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강준만 교수의 대중문화의 겉과 속3을 읽고 가장 많이 느낀점이다. 핸드폰 문화, 영화,음악 문화, 포털문화, 뉴스, 디지털문화, 우리의 생활,소비 문화들을 보고 생각을 하게 해주었다.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읽고, 그냥 읽는게 아니라 이 책에 기제된 문제들의 정보를 읽고 올바른 판단을 하고 올바른 선택을 해서 행동으로 이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어떻게 보니까 이미 답은 주어진게 아닌가 싶다. 그 답을 스스로 생각할 수 있게 만든 이 책은 올바른 말만 하는 답을 시원하게 내 준 책들 보다 훨씬 영향력이 크다. 남이 말한 정답에는 어느정도 거부감이나 이견이 있기 마련인데 이 책엔 그런것이 없다.
대중문화는 말 그대로 대중문화이다. 우리가 아니 내가 바뀔것이다. 그럼 일단 내 주변부터는 바뀌지 않을까?
어떻게 보니까 이미 답은 주어진게 아닌가 싶다. 그 답을 스스로 생각할 수 있게 만든 이 책은 올바른 말만 하는 답을 시원하게 내 준 책들 보다 훨씬 영향력이 크다. 남이 말한 정답에는 어느정도 거부감이나 이견이 있기 마련인데 이 책엔 그런것이 없다.
대중문화는 말 그대로 대중문화이다. 우리가 아니 내가 바뀔것이다. 그럼 일단 내 주변부터는 바뀌지 않을까?
키워드
추천자료
저급한 대중문화와 가벼운 대중
대중문화의 이해 - 문화산업으로서 한류 발전 방안
대중문화와 문화적 기본권 신장
중국의대중문화
[대중문화]대중문화를 읽는 여러 가지 시각
대중문화 낯설게 읽기 - 의미를 둘러싼 투쟁
[대중문화]한류현상의 특징 및 문화산업정책에 대한 과제
대중문화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
한국의_대중문화_한류문화_중심으로
[대중문화론] 대중문화의 이해
대중문화 정의, 배경, 특징, 성격, 영향, 정보사회 도래, 문화적 변화, 미래 정보 사회, 변화...
대중문화론
대중문화가 구체적으로 청소년기의 가치관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가에 대해 네 가지 이상...
이미지로 본 대중문화의 문화콘텐츠 파급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