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회 성숙도 검사란
1) 한국판 사회성숙도 검사의 의의
2) 사회성숙도 검사의 목적
3) 사회성숙도 검사의 활용
2. 사회성숙도 검사의 실시
1) 검사의 실시 시간 및 대상
2) 면접대상
3) 검사 실시 및 중단
4) 검사내용
3. 사회성숙도 검사 결과 기입 방법
1) 일반기재 사항의 기입 방법
2) 답의 기입 방법
3) 채점방법
4) 사회연령 및 사회지수 산출방법
4. 사회성숙도 검사의 장단점
1) 사회성숙도 검사의 장점
2) 사회성숙도 검사의 단점
1) 한국판 사회성숙도 검사의 의의
2) 사회성숙도 검사의 목적
3) 사회성숙도 검사의 활용
2. 사회성숙도 검사의 실시
1) 검사의 실시 시간 및 대상
2) 면접대상
3) 검사 실시 및 중단
4) 검사내용
3. 사회성숙도 검사 결과 기입 방법
1) 일반기재 사항의 기입 방법
2) 답의 기입 방법
3) 채점방법
4) 사회연령 및 사회지수 산출방법
4. 사회성숙도 검사의 장단점
1) 사회성숙도 검사의 장점
2) 사회성숙도 검사의 단점
본문내용
수행할 수 있을 경우
+F
검사시 에는 특별한 제약으로 각 항목이 지시하는 행동을 성공 적으로 수행하지 못하였지만 평상시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을 경우
+NO
지금가지는 기회의 부족으로 각 항목이 지시하는 행동을 수행하지 못하였지만 기회 가 부여 된다면 곧 성공 적으로 수행 또는 습득 할 수 있을 경우
각 항목이 지시하는 행동을 가끔 하기는 하나 그 행동이 불안정 할 경우, 즉 과도적 상태이거나 발현중인 상태에 있을 경우
-
각 항목이 지시하는 행동을 전혀 수행하지 못 하거나, 부당한 강요나 유인이 있을 때에만 수행하고 과거에는 성공 적으로 수행 하였으나 현재는 노쇠나 비교석 항구적인 정신적 또는 신체적 장애로 수행하지 못 할 경우
3) 채점방법
1. 문항의 채점
+
1점
+F
1점
+NO
①+와 + 사이에 있을 경우 1점 ②+F와 +F 사이에 있을 경우 1점
③+와 +F 사이에 있을 경우 1점 ④+NO와 + 또는 +F 사이에 있을 경우 1점
⑤-와 - 사이에 있을 경우 0점 ⑥이 외의 경우 0.5점
±
0.5점
-
0점
2.총점의 산출
총점 = 기본점 + 가산점
기본점은 계속적인 + 또는 +F의 최종 문항 번호. 3개 또는 그 이상의 문항이 계속해서 + 또는 +F로 표시되면 그 이하의 문항은 기호의 표시가 되어있지 않더라도 + 또는 +F로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고, +나 +F는 1점으로 채점되기 때문에 계속해서 + 또는 +F로 표시된 문항의 마지막 번호를 기본점으로 삼고 있으며, 가산점은 기본점 이외의 문항별 점수를 합산한 점수이다.
4) 사회연령 및 사회지수 산출방법
1. 사회연령(SA)
사회연령은 부록 ‘사회연령 환산표’를 이용하여 구하면 된다. ‘사회연령 환산표’에는 총점과 총점에 해당하는 SA가 적혀있어, SA를 구하려면 총점의 숫자를 ‘사회연령 환산표’의 총점난에서 찾아낸 다음 그 오른편에 있는 SA의 숫자를 찾아내면 된다.
2. 사회지수(SQ)
사회지수는 SA를 CA(만 생활연령)로 나눈 다음, 이를 100으로 곱하면 된다.
SQ=SA/CA*100
예) 8세의 생활연령(CA)을 가진 6.2세 수준의 사회연령(SA)을 가진 경도 정신지체 학생를 구 하는 경우 계산법
SQ=8/6.2*100=0.775*100=77.5
4. 사회성숙도 검사의 장단점
1) 사회성숙도 검사의 장점
사용이 간단하고 보편 적으로 많이 사용되며 검사시간이 짧고 검사를 실시 할 수 있는 연령의 폭이 넓다.
2) 사회성숙도 검사의 단점
면접자가 과잉기대나 과소기대를 하여 면접자의 성향과 관점에 따라 검사 결과가 많이 바뀔 수 있으며 다른 적응행동검사의 경우 식사나 이동 뿐 아니라, 돈 관리나 자기보호, 읽기 등의 다양한 면을 볼 수 잇도록 구분해 놓지만 이 검사는 그러지 않아 문항이 단순하며, 교육적인 처치에 참고할 때 자료가 부족하다.
또한 표준화한지 오래된 검사도구여서 적절치 않은 문항이 종종 있으며 지능검사 등의 다른 도구와 함께 쓰여야 정확한 진단이 가능 하며 장애가 있는 경우 나이가 먹을 수 록 사회 지수가 낮아진다는 것 이다.
