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실험 재료
4. 실험 방법
5. 실험 결과
6. 결론
7. 참고 문헌
2. 이론적 배경
3. 실험 재료
4. 실험 방법
5. 실험 결과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식품제조, 수돗물 등에 사용하게 되면 많은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물의 완충효과가 무기탄소의 축척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알칼리도는 물 속에서의 조류의 성장과 수중생물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생물학자들은 물의 생산력을 추정할 때 알칼리도를 하나의 변수로 측정하고 있다.
알칼리도의 이용에는 액체 속의 작은 알갱이를 가라앉게 하는 시약인 응집제 투여 시 응집효과를 촉진시키고 부식제어에 관련되는 중요한 변수인 원수의 pH가 6.5~9.5범위 내에 있을 때 탄산칼슘을 용해시킬 것인지 아니면 침전시킬 것인지를 나타내는 척도인 랑겔리어 포화지수 계산과 슬러지의 완충용량 계산분야 생물학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예비조작분야에서 알칼리도가 이용된다.
질산화는 암모니아성 질소가 호기성조건에서 아질산성 질소가 질산성 질소로 변화하는 과정으로 독립영양 미생물에 의해 일어나고 성장속도가 느리며 알칼리도가 소비된다.
탈질화는 혐기성 상태에서 미생물이 호흡을 하기 위해서 질산성 질소를 환원시키는 과정으로 질산화의 반대과정으로 종속영양 미생물에 의해 일어나며 알칼리도를 생성한다.
알칼리도에는 수산화물(OH), 탄산수소이온(HCO₃), 탄산이온(CO₃²-)의 세 가지가 있다.
페놀프탈레인용액은 분홍색을 나타내며, 분홍색으로부터 무색으로서의 색의 변화는 pH8.3에서 일어난다. 메틸오렌지용액은 알칼리도 세 가지 종류 중 어느 것의 존재 상태에서도 황색을 나타내며, 산의 존재 상태에서는 적색을 나타낸다. 변색은 대개 pH4.5에서 일어난다.
산도(acidity)는 알칼리도를 중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말하며 즉, 일정량의 시료를 강알칼리의 표준액으로써 어떤 일정한 pH까지 적정할 때 필요한 알칼리의 당량수를 말하며 pH8.5 이하에서는 산도가 존재한다. CO₂에 의해서는 pH가 4.5 이하로 내려갈 수 없다. 산도는 공설급수에서 이산화탄소에 의한 부식특성을 막기 위하여 포기(aeration)로 제거할 것인지 또는 단순히 석회나 수산화나트륨으로 중화시킬 것인지 그 처리 방법의 선택에 중요한 인자이며, 경도제거에서 필요한 약품의 양 추정에도 중요하다.
7. 참고 문헌
알칼리도 [alkalinity, -度] (환경공학용어사전, 1996. 4., 성안당)
알칼리도 (최신환경공학, 2013. 9., 동화기술)
알칼리도 [-度, alkalinity, Alkalinitat] (화학대사전, 2001. 5. 20., 세화)
알칼리도의 이용에는 액체 속의 작은 알갱이를 가라앉게 하는 시약인 응집제 투여 시 응집효과를 촉진시키고 부식제어에 관련되는 중요한 변수인 원수의 pH가 6.5~9.5범위 내에 있을 때 탄산칼슘을 용해시킬 것인지 아니면 침전시킬 것인지를 나타내는 척도인 랑겔리어 포화지수 계산과 슬러지의 완충용량 계산분야 생물학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예비조작분야에서 알칼리도가 이용된다.
질산화는 암모니아성 질소가 호기성조건에서 아질산성 질소가 질산성 질소로 변화하는 과정으로 독립영양 미생물에 의해 일어나고 성장속도가 느리며 알칼리도가 소비된다.
탈질화는 혐기성 상태에서 미생물이 호흡을 하기 위해서 질산성 질소를 환원시키는 과정으로 질산화의 반대과정으로 종속영양 미생물에 의해 일어나며 알칼리도를 생성한다.
알칼리도에는 수산화물(OH), 탄산수소이온(HCO₃), 탄산이온(CO₃²-)의 세 가지가 있다.
페놀프탈레인용액은 분홍색을 나타내며, 분홍색으로부터 무색으로서의 색의 변화는 pH8.3에서 일어난다. 메틸오렌지용액은 알칼리도 세 가지 종류 중 어느 것의 존재 상태에서도 황색을 나타내며, 산의 존재 상태에서는 적색을 나타낸다. 변색은 대개 pH4.5에서 일어난다.
산도(acidity)는 알칼리도를 중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말하며 즉, 일정량의 시료를 강알칼리의 표준액으로써 어떤 일정한 pH까지 적정할 때 필요한 알칼리의 당량수를 말하며 pH8.5 이하에서는 산도가 존재한다. CO₂에 의해서는 pH가 4.5 이하로 내려갈 수 없다. 산도는 공설급수에서 이산화탄소에 의한 부식특성을 막기 위하여 포기(aeration)로 제거할 것인지 또는 단순히 석회나 수산화나트륨으로 중화시킬 것인지 그 처리 방법의 선택에 중요한 인자이며, 경도제거에서 필요한 약품의 양 추정에도 중요하다.
7. 참고 문헌
알칼리도 [alkalinity, -度] (환경공학용어사전, 1996. 4., 성안당)
알칼리도 (최신환경공학, 2013. 9., 동화기술)
알칼리도 [-度, alkalinity, Alkalinitat] (화학대사전, 2001. 5. 20., 세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