쪽 아래팔을 전방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다시 편다.
정상범위 : 160°
주요근육 : 상완삼두근
③과신전 : 양쪽 아래팔을 쭉 편 상태에서 주관절을 움직이지 않으면서 후방으로 가능한 한 더 편다.
정상범위 : 0°~ 15°
주요근육 : 상완삼두근
④회외회전(rotation for supination) : 전박과 손을 손바닥이 위를 향하도록 뒤집는다.
정상범위 : 70°~ 90°
주요근육 : 상완이두근, 회외근
⑤회내회전(rotation for pronation) : 전박과 손을 손바닥이 아래로 향하도록 뒤집는다.
정상범위 : 70°~ 90°
주요근육 : 원회내근, 방형회내근
요수관절-과상관절(Wrist-condyloid joint)
①굴곡 : 양쪽 손의 손가락을 모은 다음, 팔목을 안쪽 부분을 향해 구부려 당긴다.
정상범위 : 80°~ 90°
주요근육 : 척수 수근굴근, 요측 수근굴근
②신전 : 양쪽 손을 팔의 높이와 수평이 되게 곧게 편다.
정상범위 : 80°~ 90°
주요근육 : 장요측 수근신근, 척추 수근신근, 단요추 수근신근
③과신전 : 손가락을 붙여서 바깥방향을 향해 가능한 한 손목을 구부려 당긴다.
정상범위 : 70°~ 90°
주요근육 : 장요측 수근신근, 단요측 수근신근, 척측 수근신근
④외전-요측굴곡 :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여 손목을 엄지손가락 방향으로 수평이 되도록 구부린다.
정상범위 : 0°~ 20°
주요근육 : 장요측 수근신근
⑤내전-척측굴곡 :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여 손목을 다섯째 손가락 방향으로 수평이 되도록 구부린다.
정상범위 : 30°~ 50°
주요근육 : 척측 수근신근
⑥굴곡 : 주먹을 쥔 상태를 말한다.
정상범위 : 90°
주요근육 : 배측골간근, 천지 굴근
⑦신전 : 주먹 쥔 상태에서 풀어 손가락을 쭉 뻗는다.
정상범위 : 90°
주요근육 : 시지신근, 소지신근
⑧과신전 손가락을 손등방향으로 가능한 한 쭉 뻗는다.
정상범위 : 30°
주요근육 : 소지신근, 소지원근
⑨외전 : 손가락을 가능한 한 모두 벌리며 쭉 뻗는다.
정상범위 : 20°
주요근육 : 배측골간근, 소지대립근
⑩내전 : 손가락을 모은다.
정상범위 : 20°
주요근육 : 장측골간근
엄지손가락-안상관절(Thumb-saddle joint)
①굴곡 : 엄지손가락을 위로하여 다섯 번째 손가락을 가져간다.
정상범위 : 90°
주요근육 : 단모지굴근, 모지대립근, 소지대립근
②신전: 굽히던 엄지손가락을 손에서 가능한 멀리 편다.
정상범위 : 90°
주요근육 : 단모지신근, 장모지신근
③외전 : 엄지손가락을 원을 그리듯이 하여 측방으로 뻗는다.
정상범위 : 30°
주요근육 : 단모지외전근, 장모지외전근
④내전 : 폈던 엄지손가락을 원을 그리듯이 하여 검지 옆으로 붙인다.
정상범위 : 30°
주요근육 : 모지내전근
⑤대립 : 엄지손가락과 네 개의 손가락을 마주 댄다. 이때 엄지손가락은 외전, 회전, 굴곡운동을 하게 된다.
주요근육 : 모지대굴근, 단모지굴근
고관절-구상관절(Hip-ball and socket joint)
①굴곡 : 양다리를 앞쪽으로 하여 위로 들어 올린다. 이때 무릎은 신전되거나 굴곡 된다.
정상범위 : 무릎이 신전상태에서 90°, 무릎이 굴곡된 상태에서 120°
주요근육 : 대요근, 장골근
②신전 : 한쪽다리를 반대편 다리로 옮겨간다.