+F
검사시 에는 특별한 제약으로 각 항목이 지시하는 행동을 성공 적으로 수행하지 못하였지만 평상시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을 경우
+NO
지금가지는 기회의 부족으로 각 항목이 지시하는 행동을 수행하지 못하였지만 기회 가 부여 된다면 곧 성공 적으로 수행 또는 습득 할 수 있을 경우
각 항목이 지시하는 행동을 가끔 하기는 하나 그 행동이 불안정 할 경우, 즉 과도적 상태이거나 발현중인 상태에 있을 경우
-
각 항목이 지시하는 행동을 전혀 수행하지 못 하거나, 부당한 강요나 유인이 있을 때에만 수행하고 과거에는 성공 적으로 수행 하였으나 현재는 노쇠나 비교석 항구적인 정신적 또는 신체적 장애로 수행하지 못 할 경우
3) 채점방법
1. 문항의 채점
+
1점
+F
1점
+NO
①+와 + 사이에 있을 경우 1점 ②+F와 +F 사이에 있을 경우 1점
③+와 +F 사이에 있을 경우 1점 ④+NO와 + 또는 +F 사이에 있을 경우 1점
⑤-와 - 사이에 있을 경우 0점 ⑥이 외의 경우 0.5점
±
0.5점
-
0점
2.총점의 산출
총점 = 기본점 + 가산점
기본점은 계속적인 + 또는 +F의 최종 문항 번호. 3개 또는 그 이상의 문항이 계속해서 + 또는 +F로 표시되면 그 이하의 문항은 기호의 표시가 되어있지 않더라도 + 또는 +F로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고, +나 +F는 1점으로 채점되기 때문에 계속해서 + 또는 +F로 표시된 문항의 마지막 번호를 기본점으로 삼고 있으며, 가산점은 기본점 이외의 문항별 점수를 합산한 점수이다.
4) 사회연령 및 사회지수 산출방법
1. 사회연령(SA)
사회연령은 부록 ‘사회연령 환산표’를 이용하여 구하면 된다. ‘사회연령 환산표’에는 총점과 총점에 해당하는 SA가 적혀있어, SA를 구하려면 총점의 숫자를 ‘사회연령 환산표’의 총점난에서 찾아낸 다음 그 오른편에 있는 SA의 숫자를 찾아내면 된다.
2. 사회지수(SQ)
사회지수는 SA를 CA(만 생활연령)로 나눈 다음, 이를 100으로 곱하면 된다.
SQ=SA/CA*100
예) 8세의 생활연령(CA)을 가진 6.2세 수준의 사회연령(SA)을 가진 경도 정신지체 학생를 구 하는 경우 계산법
SQ=8/6.2*100=0.775*100=77.5
4. 사회성숙도 검사의 장단점
1) 사회성숙도 검사의 장점
사용이 간단하고 보편 적으로 많이 사용되며 검사시간이 짧고 검사를 실시 할 수 있는 연령의 폭이 넓다.
2) 사회성숙도 검사의 단점
면접자가 과잉기대나 과소기대를 하여 면접자의 성향과 관점에 따라 검사 결과가 많이 바뀔 수 있으며 다른 적응행동검사의 경우 식사나 이동 뿐 아니라, 돈 관리나 자기보호, 읽기 등의 다양한 면을 볼 수 잇도록 구분해 놓지만 이 검사는 그러지 않아 문항이 단순하며, 교육적인 처치에 참고할 때 자료가 부족하다.
또한 표준화한지 오래된 검사도구여서 적절치 않은 문항이 종종 있으며 지능검사 등의 다른 도구와 함께 쓰여야 정확한 진단이 가능 하며 장애가 있는 경우 나이가 먹을 수 록 사회 지수가 낮아진다는 것 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자폐][자폐증][자폐성아동][자폐아동][자폐아]자폐증(자폐, 자폐성아동, 자폐아)의 행동특성...
뇌성마비 아동들에게 보완대체의사소통 도구인 사진교환의사 소통체계를 이용하여 의사소통기...
[문제행동아동][문제행동][행동문제]아동문제행동의 유형, 아동문제행동과 부모의 애정, 아동...
표준화 검사의 유형과 제작방법에 관한 고찰(유아연구및평가)
아동기 정신건강 보고서 파워포인트(자아 정체성과 사회성, 아동방임 및 학대, 부모와 자녀관...
자외선과 자외선 차단체품에 대한 인지도 및 차단제품에 대한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아동의 친사회적, 반사회적 행동에 대한 연구
사회성의 발달(사회성발달) 변화, 사회성의 발달(사회성발달)과 사회적 행동, 사회정서발달, ...
사회성의 발달(사회성발달)의 의의,요인, 사회성의 발달(사회성발달)과 몬테소리교육, 장애아...
행동수정 사례연구 - 편식 하는 행동, 편식하는 아이 (행동수정사례, 아동문제, 아동행동, 행...
ADHD의 정의 및 원인, 증상과 치료방법을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방법과 부모교육의 내용...
영유아 행동 연구에 있어 관찰의 목적을 영유아, 교사, 부모, 기관의 측면으로 나누어 예를 ...
생활지도 및 상담 - 유아 문제행동 사례연구 (등원 거부 격리불안 강한 의존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