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반두라의 사회 인지학습이론
2.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이론
3. 요즘의 교육관 - 반두라의 사회 인지학습이론
4.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반두라의 사회 인지학습이론
2.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이론
3. 요즘의 교육관 - 반두라의 사회 인지학습이론
4.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만 변화의 과정이 내면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는 것, 즉 행동 잠재력의 변화를 더 중시한다. 결국 인지학습이론은 인간의 인지역량을 강화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반두라의 사회 인지학습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이론을 비교하여 요즘의 교육관은 어느 쪽에 더 가깝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Bandura의 이론에서는 강화는 두 가지의 주 기능을 가지고 있다. 첫째, 관찰자로 하여금 모델과 같이 행동하면 자기도 역시 강화를 받는다는 기대를 가지게 한다. 둘째, 강화는 학습을 수행으로 번역되게 하는 유인의 구실을 한다. 강화가 가지고 있는 이들 두 가지의 기능은 모두 정보적인데, 그 중 하나의 기능은 관찰자에게 어떤 장면에서 어떤 식으로 행위 하면 강화를 받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게 하고, 다른 하나의 기능은 이미 학습한 것을 활용하려는 동기를 부여한다. Bandura에 의하면, 학습이 일어나는 데는 강화가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직접적 경험 또한 불필요하다 관찰자는 단지 남의 행위의 결과를 관찰함으로써도 학습할 수 있으며, 그는 그 정보를 상징적으로 저장해 두었다가 나중에 활용하는 것이 유리할 때 그것을 활용하는 것이다. Bandura는 학습자는 자기 자신의 생동 또는 남들의 행동의 결과를 관찰함으로써 정보를 획득한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김희정(2013). 교육심리학. 양서원.
노안영 외(2003). 성격심리학. 학지사.
손병덕 외(2005).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 학지사.
정옥분(2004). 전생애 인간발달의 이론. 학지사.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반두라의 사회 인지학습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이론을 비교하여 요즘의 교육관은 어느 쪽에 더 가깝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Bandura의 이론에서는 강화는 두 가지의 주 기능을 가지고 있다. 첫째, 관찰자로 하여금 모델과 같이 행동하면 자기도 역시 강화를 받는다는 기대를 가지게 한다. 둘째, 강화는 학습을 수행으로 번역되게 하는 유인의 구실을 한다. 강화가 가지고 있는 이들 두 가지의 기능은 모두 정보적인데, 그 중 하나의 기능은 관찰자에게 어떤 장면에서 어떤 식으로 행위 하면 강화를 받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게 하고, 다른 하나의 기능은 이미 학습한 것을 활용하려는 동기를 부여한다. Bandura에 의하면, 학습이 일어나는 데는 강화가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직접적 경험 또한 불필요하다 관찰자는 단지 남의 행위의 결과를 관찰함으로써도 학습할 수 있으며, 그는 그 정보를 상징적으로 저장해 두었다가 나중에 활용하는 것이 유리할 때 그것을 활용하는 것이다. Bandura는 학습자는 자기 자신의 생동 또는 남들의 행동의 결과를 관찰함으로써 정보를 획득한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김희정(2013). 교육심리학. 양서원.
노안영 외(2003). 성격심리학. 학지사.
손병덕 외(2005).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 학지사.
정옥분(2004). 전생애 인간발달의 이론. 학지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