정상범위 : 90°~ 120°
주요근육 : 대둔근, 대내전근, 반건양근
③과신전 : 양쪽다리를 각각 몸의 뒤쪽으로 밀 듯이 움직인다.
정상범위 : 30°~ 50°
주요근육 : 대둔근, 반건양근, 반막양근
④외전 : 다리를 몸의 바깥쪽으로 살짝 들어 옮긴다.
정상범위 : 45°~ 50°
주요근육 : 중둔근, 소둔근
⑤내전 : 다리를 반대편 다리 바깥쪽으로 옮겨온다.
정상범위 : 45°~ 50°
주요근육 : 대내전근, 소내전근, 장내전근
⑥순환 : 다리를 뒤로, 다시 옆으로, 아래로 원을 그린다.
정상범위 : 360°
주요근육 : 대요근, 대둔근, 중둔근, 대내전근
⑦내측회전 : 발과 다리를 안쪽으로 돌리는 것으로 발끝이 가능한 반대편 다리 쪽으로 가게 한다.
정상범위 : 90°
주요근육 : 소둔근, 대퇴근막장근
⑧외측회전 : 발과 다리를 바깥쪽으로 올리는 것으로, 발끝을 가능한 반대편 다리에서 멀리 향하게 한다.
정상범위 : 90°
주요근육 : 외폐쇄근, 내폐쇄근, 대퇴방형근
무릅관절-접번관절(knee-hinge joint)
①굴곡 : 대퇴 뒤쪽을 향해 발꿈치를 들어 올려 구부린다.
정상범위 : 120°~ 130°
주요근육 : 대퇴이두근, 번건양근, 반막양근, 슬와근
②신전 : 다시 들어 올린 다리를 제 위치로 내린다.
정상범위 : 120°~ 130°
주요근육 : 대퇴직근, 외측광근, 내측광근, 중간광근
③과신전 : 무릎을 과신전한다.
정상범위 : 10°
주요근육 : 대퇴직근, 내측광근, 중간광근
거퇴관절-접번관절(ankle-hinge joint)
①신전-족저굴곡 : 엄지발가락을 아래로 향해 찍는다.
정상범위 : 120°~ 130°
주요근육 : 비복근, 가재미근
②굴곡배측굴곡 : 엄지발가락을 위로 세운다.
정상범위 : 20°
주요근육 : 제3비골근, 전경골근
③외번 : 발바닥이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돌린다.
정상범위 : 5°
주요근육 : 장비골근, 단비골근
④내번 : 발바닥을 안쪽으로 향하도록 돌린다.
정상범위 : 5°
주요근육 : 단모지굴근, 충양근, 단지굴근
⑤굴곡 : 발의 엄지발가락 관절을 하방으로 구부린다.
정상범위 : 35°~ 60°
주요근육 : 단모지골근, 충양근, 단지굴근
⑥신전 : 엄지발가락을 쭉 펴도록 한다.
정상범위 : 35°~ 60°
주요근육 : 장지신근, 단지신근, 장모지신근
⑦외전 : 발가락을 쭉 편다.
정상범위 : 0°~ 15°
주요근육 : 배측골간근, 모지외전근
⑧내전 : 발가락을 다시 모은다.
정상범위 : 0°~ 15°
주요근육 : 모지내전근, 족저골간근
주관절-접번관절(Elbow-hinge joint)
①굴곡 : 손바닥이 앞을 향하도록 하고 아래쪽 팔을 올려 어깨에 닿도록 전방으로 뻗은 상태에서 위로 구부린다.
정상범위 : 160°
주요근육 : 상완이두군, 상완근, 완요골근
②신전 : 양쪽 아래팔을 전방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다시 편다.
정상범위 : 160°
주요근육 : 상완삼두근
③과신전 : 양쪽 아래팔을 쭉 편 상태에서 주관절을 움직이지 않으면서 후방으로 가능한 한 더 편다.
