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표준화된 간호사 용어
2. 분류체계
3. NANDA 진단의 구성요소
4. 간호진단 진술문 작성을 위한 형식
5. 실재적간호진단
6. 잠재적 간호진단
7. 진단 우선순위정하기
2. 분류체계
3. NANDA 진단의 구성요소
4. 간호진단 진술문 작성을 위한 형식
5. 실재적간호진단
6. 잠재적 간호진단
7. 진단 우선순위정하기
본문내용
NANDA 진단의 구성요소
각 진단의 개념은 명칭, 정의, 정의된 특성, 그리고 관련요인, 위험요인 네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다.
1.명칭- 대상자의 건강을 간략한 용어로 서술한 것
명칭은 진단적 진술을 할 때 문제와 원인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Ex) “실재적, 위험성, 비효율성 , 장애, 증가된” 등의 수식어 포함.
2. 정의 – 정의는 진단명의 본질적인 성질을 정확, 분명하게 표현하는 것.
Ex) “활동 지속성장애”와 “피로”에 대한 정의를 비교할 때 모두 감소된 에너지와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나 “피로”는 극도의 소모감이 지속되는 실재이나
“활동지속성장애”는 일상활동을 완전히 할 수 없는 무력에 초점이 맞춰 있음.
3. 정의된 특성- 진단명의 존재를 나타내주는 단서들
Ex) 다음의 사항 중 한 두개의 정의된 특성이 나타나면 변비라는 진단을 할 수 있다.
소화장애 d. 배변 시 통증
단단하고 건조한 형태의 변 e. 복부팽만
배변시 힘줌 f. 촉진되는 복부의 덩어리
4.관련요인 또는 위험요인 – 어떤 방식으로의 문제와 연관된 조건 또는 상황
각 진단의 개념은 명칭, 정의, 정의된 특성, 그리고 관련요인, 위험요인 네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다.
1.명칭- 대상자의 건강을 간략한 용어로 서술한 것
명칭은 진단적 진술을 할 때 문제와 원인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Ex) “실재적, 위험성, 비효율성 , 장애, 증가된” 등의 수식어 포함.
2. 정의 – 정의는 진단명의 본질적인 성질을 정확, 분명하게 표현하는 것.
Ex) “활동 지속성장애”와 “피로”에 대한 정의를 비교할 때 모두 감소된 에너지와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나 “피로”는 극도의 소모감이 지속되는 실재이나
“활동지속성장애”는 일상활동을 완전히 할 수 없는 무력에 초점이 맞춰 있음.
3. 정의된 특성- 진단명의 존재를 나타내주는 단서들
Ex) 다음의 사항 중 한 두개의 정의된 특성이 나타나면 변비라는 진단을 할 수 있다.
소화장애 d. 배변 시 통증
단단하고 건조한 형태의 변 e. 복부팽만
배변시 힘줌 f. 촉진되는 복부의 덩어리
4.관련요인 또는 위험요인 – 어떤 방식으로의 문제와 연관된 조건 또는 상황
추천자료
응급간호학
정신간호학케이스
정신간호학실습case-정신분열증
지역사회간호학 Roy 적응이론
성인간호학 내과병동 췌장염 (R/O acute pancreatitis) case study
여성간호학 PROM 조기양막파열
간호학특론)서치만의 질병과정을 적용하여 만성질환자와 급성질환자의 의료이용 행위를 비...
정신간호학 BipolarⅠdisorder - manic Case Study
고위험모아간호학 2016] 죽음 앞둔 아동과 의사소통 유념해야할 점들 아동 발달 단계별 유아...
여성건강간호학) 전치태반 A+ 자료
지역사회간호학 작업성질환관리 A+
여성건강간호학 1-5장 요약정리
성인간호학) 고혈압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 진단검사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