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의 수입개방에 따른 우리나라 농업의 대처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Ⅰ. 농산물의 수입개방에 따른
우리나라 농업의 대처 방안

Ⅱ.
1. 우리나라 농업의 특색
2. 토지이용현황
3. 경영규모
4. 식용작물(쌀, 밀, 옥수수, 콩)의
생산과 도입현황
5. 참고자료

본문내용

)
216
(16.9)
162
(12.7)
182
(14.2)
2.80
2003
1,264
(100.0)
166
(13.1)
550
(43.5)
216
(17.1)
157
(12.4)
175
(13.9)
2.79
2004
1,240
(100.0)
167
(13.4)
550
(44.3)
212
(17.1)
150
(12.1)
162
(13.1)
2.75
가구원수별 농가 분포
4. 식용작물(쌀, 밀, 옥수수, 콩)의 생산과 도입현황
식용 작물의 생산량을 종류별로 살펴보면 미곡은 양곡 총 생산의 85.9%내외를
차지하고 있으며, 맥류는 크게 줄어들었고, 콩류와 서류도 약간 감소하였다. 양곡의
성격, 즉 식량으로서 갖추어야 할 조건은 영양이 풍부하고, 사람의 기호에 맞아야
하며, 오래 저장할 수 있는 동시에 생산 면에서는 단위 면적당 수량의 안전성이 높
아야 하며, 쉽게 가꿀 수 있어서 싼 가격으로 공급될 수 있어야 한다.
우리나라 양곡 수급 상황을 살펴보면, 전체 양곡의 자급도가 1976년에 74.1% 이
던 것이 1986년에 44.5%로 크게 떨어졌으며, 2000년에는 29.7%로 저조한 상태이
다. 주곡인 쌀의 자급도는 1981년에66.2%, 1987년에 99.8%, 2000년에 102.9%로
나타났다.
○ '03 식량작물 생산액은 9조 7,552억원으로 전년(10조 4,755억원)보다 6.9%(7,202억원) 감소
- 태풍(매미) 및 잦은 비 등의 피해로 미곡, 두류, 맥류의 생산량이 감소로 식량작물 생산액 크게 감소
미곡 생산액(8조 8,359억원)이 재배면적 감소, 작황부진 등으로 전년(9조 5,564억원)보다 7.5%(7,205억원) 감소
* 미곡 재배면적 1053→1016천ha(△3.5%), 10a당 수량 471→441kg(△6.4%)
※ 식량작물 생산량
미곡 : (’00) 5,291 →(’01) 5,515 →(’02) 4,927 →(’03) 4,451천 톤
맥류 : (’00) 163 →(’01) 272 →(’02) 218 → (’03) 168천 톤
잡곡 : (’00) 75 →(’01) 68 →(’02) 85 →(’03) 81천 톤
* 추곡수매가 인상율 : (‘99) 5.0% →(’00) 5.5 →(’01)4.0 →(’02년 이후 동결)
○ 양곡 1인당 년 간 소비량은 매년 감소 추세로 생산량 감소
- (‘95)160.5 →(‘00) 153.3 →(‘01) 145.5 →(‘02) 144.0 →(’03p) 144.5kg
5. 참고자료
자료출처: 건설도시부 주택도시국
박용석 지음/시대의창/땅도 사고 돈도 버는 부동산 투자 완전정복
농어촌 공개토론회 내용 참고
http://nongji114.com/zzaa.htm
http://agrinet.co.kr/article_final.
http://search.empas.com/search
http://kin.naver.com/browse
http://web.donga.ac.kr/yklee/land/board.
http://www.saemaul.or.kr/newspaper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12.27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47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