정상범위 : 0°~ 15°
주요근육 : 상완삼두근
④회외회전(rotation for supination) : 전박과 손을 손바닥이 위를 향하도록 뒤집는다.
정상범위 : 70°~ 90°
주요근육 : 상완이두근, 회외근
⑤회내회전(rotation for pronation) : 전박과 손을 손바닥이 아래로 향하도록 뒤집는다.
정상범위 : 70°~ 90°
주요근육 : 원회내근, 방형회내근
요수관절-과상관절(Wrist-condyloid joint)
①굴곡 : 양쪽 손의 손가락을 모은 다음, 팔목을 안쪽 부분을 향해 구부려 당긴다.
정상범위 : 80°~ 90°
주요근육 : 척수 수근굴근, 요측 수근굴근
②신전 : 양쪽 손을 팔의 높이와 수평이 되게 곧게 편다.
정상범위 : 80°~ 90°
주요근육 : 장요측 수근신근, 척추 수근신근, 단요추 수근신근
③과신전 : 손가락을 붙여서 바깥방향을 향해 가능한 한 손목을 구부려 당긴다.
정상범위 : 70°~ 90°
주요근육 : 장요측 수근신근, 단요측 수근신근, 척측 수근신근
④외전-요측굴곡 :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여 손목을 엄지손가락 방향으로 수평이 되도록 구부린다.
정상범위 : 0°~ 20°
주요근육 : 장요측 수근신근
⑤내전-척측굴곡 :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여 손목을 다섯째 손가락 방향으로 수평이 되도록 구부린다.
정상범위 : 30°~ 50°
주요근육 : 척측 수근신근
⑥굴곡 : 주먹을 쥔 상태를 말한다.
정상범위 : 90°
주요근육 : 배측골간근, 천지 굴근
⑦신전 : 주먹 쥔 상태에서 풀어 손가락을 쭉 뻗는다.
정상범위 : 90°
주요근육 : 시지신근, 소지신근
⑧과신전 손가락을 손등방향으로 가능한 한 쭉 뻗는다.
정상범위 : 30°
주요근육 : 소지신근, 소지원근
⑨외전 : 손가락을 가능한 한 모두 벌리며 쭉 뻗는다.
정상범위 : 20°
주요근육 : 배측골간근, 소지대립근
⑩내전 : 손가락을 모은다.
정상범위 : 20°
주요근육 : 장측골간근
엄지손가락-안상관절(Thumb-saddle joint)
①굴곡 : 엄지손가락을 위로하여 다섯 번째 손가락을 가져간다.
정상범위 : 90°
주요근육 : 단모지굴근, 모지대립근, 소지대립근
②신전: 굽히던 엄지손가락을 손에서 가능한 멀리 편다.
정상범위 : 90°
주요근육 : 단모지신근, 장모지신근
③외전 : 엄지손가락을 원을 그리듯이 하여 측방으로 뻗는다.
정상범위 : 30°
주요근육 : 단모지외전근, 장모지외전근
④내전 : 폈던 엄지손가락을 원을 그리듯이 하여 검지 옆으로 붙인다.
정상범위 : 30°
주요근육 : 모지내전근
⑤대립 : 엄지손가락과 네 개의 손가락을 마주 댄다. 이때 엄지손가락은 외전, 회전, 굴곡운동을 하게 된다.
주요근육 : 모지대굴근, 단모지굴근
고관절-구상관절(Hip-ball and socket joint)
①굴곡 : 양다리를 앞쪽으로 하여 위로 들어 올린다. 이때 무릎은 신전되거나 굴곡 된다.
정상범위 : 무릎이 신전상태에서 90°, 무릎이 굴곡된 상태에서 120°
주요근육 : 대요근, 장골근
②신전 : 한쪽다리를 반대편 다리로 옮겨간다.
정상범위 : 90°~ 120°
주요근육 : 대둔근, 대내전근, 반건양근
③과신전 : 양쪽다리를 각각 몸의 뒤쪽으로 밀 듯이 움직인다.
