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기간 및 방법
Ⅲ. 문헌고찰
① 정의
② 원인
③ 증상
⑤ 치료
⑥ 경과/합병증
⑦ 근막동통증후군과 디스크 비교
Ⅳ. 간호과정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기간 및 방법
Ⅲ. 문헌고찰
① 정의
② 원인
③ 증상
⑤ 치료
⑥ 경과/합병증
⑦ 근막동통증후군과 디스크 비교
Ⅳ. 간호과정
본문내용
증가)
검사항목
검사결과1
(11월 21일)
urine culture
Random urine
Streptococcus species 10,000 CFU/ml
배뇨증상: 소변에 거품이 많음.
CRP
0~0.5
46.19▲
104.31▲
81.45▲
상승 : 염증성 질환, 체내 조직의 괴사, 류마티스성 발열, Malignancy
WBC
4.4~11
11.88▲
8.71
6.97
상승 : 급성감염, 홍역, 외상, 백일해, 악성종양, 혈청병, 순환장애
감소 : 세균감염, 약이나 급성백혈병 등에 의한 골수 기능저하
간호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는 입원기간동안 감염 증상의 수치가 없어질 것이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5일 이내에 소변에 거품이 사라졌다고 말할 것이다.
대상자는 1주일 이내에 소변 보는 게 괜찮아졌다고 말할 것이다.
계획
<진단적>
① urine culture 매일 시행한다.
② CRP와 WBC의 혈액역학적 염증 수치를 사정한다.
③ 체온을 6시간 마다 측정한다.
④ 잔뇨량 검사를 시행한다.
<치료적>
①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② 매일 3000mL 이상의 수분섭취를 격려한다.
③ 하루에 2번 골반근육운동을 한다.
④ 회음부를 청결히 유지한다.
<교육적>
① 배뇨일지를 적도록 교육한다.
② 카페인이나 알코올이 함유된 음료섭취는 피하도록 교육한다.
이론적근거
<진단적>
① 소변에 있는 균 배양으로 염증 수치를 확인한다.
② CRP와 WBC의 수치는 증가하면 감염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③ 체온이 상승하는 것은 감염이 나타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④ 잔뇨량 검사는 소변을 보고도 시원하다는 느낌이 없다면 시행한다.
<치료적>
① 원인균에 대한 항생제 치료로 감염원을 제거한다.
② 하루 수분섭취 권장량인 3~4L를 섭취해 요로감염을 예방한다.
③ 골반근육운동은 노인들에게는 약물치료보다 효과적이다.
④ 회음부를 청결히 하여 감염을 방지하도록 한다.
<교육적>
① 현재 I&O를 확인하기 위해서 배뇨일지를 작성하도록 한다.
② 카페인과 알코올이 함유된 음료는 방광에 자극을 주기 때문이다.
수행
<진단적>
① 11/21일 시행한 urine culture의 검사결과로 소변에서 Streptococcus species(연쇄상구균)가 나왔다.
검사항목
검사결과1
(11월 21일)
urine culture
Random urine
Streptococcus species 10,000 CFU/ml
② CRP와 WBC를 사정한 결과 CRP는 3번 모두 정상치보다 높게 나왔고, WBC는 한 번의 검사에서 정상치보다 높게 나왔다.
CRP
0~0.5
46.19▲
104.31▲
81.45▲
상승 : 염증성 질환, 체내 조직의 괴사, 류마티스성 발열, Malignancy
WBC
4.4~11
11.88▲
8.71
6.97
상승 : 급성감염, 홍역, 외상, 백일해, 악성종양, 혈청병, 순환장애
감소 : 세균감염, 약이나 급성백혈병 등에 의한 골수 기능저하
③ 체온을 6시간 마다 측정한 결과 열이 나지는 않았다.
날짜
시간
T
P
R
BP
11/21
10A
4P
36.2℃
36.4℃
67회
75회
20회
20회
108/68
106/58
11/22
10A
4P
36.5℃
36.5℃
72회
60회
20회
20회
101/66
110/50
11/23
10A
4P
36.5℃
36.3℃
69회
60회
20회
20회
116/64
95/50
④ 배뇨양상을 사정한 결과 하루에 열 번의 소변을 보았고, 소변양은 총 840이었다.
<치료적>
① 처방에 따라 Zimat 1t를 경구투약으로 두 번씩 투여하였다.
② 수분섭취량 3000ml를 정맥과 구강으로 투여하였다.
③ 하루에 두 번 골반 근육운동을 시행하였다.
