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심혈관계 질환 환자 Data …………………………………………2
① 환자 신상 정보
② 신체계측정보
2. 심혈관계 질환 환자 식습관
① 일주일 동안의 섭취 실태 조사
② 식행동에서의 문제점
3. 심혈관계 질환 환자의 식단 작성
1단계 : 총열량과 열량,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필요량 설정
2단계 : 각 식품군별 교환 단위수 결정
3단계 : 1일 교환 단위수와 끼니별 분배
4단계 : 식품 교환군 목록에서 식품을 선택
5단계 : 식품의 종류와 허용되는 기름의 양에 맞게 조리법을 결정하여 식단 완성
4. 평 가
① 환자 신상 정보
② 신체계측정보
2. 심혈관계 질환 환자 식습관
① 일주일 동안의 섭취 실태 조사
② 식행동에서의 문제점
3. 심혈관계 질환 환자의 식단 작성
1단계 : 총열량과 열량,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필요량 설정
2단계 : 각 식품군별 교환 단위수 결정
3단계 : 1일 교환 단위수와 끼니별 분배
4단계 : 식품 교환군 목록에서 식품을 선택
5단계 : 식품의 종류와 허용되는 기름의 양에 맞게 조리법을 결정하여 식단 완성
4. 평 가
본문내용
100
50
250
17.5
17.5
45
25
25
50
5
5
지방군
과일군
과일군
과일군
채소군
채소군
1
1/2
1/2
1
1/4
1/4
간식
탈지 우유
200
125
우유군
1
125kcal
저
녁
팥밥 1공기
팥
쌀
15
210
350
곡류군
3.5
535kcal
조개 맑은 국
조개
파, 양파 등
50
25
50
10
어육류군(저)
채소군
1
1/2
호박전
호박
밀가루
옥수수유
35
15
5
10
50
45
채소군
곡류군
지방군
1/2
1/2
1
김구이
김
1
10
채소군
1/2
포기김치
35
10
채소군
1/2
열 량 합 계
2012.5 kcal
◈ 평 가 ◈
☞ 아침식사 : 전체 열량 중 1/4정도의 열량을 배분하여 아침부터 과식하지 않도록 하였다. 맑은 국 종류로 콩나물국을 선택하되 고혈압에 문제가 되는 식염의 양을 조절하여 약간 싱겁게 하도록 하였다. 반찬으로는 감자볶음과 멸치조림을 선택하였는데, 너무 짠 음식을 제한하다보면 밥맛이 없을 수 있으므로 선택하였고 되도록 간을 싱겁게 맞추는 것을 강조하였다. 반찬으로 감자볶음을 선택한 이유는 대상자가 간식을 잘 섭취하지 않으므로 곡류군의 단위수를 반찬에 포함시켜 아침에 열량을 좀 더 낼 수 있도록 고려하였다.
☞ 간 식 : 간식의 섭취를 좋아하지 않으므로 꼭 필요한 우유군 만을 선택하여 간식에 분배하였다.
☞ 점심식사 : 대상자의 경우는 찌개류나 얼큰한 것을 좋아하지만 그런 종류의 음식들은 대부분 짠맛이 강하므로 점심식사에도 역시 맑은 국 종류를 택하였다. 미역국을 선택하되 소금의 양을 조절하여 싱겁게 하고, 대신 반찬을 같이 먹음으로써 간을 맞출 수 있도록 콩자반을 선택하였다. 꽁치구이는 간이 되지 않은 꽁치를 구입하여 소금을 조금만 뿌려 조리함으로써 싱겁게 먹되 등푸른 생선에 들어있는 불포화지방산을 섭취할 수 있도록 선택하였다. 김치의 종류로는 익은 깍두기를 선택하여 미역국이 조금 싱거움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점심식사에 샐러드를 함께 넣은 이유는 대상자가 간식을 따로 먹으려 하지 않고 직업상 간식을 따로 챙겨 먹을 시간이 없으므로 점심 식사를 하면서 필요한 식품군을 섭취할 수 있도록 고려한 것이다. 샐러드에는 신선한 과일류과 채소류를 선택하고 포화지방이나 중성지방 등이 많은 마요네즈나 드레싱이 아닌 올리브유를 곁들여 고지혈증이 악화되지 않도록 하였다.
☞ 간 식 : 점심 이후 간식 역시 대상자가 간식을 따로 챙겨 먹을 여유가 없으므로 간단히 마실 수 있는 탈지 우유를 선택하였다.
