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간호학 BipolarⅠdisorder - manic Case Study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간호학 BipolarⅠdisorder - manic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일반적 정보

2. 과거 병력 및 현재 병력 (정신과적 병력)

3. 발달력

4. 가족력

5. 현재 정신상태 검진

6. 자료 분석

7. 간호과정
1) 대상자 문제목록
2) 간호과정 적용

8. 종합평가

9. 출처

본문내용

건강간호학 4판, 현문사, 592p
6. 처방된 진정제를 투여한다.
갑자기 acting out하는 대상자에게 lithum inj하는 것 관찰 함
항정신병 약물은 신경이완제로 정신병적 증상을 조절하며 감소시킨다.
정신건강간호학 4판, 235p, 현문사
7. 화가 너무 심해 조절할 수 없을 때 억제대를 수행한다.
2013년 6월 4일 흥분, 지시에 순응하지 않음, 전투적인 양상을 보이는 대상자에게 억제대 실시한 것 관찰 및 수행함
- 4시간 간격으로 보호대 적용부위 확인하였음
- 의사의 처방 확인하였음
- 보호자(모)에게 억제대 설명하였음.
신체적 제한 또는 격리는 마지막 수단이 되어야 한다.
정신건강간호학 4판, 278p, 현문사
평가
1. 본인 및 타인을 해할 수 있는 충동을 억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는가?
: 대상자가 RN에게 퇴원/전화 요구 거절당했을 때, 소리 지르지 않고 방에 돌아가서 그냥 앉아 있거나, 밖에 나가 어머니와 찬송가 부르는 모습 관찰되었음
2. 자신의 행동이 공격적이며, 잘못된 것임을 아는가?
: 억제대 수행 후 한동안은 억제대를 풀어달라며 오히려 더 공격적인 양상 보여 약물 inj 하였으며, 충동을 조절하는 방법의 연습이 아직은 많이 부족함
3. 교육자와의 훈련을 통하여, 행동이 아닌 말로 자신의 느낌을 표현할 수 있는가?
: 대상자가 사회사업가의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 5일 중 1번 성공하였으나 가서 잠만 자는 양상 보였으며, 참여의사가 없고 느낌 표현 또한 거의 불가능했다.
2. 간호과정 적용
간호
진단
자가 간호 결핍 및 과다 활동과 관련된 외상 위험성 (Risk for Vascular Trauma)
(상처, 화상, 골절과 같은 조직 손상 사고의 위험성)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1. 2013년 6월 8일 13:00
"아! 아야 아 아파 …“ (문에 부딪힘)
2. 2013년 6월 10일 14:00
(엄마를 찾으러 다니다가 베란다 턱에 걸려 넘어질 뻔하며) “엄마! 엄마! 아이씨, 이게 뭐야”
3. 2013년 6월 12일 13:00
(대상자가 걷다가 아무데나 앉아버려 “여기 운동기구 있어서 위험해요. 왜 여기 앉으셨어요?” 라고 물으니) “힘들어, 힘들어서 좀만 쉬다가 일어날게”
1. 2013년 6월 7일 10:00, 직접 관찰 : 오른쪽 팔에 걷다가 문에 부딪혀서 새로 생긴 멍
2. 2013년 6월 4일~14일, 직접 관찰 : 병동 내에서 신발 신지 않고 맨발로 다니는 모습, 머리를 풀어 헤치고 바닥만을 보며 화장실베란다 등 가리지 않고 이곳저곳 계속 배회하는 모습, 눈을 반쯤 감은 상태로 비틀비틀 취한 듯 걸어 다니는 모습, 수면시간 및 상담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 내내 계속 비틀비틀 거리며 걷거나 잠깐씩 앉아 쉬는 양상을 보임
3. 2013년 6월 12일 13:00, 직접 관찰 : 약 1시간가량 걸어 다니다가 피로해 땅바닥에 아무데나 앉아버리는 모습 관찰 됨
간호
목표
<장기목표>
1.의복을 알맞게 입고 바르게 걸어 활동 시 다치지 않는다.
2.적절한 휴식을 통해 활동 시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3일 내에 스스로 의복을 알맞게 하고 다닌다.
2. 대상자는 3일 내에 주위 환경 관찰의 필요성을 알고 실천한다.
간호 계획
간호 중재
합리적 근거
1. 환경 자극을 최소화해 쓸 모 없는 과잉 활동을 줄인다.
대상자가 매일 배회하는 이유가 엄마를 찾기 위해서 이므로, 어머니를 밖에 나가있게 하였음
어떠한 자극에도 거의 다 반응을 하기 때문에 간호사는 환경자극을 최소화하도록 중재한다.
정신건강간호학 4판, 현문사, 275p
2. 대상자 주위의 위험한 환경을 제한한다.
6월 11일 대상자 방의 널브러져 있는 이부자리와 가방 및 물통 등을 치웠음
대상자의 환경을 제한하고 위험한 물건들을 치운다.
정신건강간호학 4판, 현문사, 278p
3. 대상자에게 자가 간호
(옷 입기) 필요성을 알림
6월 13일 신발을 신지 않아 가시에 찔릴 위험성, 발바닥 까질 위험성에 대해 말하였으며 긴 바지를 질질 끌고 다녀, 바지를 밟아 넘어질 수도 있는 상황에 대해 교육함
대상자가 자신을 관리할 수 없다면 머리와 손톱 손질 같은 몸치장을 돕고 적당한 옷 선택을 돕는 것이 필요하다.
정신건강간호학 4판, 현문사, 264p
4. 올바르게 걷도록 교육한다.
다리를 피고 또박또박 걸으며, 시선을 위로 올려 주위를 살필 것을 교육 함
노인, 허약환자, 부동환자 등의 보행 시 대상자 곁에서 신체적 지지를 제공하거나 대상자에게 보행 방법에 대한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기본간호학 8편, 현문사, 435p
평가
1. 의복을 알맞게 입고 바르게 걸어 활동 시 다치지 않았는가?
: 혼자서 바르게 입을 의지가 없으며 보호자 혹은 간호학생의 도움이 필요하며 지속적으로 바르게 걷지 못하고 있다. 올바르게 걷는 방법 교육 시 “알겠어, 알지 그럼~” 이라고 하였으나 행동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음
2. 주위 환경 관찰의 필요성을 알고 실천하였는가?
: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였고 실천 또한 하지 못하였음
<종합평가>
현재 어머니와 병실에서 함께 지내는 대상자는 어머니에게 많이 의존하는 편으로 항상 어머니를 찾거나 퇴원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 병동을 맨발로 배회하는 모습 보이고 있었으며, 자가 간호(의복, 휴식 등)가 결핍되어 있고 과잉 활등으로 외상 위험성이 있는 상태였다. 또한 대상자는 지남력이나 지식수준에 문제는 없었지만 사고의 비약으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중재를 통해 의사소통 장애가 완전히 없어지진 않았지만 의사 표명이 좀 더 효과적으로 바뀌었으며, 과잉 활동 또한 줄어든 양상 보이고, 신발과 의복의 올바른 착용으로 외상 위험성 줄었으나 아직도 걸음걸이가 비틀비틀하며 시선이 바닥에 고정되어 있어 외상 위험성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다.
<출처> 정신간호학 제 4판, 155p 191p 252p 552p, 685p 현문사
: : NURSING DIAGNOSIS 2012-2014
기본간호학 Ⅱ 8th, 현문사
기본간호학 실습 8th, 30p, 현문사
약학정보원
: :: 간호중재 이론과 실무적용, 122p, 서울대학교 출판부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5.12.12
  • 저작시기2013.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98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