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성 축조에 사용된 거중기의 적용하중과 역학적 특징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원성 축조에 사용된 거중기의 적용하중과 역학적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01_거중기
1)소재지
2)거중기의 구조

02_도르래
1) 도르래의 종류
2) 역학적 원리
3) 결론

본문내용

거중기 제작과정

① 길이(4.2m)의 승량각(다리) 4개를

② 전후강(앞뒤로 대는 막대)과 좌우강(좌우로 대는 막대)
으로 엮어 세우고

③ 꼭대기에 횡량을 달아 정체의 틀을 만든다.

④ 횡량과 중유량을 늑철과 쇠사슬을 이용해 연결한다.
(중유량에는 아래쪽으로 고정도르래가 연결돼 있다.)

⑤ 하유량과 중유량을 밧줄로 연결한다.
(아래쪽으로 짐을 매단 쇠사슬을 늑철에 꿰어 다는데
중유량과 비슷한 구조이나 움직도르래가 위쪽으로 달려있다.)


⑥ 소거의 틀은 길이 3.6m의 긴 막대 두개를
길이 1.5m의 짧은 막대 두개(모강, 협강)로 연결하여
만든다.

⑦ 모강 아래 복토를 나눠 붙여 대활륜(큰도르래)을
설치한다.

⑧ 협강 위 복토를 부착하여 소축을 달고 목시를 꿰어
얼레를 만든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7.06.28
  • 저작시기2017.5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10289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