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미디어=소셜미디어가 가져온 사회변화 중 정치적 변화의 특성을 설명하고, 2017년 대선에서 특정 정당 또는 후보자들은 소셜미디어를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사례를 제시한 후 분석하시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셜미디어=소셜미디어가 가져온 사회변화 중 정치적 변화의 특성을 설명하고, 2017년 대선에서 특정 정당 또는 후보자들은 소셜미디어를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사례를 제시한 후 분석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소셜 미디어란?
2. 소셜 미디어가 정치적으로 활용되는 것의 장단점/의의
3. 올해 대선에 활용된 소셜 미디어의 사례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때문에 수많은 어록을 만들기도 하였다. 세 번째로 안철수 후보는 페이스북을 가장 활발하게 활용한 후보이다. 페이스북 라이브를 올리면서 대중들과 실시간 소통을 추구하였고 소통의 아이콘이 되고자 하였다. 네 번째로 보수의 선두주자였던 유승민 후보는 sns를 그다지 활발하게 사용하지는 않았다. 주로 개인 블로그를 중심으로 활용하는 편이었다. 팔로워의 수도 후보들 중에서 가장 적었다. 그러나 메시지의 내용면에 있어서 정치적이면서도 진솔한 메시지를 보여주어 사람들에게 본인의 진정성을 주로 효과적으로 전달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자신의 계정에 자필로 ‘끝까지 간다’ 는 메모를 사진으로 올리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당당한 대통령이 되고자 했던 심상정 후보는 sns를 통해 당당한 여성의 표본이 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친근감을 주는 전략을 활용하였다. 패러디 영상, tv토론에서 소위 ‘사이다’를 날리는 모습을 페이스북에 공유하는 등 sns의 파급효과 또한 적절하고 올바르게 사용하였다. 트위터 팔로워 수도 매우 상위권이며 그녀의 지지층과 댓글을 통해 활발하게 소통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다른 후보들과는 달리 인스타그램을 활용하여 젊은 층을 공략했다는 것이 주된 차이점이다.
<참고문헌>
1. 강내원, 2004, 인터넷과 대중매체 이용이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세대 집단 간 비교, 한국언론학보, 제 48권 제3호
2. 강원택, 2003, 한국의 선거 정치: 이념, 지역, 세대와 미디어, 서울:푸른길
3. 금혜성, 2011, 정치인의 sns활용: 정치적 소통 도구로서의 트위터, 한국정당학회보, 제 10권 2호
  • 가격3,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7.09.14
  • 저작시기201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38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