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논의
2. 식민지 근대화 논리의 교육적 이해 및 비판
근대에 대한 가정
일제의 문화적 헤게모니 문제
식민지 시기와 한국사회의 연속성
우리가 배우는 한국사와 국정교과서
3. 결론(논점 정리)
2. 식민지 근대화 논리의 교육적 이해 및 비판
근대에 대한 가정
일제의 문화적 헤게모니 문제
식민지 시기와 한국사회의 연속성
우리가 배우는 한국사와 국정교과서
3. 결론(논점 정리)
본문내용
식민지 근대화론이란?
1980년대 이후 한국 및 동아시아에서의 경제성장 원인을 설명하기 위한 접근 방법
‘식민지 수탈론’을 대체하려는 시도
식민지 시기의 성과와 한계를 객관적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
식민지 시기와 해방 후 시기 사이에 적극적 연속성을 찾고자 함
해방 후 경제성장의 과정에서 식민지 유산이 영향을 준 점 주목
식민지 수탈론 vs 식민지 근대화론
식민지 수탈론
자주적 근대화의 가능성이 일제에 의하여 단절되었음을 주장.
식민지 지배의 유산을 전적으로 ‘부정적인 것'으로 파악
식민지 근대화론
조선사회의 자생적 자본주의화 가능성 부정
식민지 개발자로서의 일제의 역할을 주목
식민지 시기의 개발경험과 성과가 이후 한국의 경제발전의 역사적 기반이 되었음을 주장
1980년대 이후 한국 및 동아시아에서의 경제성장 원인을 설명하기 위한 접근 방법
‘식민지 수탈론’을 대체하려는 시도
식민지 시기의 성과와 한계를 객관적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
식민지 시기와 해방 후 시기 사이에 적극적 연속성을 찾고자 함
해방 후 경제성장의 과정에서 식민지 유산이 영향을 준 점 주목
식민지 수탈론 vs 식민지 근대화론
식민지 수탈론
자주적 근대화의 가능성이 일제에 의하여 단절되었음을 주장.
식민지 지배의 유산을 전적으로 ‘부정적인 것'으로 파악
식민지 근대화론
조선사회의 자생적 자본주의화 가능성 부정
식민지 개발자로서의 일제의 역할을 주목
식민지 시기의 개발경험과 성과가 이후 한국의 경제발전의 역사적 기반이 되었음을 주장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경제사]식민지 개발과 한국인들의 삶
프로문학과 식민지 근대의 관계 1
식민지 근대의 ‘여성’을 어떻게 볼 것인가? - 1990년대 이후의 ‘신여성’ 담론을 중심으로
일제 식민지 교육과 그 잔재 - 우리말, 교과서를 중심으로
신라 교육사상가 원효, 설총, 최치원, 고려 교육사상가 최충과 안향, 고려 교육사상가 이색과...
식민지 근대화론-중간
식민지기(식민지시대, 일제강점기)의 영양상태, 공업정책, 식민지기(식민지시대, 일제강점기)...
[일본영화, 영화무역, 공포영화, 한국영화, 친일영화, 구로사와아키라]일본영화와 영화무역, ...
[일제강점기]일제강점기(식민지시대, 일제시기)의 방송도입, 무역변화, 일제강점기(식민지시...
[한국근현대사, 근대, 근현대시기구분, 근현대사관련자료, 근현대사구술자료]한국근현대사와 ...
제2차세계대전 이후의 탈식민지현상, 제2차세계대전 이후의 한국경제, 제2차세계대전 이후의 ...
[교육철학 및 교육사(Ⅱ)] 조선시대의 교육, 조선후기의 교육사상, 근대의 교육 (조선시대 교...
[유아교육사와 보육] 근대사회의 유아교육 - 중세의 교육, 르네상스, 종교개혁기, 실학주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