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2.1. 쌀 공급 과잉의 원인
2.2. 쌀 생산조정제의 효과
2.3. 쌀 생산조정제 하에서 소득을 높이기 위한 경영전략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2.1. 쌀 공급 과잉의 원인
2.2. 쌀 생산조정제의 효과
2.3. 쌀 생산조정제 하에서 소득을 높이기 위한 경영전략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재배 경험이 많지 않은 작물일지라도 실패할 확률이 줄어들고 농가의 소득으로 이어진다. 쌀 생산조정제를 시행하는 정부는 쌀 생산조정을 위해 다른 작물을 재배하고자 신청한 농가에게 이와 같은 교육 기회나 기계나 장비 등의 시설적인 자원을 충분히 제공하여 농가들이 새로운 작물을 안정적으로 재배하고 효과적인 수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2) 쌀 소비량 증가를 위한 경영전략
앞서 언급했듯이 쌀 생산량 자체를 줄이는 것은 과잉 공급의 문제를 일시적으로는 해결할 수 있을지 모르나 생산의 감소에 맞추어 쌀 소비량을 증가시키지 않는다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다시 재고량이 증가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쌀 소비량이 감소한 데에는 청년층과 전문직 및 사무직 계층이 쌀을 소비하는 양이 눈에 띄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청년층은 아침을 잘 먹지 않고 간단하게 금방 먹을 수 있는 샌드위치 등의 식사를 선호하며 다양한 식단과 서구권의 음식문화에 익숙하기 때문에 쌀 소비보다는 밀 소비를 상대적으로 많이 한다. 이들이 쌀로 만든 제품을 이용하도록 하려면 기존 즉석 식품 및 일품요리 등과 경쟁할 수 있는 쌀로 만든 양질의 즉석식품을 개발해야 한다. 현대인의 입맛은 까다롭기 때문에 맛과 영양을 되도록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이어야 한다.
3. 결론
쌀은 아시아를 비롯한 한국의 주식이다. 그러나 현대인은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식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20대 및 전문직, 사무직 등 사회생활의 주체가 되는 인구의 쌀 소비량이 매년 감소하고, 그에 비해 쌀 생산량의 감소폭은 낮으니 쌀 재고가 발생한다. 생산량을 꾸준히 줄이는데도 과잉 공급이 되는 이유이다. 높은 공급과 낮은 수요 때문에 쌀값은 낮아지며 이에 쌀 재배 농가에서도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2018년부터 쌀 생산조정제를 도입하여 쌀 생산량을 줄이고 합리적인 경제 환경을 만들고자 한다. 새로이 실시하는 쌀 생산조정제는 기존 정책들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3년간 쌀 생산을 하지 않고 대체 작물을 재배하는 농가에 보조금을 지원하고 작물 수급 균형을 무너뜨리지 않는 방향으로 재배하는 대체 작물의 품종을 관리한다. 이 제도로 쌀 과잉공급의 직접적 원인이라 할 수 있는 쌀 생산량이 감소할 것이고 휴경지를 이용하여 대체 작물을 재배할 수 있으므로 토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익숙하지 않은 대체작물을 재배할 경우의 적자 상황이나 쌀 소비가 증가하지 않는 한 장기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쌀 생산조정제 하에서 소득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자체 단위로 협동하여 대체 작물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정부가 이를 충분히 지원해 주며 쌀 소비를 증가하기 위한 제품 및 콘텐츠 개발에 힘써야 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1) 농림축산식품부.
2) 김영옥. (2008). 쌀 소비실태에 따른 국민건강 상태의 변화. 식품산업과 영양, 13(2), 15-21.
3) 김영섭. (2003). 쌀 생산조정제도의 현황과 과제. 농협조사월보, Vol.548, 1-20.
2) 쌀 소비량 증가를 위한 경영전략
앞서 언급했듯이 쌀 생산량 자체를 줄이는 것은 과잉 공급의 문제를 일시적으로는 해결할 수 있을지 모르나 생산의 감소에 맞추어 쌀 소비량을 증가시키지 않는다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다시 재고량이 증가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쌀 소비량이 감소한 데에는 청년층과 전문직 및 사무직 계층이 쌀을 소비하는 양이 눈에 띄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청년층은 아침을 잘 먹지 않고 간단하게 금방 먹을 수 있는 샌드위치 등의 식사를 선호하며 다양한 식단과 서구권의 음식문화에 익숙하기 때문에 쌀 소비보다는 밀 소비를 상대적으로 많이 한다. 이들이 쌀로 만든 제품을 이용하도록 하려면 기존 즉석 식품 및 일품요리 등과 경쟁할 수 있는 쌀로 만든 양질의 즉석식품을 개발해야 한다. 현대인의 입맛은 까다롭기 때문에 맛과 영양을 되도록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이어야 한다.
3. 결론
쌀은 아시아를 비롯한 한국의 주식이다. 그러나 현대인은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식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20대 및 전문직, 사무직 등 사회생활의 주체가 되는 인구의 쌀 소비량이 매년 감소하고, 그에 비해 쌀 생산량의 감소폭은 낮으니 쌀 재고가 발생한다. 생산량을 꾸준히 줄이는데도 과잉 공급이 되는 이유이다. 높은 공급과 낮은 수요 때문에 쌀값은 낮아지며 이에 쌀 재배 농가에서도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2018년부터 쌀 생산조정제를 도입하여 쌀 생산량을 줄이고 합리적인 경제 환경을 만들고자 한다. 새로이 실시하는 쌀 생산조정제는 기존 정책들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3년간 쌀 생산을 하지 않고 대체 작물을 재배하는 농가에 보조금을 지원하고 작물 수급 균형을 무너뜨리지 않는 방향으로 재배하는 대체 작물의 품종을 관리한다. 이 제도로 쌀 과잉공급의 직접적 원인이라 할 수 있는 쌀 생산량이 감소할 것이고 휴경지를 이용하여 대체 작물을 재배할 수 있으므로 토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익숙하지 않은 대체작물을 재배할 경우의 적자 상황이나 쌀 소비가 증가하지 않는 한 장기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쌀 생산조정제 하에서 소득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자체 단위로 협동하여 대체 작물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정부가 이를 충분히 지원해 주며 쌀 소비를 증가하기 위한 제품 및 콘텐츠 개발에 힘써야 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1) 농림축산식품부.
2) 김영옥. (2008). 쌀 소비실태에 따른 국민건강 상태의 변화. 식품산업과 영양, 13(2), 15-21.
3) 김영섭. (2003). 쌀 생산조정제도의 현황과 과제. 농협조사월보, Vol.548, 1-20.
추천자료
뉴라운드 출범 이후 WTO 농업협상의 전망과 대응
[유기농병해충관리] 유기농업에서의 병.해충 관리
비만의 정의,원인,측정법,합병증,해결방법 등
[과외]중학 기술 중3-2 농업기술 03
농산물의 수입개방에 따른 우리나라 농업의 대처방안
[지구온난화]지구온난화의 원인(온실가스와 온실효과),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온난화 영향과 ...
아시아경제위기(IMF외환위기)의 원인, 한국의 경제위기(IMF외환위기), 일본과 태국의 경제위...
[소아비만] 소아비만의 원인과 문제점 및 치료방안
가정에서 발생하는 아동 비만의 원인을 기술하고 비만의 예방대책을 쓰시오
유아 비만이 생기는 가장 큰 원인이 무엇이며 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각자의 의견...
기후변화에 따른 사막화와 농업의 변화
[우리나라농촌문제] 농촌문제의 원인과 해결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