④ 하루에 한 번씩 순한 비누와 물로 회음부 간호를 시행하였다.
<교육적>
① 책장에 붙여놓고 배뇨 시 마다 배뇨일지를 작성하였다.
11/22 (output check)
시간
소변양
05:00
150
07:00
100
08:00
50
11:00
60
13:00
50
16:00
100
17:00
100
19:00
160
22:00
70
total
840
② 대상자가 즐겨 드시는 커피를 줄이도록 교육하였다.
평가
대상자는 입원기간동안 감염 증상의 수치가 없어질 것이다. (수행완료)
CRP: 46.19 → 0.5
WBC: 11.88 → 4.0
대상자는 5일 이내에 소변에 거품이 사라졌다고 말할 것이다. (수행완료)
Urine culture 시 소변에 거품이 사라졌다.
대상자는 1주일 이내에 소변 보는 게 괜찮아졌다고 말할 것이다.(수행완료)
잔뇨량 검사 시 잔뇨량이 남아 있지 않았다.
5. 결론
대상자는 Lt. shouler을 C.C로 통증이 심해져서 본원 응급실을 휠체어를 통해 내원하였다.
이 대상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통증이 완화 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우선이라고 생각하여 스트레스와 관련된 통증을 우선순위로 세웠고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부종으로 인해 체액과다가 심해서 부종과 관련된 체액과다를 2순위로 세웠다.
또한 체중이 12개월간 체중 감소와 저체중으로 보아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영양부족위험성을 3순위로 세웠으며, 소변배양검사에서 연쇄상구균이 검출되었고 소변을 시원하게 못보는 것을 보아 배뇨장애로 인한 요정체와 관련된 감염위험성을 마지막 간호진단을 내렸다.
근막동통증후군이라는 질병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어서 좋았고, 케이스로 잡은 환자가 부종으로 인해 수분섭취제한을 해야 된다는 점과 감염위험성으로 인해 수분섭취량을 늘려야 한다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있었지만 한 질병을 가지고 4 가지의 간호진단을 잡음으로써 공부를 많이 할 수 있어서 좋았다.
6. 참고 문헌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 수문사. 2012
이영휘 외. 성인간호학. 정담미디어. 2013
김정애 외, 진단적 검사와 간호, 수문사(2013)
송경애 외 共著, 최신 기본 간호학 (하), 수문사(2014)
차영남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현문사 (2013)
근막동통증후군의 정신과적 특성 이정호 외 3명, 인제대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KIMS 홈페이지 http://www.kimsonline.co.kr-약물정보
검사항목
검사결과1
(11월 21일)
urine culture
Random urine
Streptococcus species 10,000 CFU/ml
배뇨증상: 소변에 거품이 많음.
CRP
0~0.5
46.19▲
104.31▲
81.45▲
상승 : 염증성 질환, 체내 조직의 괴사, 류마티스성 발열, Malignancy
WBC
4.4~11
11.88▲
8.71
6.97
상승 : 급성감염, 홍역, 외상, 백일해, 악성종양, 혈청병, 순환장애
감소 : 세균감염, 약이나 급성백혈병 등에 의한 골수 기능저하
간호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는 입원기간동안 감염 증상의 수치가 없어질 것이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5일 이내에 소변에 거품이 사라졌다고 말할 것이다.
대상자는 1주일 이내에 소변 보는 게 괜찮아졌다고 말할 것이다.
계획
<진단적>
① urine culture 매일 시행한다.
② CRP와 WBC의 혈액역학적 염증 수치를 사정한다.
③ 체온을 6시간 마다 측정한다.
④ 잔뇨량 검사를 시행한다.
<치료적>
①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② 매일 3000mL 이상의 수분섭취를 격려한다.
③ 하루에 2번 골반근육운동을 한다.
④ 회음부를 청결히 유지한다.
<교육적>
① 배뇨일지를 적도록 교육한다.
② 카페인이나 알코올이 함유된 음료섭취는 피하도록 교육한다.
이론적근거
<진단적>
① 소변에 있는 균 배양으로 염증 수치를 확인한다.
② CRP와 WBC의 수치는 증가하면 감염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③ 체온이 상승하는 것은 감염이 나타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④ 잔뇨량 검사는 소변을 보고도 시원하다는 느낌이 없다면 시행한다.
<치료적>
① 원인균에 대한 항생제 치료로 감염원을 제거한다.
② 하루 수분섭취 권장량인 3~4L를 섭취해 요로감염을 예방한다.
③ 골반근육운동은 노인들에게는 약물치료보다 효과적이다.