☞ 저녁식사 : 저녁식사의 경우에도 국 종류를 역시 맑은 국 종류를 선택하였다. 조개 맑은 국으로 선택하여 자기 전에 위에 부담이 되지 않도록 하였고, 간을 싱겁게 하는 대신 김이나 김치와 같이 먹음으로써 간이 어우러질 수 있도록 하였다. 반찬으로는 호박전을 선택하여 어육류등의 씹는 느낌을 대신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전체평가 : 열량 배분을 ‘아침 : 점심 : 저녁’ 을 ‘약 1 : 1.5 : 1.2’ 비율로 하여 아침에는 너무 많은 열량 섭취로 활동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였고, 점심 식사의 경우에는 다소 높은 비율을 배분하여 오후 이후의 활동에 필요한 열량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저녁의 경우에는 약간의 포만감을 주되 너무 많은 열량을 섭취하여 수면 중에 불편함이 없을 정도로 열량을 배분하였다.
식품선택면에서는 돼지고기나 쇠고기 등의 육류를 선택하기 보다는 꽁치, 멸치, 조개 등 어류를 선택함으로써 불포화지방산의 섭취를 늘렸고, 국이나 찌개 종류에서는 대상자가 좋아하지만 염분이 많이 들어간 찌개류를 넣지 않고 맑은 국 위주로 식단을 작성하여 저염식이 되도록 하였다. 대상자의 기호도가 고려되지 않아 약간의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는 부분이다. 밥 종류는 3끼 모두 쌀밥을 선택하지 않고 보리밥, 율무밥, 팥밥을 선택하여 찌개나 국에 대한 불만족을 밥으로 대신하도록 선택하였다. 매 끼 마다 약간 간이 있는 반찬을 선택하여 싱거운 국과 함께 먹음으로써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
영양교육면에서는 대상자가 직업상 간을 보거나 빵을 만들면서 시식을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되도록 그러한 상황을 피할 것을 권고하였다. 그리고 일주일에 한 두 번 갖는 술자리도 되도록 피할 것을 권고하였다. 앞으로 짜게 먹는 습관을 버리고 입맛을 싱겁게 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고, 좋아하는 기름진 음식을 자제하도록 하고, 점심에 한꺼번에 많은 양을 먹는 것보다는 시간을 내어 간식으로 열량을 나누어 섭취할 수 있도록 권고하였다.
50
250
17.5
17.5
45
25
25
50
5
5
지방군
과일군
과일군
과일군
채소군
채소군
1
1/2
1/2
1
1/4
1/4
간식
탈지 우유
200
125
우유군
1
125kcal
저
녁
팥밥 1공기
팥
쌀
15
210
350
곡류군
3.5
535kcal
조개 맑은 국
조개
파, 양파 등
50
25
50
10
어육류군(저)
채소군
1
1/2
호박전
호박
밀가루
옥수수유
35
15
5
10
50
45
채소군
곡류군
지방군
1/2
1/2
1
김구이
김
1
10
채소군
1/2
포기김치
35
10
채소군
1/2
열 량 합 계
2012.5 kcal
◈ 평 가 ◈
☞ 아침식사 : 전체 열량 중 1/4정도의 열량을 배분하여 아침부터 과식하지 않도록 하였다. 맑은 국 종류로 콩나물국을 선택하되 고혈압에 문제가 되는 식염의 양을 조절하여 약간 싱겁게 하도록 하였다. 반찬으로는 감자볶음과 멸치조림을 선택하였는데, 너무 짠 음식을 제한하다보면 밥맛이 없을 수 있으므로 선택하였고 되도록 간을 싱겁게 맞추는 것을 강조하였다. 반찬으로 감자볶음을 선택한 이유는 대상자가 간식을 잘 섭취하지 않으므로 곡류군의 단위수를 반찬에 포함시켜 아침에 열량을 좀 더 낼 수 있도록 고려하였다.
☞ 간 식 : 간식의 섭취를 좋아하지 않으므로 꼭 필요한 우유군 만을 선택하여 간식에 분배하였다.