정상범위 : 30°~ 50°
주요근육 : 대둔근, 반건양근, 반막양근
④외전 : 다리를 몸의 바깥쪽으로 살짝 들어 옮긴다.
정상범위 : 45°~ 50°
주요근육 : 중둔근, 소둔근
⑤내전 : 다리를 반대편 다리 바깥쪽으로 옮겨온다.
정상범위 : 45°~ 50°
주요근육 : 대내전근, 소내전근, 장내전근
⑥순환 : 다리를 뒤로, 다시 옆으로, 아래로 원을 그린다.
정상범위 : 360°
주요근육 : 대요근, 대둔근, 중둔근, 대내전근
⑦내측회전 : 발과 다리를 안쪽으로 돌리는 것으로 발끝이 가능한 반대편 다리 쪽으로 가게 한다.
정상범위 : 90°
주요근육 : 소둔근, 대퇴근막장근
⑧외측회전 : 발과 다리를 바깥쪽으로 올리는 것으로, 발끝을 가능한 반대편 다리에서 멀리 향하게 한다.
정상범위 : 90°
주요근육 : 외폐쇄근, 내폐쇄근, 대퇴방형근
무릅관절-접번관절(knee-hinge joint)
①굴곡 : 대퇴 뒤쪽을 향해 발꿈치를 들어 올려 구부린다.
정상범위 : 120°~ 130°
주요근육 : 대퇴이두근, 번건양근, 반막양근, 슬와근
②신전 : 다시 들어 올린 다리를 제 위치로 내린다.
정상범위 : 120°~ 130°
주요근육 : 대퇴직근, 외측광근, 내측광근, 중간광근
③과신전 : 무릎을 과신전한다.
정상범위 : 10°
주요근육 : 대퇴직근, 내측광근, 중간광근
거퇴관절-접번관절(ankle-hinge joint)
①신전-족저굴곡 : 엄지발가락을 아래로 향해 찍는다.
정상범위 : 120°~ 130°
주요근육 : 비복근, 가재미근
②굴곡배측굴곡 : 엄지발가락을 위로 세운다.
정상범위 : 20°
주요근육 : 제3비골근, 전경골근
③외번 : 발바닥이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돌린다.
정상범위 : 5°
주요근육 : 장비골근, 단비골근
④내번 : 발바닥을 안쪽으로 향하도록 돌린다.
정상범위 : 5°
주요근육 : 단모지굴근, 충양근, 단지굴근
⑤굴곡 : 발의 엄지발가락 관절을 하방으로 구부린다.
정상범위 : 35°~ 60°
주요근육 : 단모지골근, 충양근, 단지굴근
⑥신전 : 엄지발가락을 쭉 펴도록 한다.
정상범위 : 35°~ 60°
주요근육 : 장지신근, 단지신근, 장모지신근
⑦외전 : 발가락을 쭉 편다.
정상범위 : 0°~ 15°
주요근육 : 배측골간근, 모지외전근
⑧내전 : 발가락을 다시 모은다.
정상범위 : 0°~ 15°
주요근육 : 모지내전근, 족저골간근
키워드
추천자료
[성인간호학][ESRD][만성신부전][말기신장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End-stage rena...
[성인간호학] SAH 뇌혈관성 장애
[성인간호학실습] 위암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pptx
[성인간호학 case] EICU multiple contusion 케이스 case study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간경변증 (Liver Cirrhosis, LC)
[성인간호학] [척추협착증]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Spinal stenosis] 케이스스터디(case...
[성인간호학실습] subdural Hemorrhage SDH 경막하 출혈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골절 케이스 zygomatic tripod Fx & Rt.maxillary segmental Fx CASE STUDY
[성인간호학] 기흉 케이스 Pneumothorax CASE STUDY
[성인간호학] 흉곽외상 (늑골골절, 연가양흉곽)
[성인간호학 실습]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성인간호학실습] 폐렴case study
[성인간호학실습] 담관염case study
[성인간호학 실습] 신경외과 병동 - Subarachnoid hemorrhage(SAH) 지주막하 출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