④ 회음부를 청결히 하여 감염을 방지하도록 한다.
<교육적>
① 현재 I&O를 확인하기 위해서 배뇨일지를 작성하도록 한다.
② 카페인과 알코올이 함유된 음료는 방광에 자극을 주기 때문이다.
수행
<진단적>
① 11/21일 시행한 urine culture의 검사결과로 소변에서 Streptococcus species(연쇄상구균)가 나왔다.
검사항목
검사결과1
(11월 21일)
urine culture
Random urine
Streptococcus species 10,000 CFU/ml
② CRP와 WBC를 사정한 결과 CRP는 3번 모두 정상치보다 높게 나왔고, WBC는 한 번의 검사에서 정상치보다 높게 나왔다.
CRP
0~0.5
46.19▲
104.31▲
81.45▲
상승 : 염증성 질환, 체내 조직의 괴사, 류마티스성 발열, Malignancy
WBC
4.4~11
11.88▲
8.71
6.97
상승 : 급성감염, 홍역, 외상, 백일해, 악성종양, 혈청병, 순환장애
감소 : 세균감염, 약이나 급성백혈병 등에 의한 골수 기능저하
③ 체온을 6시간 마다 측정한 결과 열이 나지는 않았다.
날짜
시간
T
P
R
BP
11/21
10A
4P
36.2℃
36.4℃
67회
75회
20회
20회
108/68
106/58
11/22
10A
4P
36.5℃
36.5℃
72회
60회
20회
20회
101/66
110/50
11/23
10A
4P
36.5℃
36.3℃
69회
60회
20회
20회
116/64
95/50
④ 배뇨양상을 사정한 결과 하루에 열 번의 소변을 보았고, 소변양은 총 840이었다.
<치료적>
① 처방에 따라 Zimat 1t를 경구투약으로 두 번씩 투여하였다.
② 수분섭취량 3000ml를 정맥과 구강으로 투여하였다.
③ 하루에 두 번 골반 근육운동을 시행하였다.
④ 하루에 한 번씩 순한 비누와 물로 회음부 간호를 시행하였다.
<교육적>
① 책장에 붙여놓고 배뇨 시 마다 배뇨일지를 작성하였다.
11/22 (output check)
시간
소변양
05:00
150
07:00
100
08:00
50
11:00
60
13:00
50
16:00
100
17:00
100
19:00
160
22:00
70
total
840
② 대상자가 즐겨 드시는 커피를 줄이도록 교육하였다.
평가
대상자는 입원기간동안 감염 증상의 수치가 없어질 것이다. (수행완료)
CRP: 46.19 → 0.5
WBC: 11.88 → 4.0
대상자는 5일 이내에 소변에 거품이 사라졌다고 말할 것이다. (수행완료)
Urine culture 시 소변에 거품이 사라졌다.
대상자는 1주일 이내에 소변 보는 게 괜찮아졌다고 말할 것이다.(수행완료)
잔뇨량 검사 시 잔뇨량이 남아 있지 않았다.
5. 결론
대상자는 Lt. shouler을 C.C로 통증이 심해져서 본원 응급실을 휠체어를 통해 내원하였다.
이 대상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통증이 완화 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우선이라고 생각하여 스트레스와 관련된 통증을 우선순위로 세웠고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부종으로 인해 체액과다가 심해서 부종과 관련된 체액과다를 2순위로 세웠다.
또한 체중이 12개월간 체중 감소와 저체중으로 보아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영양부족위험성을 3순위로 세웠으며, 소변배양검사에서 연쇄상구균이 검출되었고 소변을 시원하게 못보는 것을 보아 배뇨장애로 인한 요정체와 관련된 감염위험성을 마지막 간호진단을 내렸다.
근막동통증후군이라는 질병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어서 좋았고, 케이스로 잡은 환자가 부종으로 인해 수분섭취제한을 해야 된다는 점과 감염위험성으로 인해 수분섭취량을 늘려야 한다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있었지만 한 질병을 가지고 4 가지의 간호진단을 잡음으로써 공부를 많이 할 수 있어서 좋았다.
6. 참고 문헌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 수문사. 2012
이영휘 외. 성인간호학. 정담미디어. 2013
김정애 외, 진단적 검사와 간호, 수문사(2013)
송경애 외 共著, 최신 기본 간호학 (하), 수문사(2014)
차영남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현문사 (2013)
근막동통증후군의 정신과적 특성 이정호 외 3명, 인제대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KIMS 홈페이지 http://www.kimsonline.co.kr-약물정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