☞ 점심식사 : 대상자의 경우는 찌개류나 얼큰한 것을 좋아하지만 그런 종류의 음식들은 대부분 짠맛이 강하므로 점심식사에도 역시 맑은 국 종류를 택하였다. 미역국을 선택하되 소금의 양을 조절하여 싱겁게 하고, 대신 반찬을 같이 먹음으로써 간을 맞출 수 있도록 콩자반을 선택하였다. 꽁치구이는 간이 되지 않은 꽁치를 구입하여 소금을 조금만 뿌려 조리함으로써 싱겁게 먹되 등푸른 생선에 들어있는 불포화지방산을 섭취할 수 있도록 선택하였다. 김치의 종류로는 익은 깍두기를 선택하여 미역국이 조금 싱거움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점심식사에 샐러드를 함께 넣은 이유는 대상자가 간식을 따로 먹으려 하지 않고 직업상 간식을 따로 챙겨 먹을 시간이 없으므로 점심 식사를 하면서 필요한 식품군을 섭취할 수 있도록 고려한 것이다. 샐러드에는 신선한 과일류과 채소류를 선택하고 포화지방이나 중성지방 등이 많은 마요네즈나 드레싱이 아닌 올리브유를 곁들여 고지혈증이 악화되지 않도록 하였다.
☞ 간 식 : 점심 이후 간식 역시 대상자가 간식을 따로 챙겨 먹을 여유가 없으므로 간단히 마실 수 있는 탈지 우유를 선택하였다.
☞ 저녁식사 : 저녁식사의 경우에도 국 종류를 역시 맑은 국 종류를 선택하였다. 조개 맑은 국으로 선택하여 자기 전에 위에 부담이 되지 않도록 하였고, 간을 싱겁게 하는 대신 김이나 김치와 같이 먹음으로써 간이 어우러질 수 있도록 하였다. 반찬으로는 호박전을 선택하여 어육류등의 씹는 느낌을 대신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전체평가 : 열량 배분을 ‘아침 : 점심 : 저녁’ 을 ‘약 1 : 1.5 : 1.2’ 비율로 하여 아침에는 너무 많은 열량 섭취로 활동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였고, 점심 식사의 경우에는 다소 높은 비율을 배분하여 오후 이후의 활동에 필요한 열량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저녁의 경우에는 약간의 포만감을 주되 너무 많은 열량을 섭취하여 수면 중에 불편함이 없을 정도로 열량을 배분하였다.
식품선택면에서는 돼지고기나 쇠고기 등의 육류를 선택하기 보다는 꽁치, 멸치, 조개 등 어류를 선택함으로써 불포화지방산의 섭취를 늘렸고, 국이나 찌개 종류에서는 대상자가 좋아하지만 염분이 많이 들어간 찌개류를 넣지 않고 맑은 국 위주로 식단을 작성하여 저염식이 되도록 하였다. 대상자의 기호도가 고려되지 않아 약간의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는 부분이다. 밥 종류는 3끼 모두 쌀밥을 선택하지 않고 보리밥, 율무밥, 팥밥을 선택하여 찌개나 국에 대한 불만족을 밥으로 대신하도록 선택하였다. 매 끼 마다 약간 간이 있는 반찬을 선택하여 싱거운 국과 함께 먹음으로써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
영양교육면에서는 대상자가 직업상 간을 보거나 빵을 만들면서 시식을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되도록 그러한 상황을 피할 것을 권고하였다. 그리고 일주일에 한 두 번 갖는 술자리도 되도록 피할 것을 권고하였다. 앞으로 짜게 먹는 습관을 버리고 입맛을 싱겁게 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고, 좋아하는 기름진 음식을 자제하도록 하고, 점심에 한꺼번에 많은 양을 먹는 것보다는 시간을 내어 간식으로 열량을 나누어 섭취할 수 있도록 권고하였다.
추천자료
비만관련 질병
뇌손상환자 - 신경외과 case study
심장수술환자간호
질병과 운동
허혈성 심질환
(간호학과) 내과병동 제2형 당뇨 환자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심장질환에 대한 운동처방
(의료사회사업) 당뇨병과 환자 그리고 사회복지사의 개입 보고서
중환자간호
[간호학]전신질환과 치과치료
[흡연][흡연 유해성][흡연 실태][콜레스테롤][건강][질환][흡연 문제점][흡연 예방법]흡연의 ...
[신장질환] 신장질환의 종류와 원인 및 증상 - 신증후군, 사구체신염(급성사구체신염, 만성사...
1 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여 정리-당뇨합병증 2 제2형 당뇨병 환자를 위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