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성 수막염 case study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균성 수막염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B.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Ⅱ. 본론
A.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및 원인
2. 증상
3. 진단
4. 치료
5. 간호
B.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간호진단
3.간호계획
4.간호수행
5.간호평가

Ⅲ. 결론 및 제언
A. 결론
B. 출저
1. 참고문헌
2. 참고사이트

본문내용

attack absent
ABG상 PCO2:53.4mmHg check되어 Ambu-bagging함. dr.done

기관지내 가래 많고 호흡양상이 불규칙하며 Sa02낮고 PCO2 수치 증가함
기관지내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1
신체 촉진 시 발열감 있음
T : 37.8
지속적 고체온 보임

뇌수막염 증상으로 고체온 양상 보임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2
나이73세
Lt.hemiparesis state
Rt. facial site로 입술, 얼굴 씰룩거림,Eyeball midline checked.(duration:10초)
오른손 흔드는 양상보임. Eyeball Rt.deviation됨.(duration:10초)
ABR

경련양상 보이며 신체상 문제로 낙상위험성이 높음
신경근육 이상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3
2) 간호문제 해결과정
간호진단
1. 기관지내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호흡양상
간호목표
단기목표 : 24시간내 가래끓는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장기목표 : 환자가 퇴원시에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보인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1. V/S 측정시 마다 호흡수와 리듬, 깊이를 사정하고 호흡음을 청진한다.
2. SaO2를 확인 할 것이다.
3.기도내분비물을 제거하여 호흡을 도울 것이다.
4.체위변경해주어 호흡을 원활하게 할 것이다.
5. 흉부물리요법을 시행한다.
6. ABG상의 PCO2 수치를 확인한다.
1.V/S은 환자의 신체상태를 가장 잘 나타내어주는 지표이다.
2.호흡양상이 정상적인지 체내의 산소가 적당한지 수치로 확인하기 위함이다.
3. 기도내분비물은 호흡을 방해한다.
4.체위변경은 호흡을 원활히 하도록 돕는다.
5.폐에 부착된 노폐물이나 가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함이다.
6. 증가는 폐에서 제거되지 못한 CO2가 있음을 의미한다.
1.1시간마다 V/S을 측정하였다.
2.1시간마다 SaO2를 측정하였다.
3.suction을 통해 구강,비강,기도내 분비물을 제거하였다.
4.반좌위나 측위를 취하도록 하였다.
5.back percussion을 통해 배액을 증진시킨다.
6. ABG상 PCO2수치가 53.4mmHG로 확인되어 Dr에 의한 Ambu-bag-
ging을 시행하였다.
평가
- 환자 호흡시 가래끓는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 환자가 퇴원시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보이고 호흡수와 깊이,리듬이 정상범위로 규칙적임을 확인한다.
간호진단
2.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목표
단기목표 : 2시간 이내에 환자는 정상 체온으로 돌아온다.
장기목표 : 퇴원시까지 체온이 정상 범위로 유지된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1. ICE bag을 적용해 체온을 떨어뜨릴 것이다.
2.신체를 미온수로 닦아 체온을 감소시킬 것이다.
3. 수분공급을 증가시킬 것이다.
4.신체를 노출시킬 것이다.
1. ICE bag이 신체 접촉시 체온을 떨어뜨린다.
2. 미온수목욕은 피부에 남은 수분이 증발하며 체온을 떨어뜨린다.
3.수분공급을 통해 탈수현상과 호흡증가로 인한 수분손실을 막는다.
4. 신체 노출 통해 외부공기와 직접 접촉함으로써 체온이 떨어진다.
1.ICE bag을 수건으로 감싸 양옆구리에 20분간 적용하였다.
2.미온수로 적신 수건으로 신체를 닦아주었다.
3.거즈를 입에 물려주거나 Dr‘s order로 전해질을 공급하였다.
4.이불을 걷고 환의의 끝을 걷어 놓는다.
평가
퇴원시에 체온이 정상범위로 유지되었다.
간호진단
3. 신경근육 이상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간호목표
단기목표: 환자가 side rail을 항상 올려 놓도록 한다.
장기목표: 퇴원시까지 낙상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1.환자 관찰시마다 side rail이 올려져있는지 확인 할 것이다.
2.침상바퀴를 고정시키도록 교육할 것이다.
3.환자 M/S가 불안정할 시 억제대를 적용하도록 할 것이다.
4. 경련증세를 지속적으로 관찰할 것이다.
1.침대난간과 바퀴고정은 환자를 보호하는 가장 기본적이며 확실한 것이다.
2.환자의 M/S가 불안정할 시 낙상사고의 위험성이 증가한다.
3.경련은 낙상위험성을 증가시킨다.
1.환자관찰시마다 side rail과 침상바퀴가 고정되어있는지 확인하였다.
2.환자가 obey하지 않고 M/S가 불안정하여 움직임 있어서 장갑억제대와 붕대억제대를 적용하였다.
3. EEG를 적용하고 경련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였다.
평가
side rail이 항상 올려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퇴원시까지 낙상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
Ⅲ. 결론 및 제언
이 환자분은 Lt. motor weakness, dysarthria을 보여 ER통해 입원하시며 지속적인 고열양상 보이고 요추천자를 시행해 뇌척수액 검사상 Bacterial meningitis로 항생제와 스테로이드제제, 해열제를 투여하고 체온조절을 해야한다.
실습 중 호흡곤란과 호흡양상이 불규칙하고 빈호흡이 지속적으로 나타났고 ABGA상 PCO2가 53.4mmHg check되어 Ambu-bagging을 간호사선생님과 함께 수행하였다. 또한 Rt.facial site와 오른팔의 경련양상도 이틀간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 명당 11~27명 정도에서 발생하는 비교적 흔한 질병으로 적지않게 경험할 확률이 있어 발생률을 낮추고 적절한 처치를 위해 더 많은 간호방법과 연구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
1.참고문헌
김금순 공저(2014), 성인간호학Ⅱ,제7판, 수문사, 1262~1263p
2.참고사이트
건강정보포털
http://health.mw.go.kr/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2130&subIdx=4&searchCate=&searchType=&searchKey=&pageNo=&category=&category_code=&dept=&sortType=viewcount&page=1&searchField=&searchWord=
네이버 지식백과(서울대병원 의학정보-뇌수막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867&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드럭인포 http://www.druginfo.co.kr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7.08.21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18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