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석영의 소설 [객지]에 드러난 탈식민주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황석영의 소설 [객지]에 드러난 탈식민주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 방향
2) 탈식민주의 연구
Ⅱ. 황석영의 생애
1) 황석영의 삶
2) 「객지」에서 드러나는 황석영의 삶
Ⅲ. 황석영의 소설 「객지」
1) 「객지」 당시의 상황
2) 타자에 대한 관심
Ⅳ. 황석영 작품에 녹아있는 탈식민주의
1) 탈식민주의
2) 황석영 문학의 탈식민성
3) 「객지」 속 탈식민주의
4) 동혁의 의미
Ⅴ. 결론

본문내용

벽지의 하늘, 공단 여성근로자의 삶을
취재한 잃어버린 순이 발표. 4월에 첫 창작집 『객지』발간. 7월 한국일보에 대하
소설 『장길산』 연재.
-1975년 단편 가객, 희곡 산국(山菊) 발표. 소설집 『북망, 멀고도 고적한 곳』, 소설선
『삼포 가는 길』 발간. 신판의 집 서울신문에 연재
-1976년 단편 몰개월의 새, 한등, 철길 발표, 르포 장돌림 발표. 가을에 전남 해남으
로 이주
-1977년 단편 종노(種奴) 발표. 『무기의 그늘』의 기초가 된 난장(亂場)을 11월부터 다음
해 7월까지 『한국문학』에 연재. 『심판의 집』 발간. 해남에서 ‘사랑방 농민학교’를 시
작. 호남을 중심으로 한 현장문화운동 시작
-1978년 소설집 『가객(歌客)』발간. 문화패 ‘광대’ 창설. ‘민중문화연구소’ 설립, 광주로 이주
-1979년 ‘현대문화연구소’의 문화운동에 참여. 계엄법 위반으로 검거됐으나 기수유예 처분됨
-1980년 광주항쟁 일어남. 젊은 동료들 수십여 명 사망.
-1981년 희곡집 『장산곶매』, 소설선 『돼지꿈』 발간. ‘광주사태 수사당국’의 권유로 제주도로
이주. 제주에서 문화패 ‘수눌음’과 소극장 창립
-1982년 광주로 돌아와 ‘자유 광주의 소리’ 시작. 님을 위한 행진곡이 닮긴 첫 번째 지하
녹음 테이프 ‘넋풀이’를 제작, 배포.
-1983년 광주항쟁의 진상을 알리기 위한 문화기획팀 ‘일과 놀이’에 참가. 1월부터 이듬해 3
월까지 『유간조선』에 무기의 그늘 1부 연재
-1984년 『장길산』 10권 완간. ‘민중문화운동협의회’ 창설 및 공동대표
-1985년 광주항쟁기록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지하 출판됨. 산문집 『객지에서
고향으로』 발간. 베를린에서 열린 ‘제3세계 문화제’에 대표로 참가. 일본에서 문화패
‘한우리’와 ‘우리문화연구소’ 창립
-1986년 10월부터 이듬해 8월까지 중앙일보에 백두산 연재. 6월 항쟁의 시국변화로 중단
-1987년 소설선 『골짜기』, 『아우를 위하여』 발간. 9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월간조선』에 무
기의 그늘 2부 연재
-1988년 장편 『무기의 그늘』 발간. 3월 북한의 ‘조선문학예술총동맹’ 초청으로 방북.
이후 귀국하지 못하고 독일예술원 초청작가로 1991년 11월까지 베를린 체류. 북한
방문기 사람이 살고 있었네를 『신동아』와 『창작과비평』에 분재. 『묵의 그늘』로
제 4회 만해문학상 수상
-1990년 2월부터 7월까지 한겨레신문에 흐르지 않는 강 연재. 8월에 평양에서 열린 제
1차 범민족대회에 참가하면서 연재 중단. ‘조국통일범민족연합’창립에 주도적으로
참여, 대변인 역임
-1991년 베를린 ‘남북 해외 3자 회담’에 참가. 이 회의에 의해 ‘공동사무국 창설을 위하여
뉴욕으로 이주할 것이 결정됨. 11월 미국 롱아일랜드 대학 문화예술프로그램에 초
청받아 미국 체류. 이후 귀국할 때까지 뉴욕 체류.
