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후진국의 공업화
2. 거셴크론 이론의 전개
3. 거셴크론 모델
4. 급속한 공업화
5. 중공업 부문의 급속한 발전
6. 시작부터 대규모 기업
7. 비 자생적 발전
8. 공업화의 이념
9. 한국식의 압축형 산업발전
10. 결 론
2. 거셴크론 이론의 전개
3. 거셴크론 모델
4. 급속한 공업화
5. 중공업 부문의 급속한 발전
6. 시작부터 대규모 기업
7. 비 자생적 발전
8. 공업화의 이념
9. 한국식의 압축형 산업발전
10. 결 론
본문내용
후진국의 공업화
• 후진국의 공업화에 관한 거센크론 모델
거셴크론 이론의 전개
• 후진국에서의 공업화의 속도는 선진국보다 빠르다.
• 생산재 생산부문.소비재 생산부문 내지 경공업부문에 대한 비중이 선진국의 경우보다 빨리 커진다.
• 산업이 거대 경영의 형태를 취하여 나타난다
• 공업화가 자생적으로 출발할 가능성이 적고 후진성 정도에 따라 특수한 제도적 수단에 유도되어 공업화가 발족한다
• 단순 합리주의 경제주의에 의해서 이루어지지 않으며 대부분의 경우 내셔널리즘, 더 나아가 산업주의라는 강력한 지탱이 필요하다
• 후진국의 공업화에 관한 거센크론 모델
거셴크론 이론의 전개
• 후진국에서의 공업화의 속도는 선진국보다 빠르다.
• 생산재 생산부문.소비재 생산부문 내지 경공업부문에 대한 비중이 선진국의 경우보다 빨리 커진다.
• 산업이 거대 경영의 형태를 취하여 나타난다
• 공업화가 자생적으로 출발할 가능성이 적고 후진성 정도에 따라 특수한 제도적 수단에 유도되어 공업화가 발족한다
• 단순 합리주의 경제주의에 의해서 이루어지지 않으며 대부분의 경우 내셔널리즘, 더 나아가 산업주의라는 강력한 지탱이 필요하다
추천자료
WTO협상의 도하개발아젠더에 대한 우리경제의 대응방향(DDA)
중국의 경제발전과 [서부대개발] 전략
영국의 지역개발 전담기구와 지역경제 활성화 - Glasgow
[한국경제사]식민지 개발과 한국인들의 삶
국가연구개발사업(R&D사업)의 투자 현황과 인센티브 흐름, 국가연구개발사업(R&D사업...
사회적 기업의 정의, 문화를 이용한 지역개발, 문화자원 개발, 경제적 효과, 문제점, 활성화...
★인적자원개발의 정의, 경제적 가치, 필용성 및 추진현황과 정책방향★.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오해 - 경제적 효율성이 전부인가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오해 - 경제적 효율성이 전부인가 (평생교육과의 협력적 미래관계 모색...
김덕중의 개발 시대 경제학자, 김덕중 회고록을 읽고
[동북아]동북아경제중심국가(동북아시아경제중심국가)의 의의, 목적, 동북아경제중심국가(동...
동아시아의 의미, 동아시아의 민주주의, 동아시아의 정세, 동아시아의 산업정책, 동아시아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