-1992년 뉴욕에서 아시아인 2세들과 함께 ‘동아시아문화연구소’창립. 부정기간행물 『어머니
대나무』 발간
-1993년 4월에 귀국하여 방북사건으로 징역 7년형을 선고받음. 『사람이 살고 있었네』발간
-1998년 3월 석방
-1991년 1월부터 2000년 2월까지 동아일보에 장편소설 『오래된 정원『연재
-2000년 5월 『오래된 정원』 출간. 이 작품으로 제 14회 단재상, 제 12회 이산문학상 수상
-2001년 장편소설 『손님』 출간. 이 작품으로 제 9회 대산문학상 수상
-2003년 『삼국지』 번역 출간. 장편소설 『심청』 출간. 이 작품으로 2004년 한국문화예술진흥
원 올해의 예술상 수상
-2004년 제 8회 만해대상 수상. 2004년 1월부터 2007년 11월까지 각각 런던대학과 파리 7
대학 초청으로 4년간 체류
-2007년 『심청, 연꽃의 길』이라는 제목으로 『심청』의 개정판 출간. 한겨례신문에 연재한
소설 『바리데기』 출간
【참고문헌】
-고인환, 황석영의 손님 연구, 『한국학논집』 39집, 한양대 한국학연구소, 2005년 12월.
-고하영, 황석영 소설의 탈식민주의적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3년 8월.
-김미영, 황석영의 『심청』과 19세기 동아시아, 『역사비평』, 2004년 여름.
-김치수, 산업사회에 있어서의 소설 변화, 『문학과 지성』, 1979년 가을.
-김상희, 소설 객지에 나타난 공간과 인물, 『동남어문논집』 20집, 2005년.
-김희숙, 황석영 소설의 탈식민성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2014년.
-박종성, 『탈식민주의에 대한 성찰』, 살림 2006년.
-방민호, 리얼리즘의 비판적 재인식, 『비평의 도그마를 넘어』, 『창작과비평』, 2000년.
-오태호, 『황석영』, 글누림, 2010년.
-이호규, 70년대 저항의 두 지점, 『현대문학의 연구』 28집, 2006년.
-임기현, 『황석영 소설의 탈식민성』, 역락, 2010년 3월.
-작가 황석영 석방대책위원회, 『사람이 살고 있었네』, 시와 사회사, 1993년.
-좌담회, 내가 생각하는 民族文學, 『창작과 비평』, 1978년 가을.
-존 맥클라우드, 박종성 외 번역, 『탈식민의 길잡이』, 도서출판 한울, 2003년.
-프란츠 파농 지음, 남경태 옮김, 『대지의 저주받은 사람들』 , 그린비, 2007년.
-하정일, 민중의 발견과 민족문학의 새로운 도약, 『민족문학사강좌』 하, 『창작과비평』, 1995년.
-하정일, 저항의 서사와 대안적 근대의 모색. 『작가연구』(78호), 1991년 10월.
-황석영, 『가자 북으로 오라 남으로』, 이룸, 2000년.
-황석영, 『客地』, 문학과 지성사, 1974년 3월 15일.
-황석영, 『객지에서 고향으로』, 형성사, 1985.
-황석영, 베트남 참전작가 황석영이 본 ‘베트남에서의 한국군 양민학살’, 한겨레, 1999년.
-황석영, 변화의 중심에 서서, PEN AMERICA, 2009년.
-황석영, 『심청』 하, 문학동네 2003년.
-황석영 자전소설, 『들판에 서서 마을을 보네』, 『중앙일보』 118회, 2005년 3월 18일.
-황석영, 한씨연대기, 『창작과비평』,1973년 봄.
-황석영, 황석영, 베트남에서 다시 태어나다, 한겨레, 2000년.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7.08.28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20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