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특성이론
(2) 과정이론
(2) 과정이론
본문내용
'지금 여기(here and now)'를 강조하기 때문에 현상학적 이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로저스는 성격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인간의 의식과 자아인식, 특히 자아를 중요시했다. 인간은 경험하는 유기체로서 자기실현을 위한 기본적 동기를 갖고 있을 뿐 아니라 경험을 통해 가치를 형성해 간다. 또한 선천적으로 인간은 자신을 유지하고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신을 개발하려는 경향성을 타고나는데, 이것을 자아실현 경향성이라고 한다. 인간은 자아실현을 위해 다소의 투쟁과 고통을 감내하게 되는데 이는 자기발달을 지향하는 개인의 충동으로 인해 가능하다. 경험이 자기유지 혹은 향상시키는 것으로 지각되면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개인에 게 만족감을 주고, 그렇지 않고 부정하거나 반대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험은 부 정적으로 평가되어 피하게 된다.
매슬로의 욕구위계이론은 욕구의 강도에 따라 5단계로 구분된다. 음식, 물, 공 가 수면 등의 생리적 욕구(physiological needs)가 만족되면 다음 단계인 안전의 욕구(safety needs), 애정과 소속의 욕구(love and belongings needs), 자아존중감의 욕구(self-esteem needs), 나아가 자아실현의 욕구(self-actualization needs)를 성취할 수 있다. 자아실현의 욕구를 성취하는 사람은 극소수의 사람에 불과하다. 그는 또 결핍동기와 성장동기를 구분하여 제시했는데, 결핍동기란 인간의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것이고, 성장동기는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고 자기를 완성 하려는 동기로서 결핍동기가 어느 정도 충족된 후에 작용한다.
매슬로의 욕구위계이론은 욕구의 강도에 따라 5단계로 구분된다. 음식, 물, 공 가 수면 등의 생리적 욕구(physiological needs)가 만족되면 다음 단계인 안전의 욕구(safety needs), 애정과 소속의 욕구(love and belongings needs), 자아존중감의 욕구(self-esteem needs), 나아가 자아실현의 욕구(self-actualization needs)를 성취할 수 있다. 자아실현의 욕구를 성취하는 사람은 극소수의 사람에 불과하다. 그는 또 결핍동기와 성장동기를 구분하여 제시했는데, 결핍동기란 인간의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것이고, 성장동기는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고 자기를 완성 하려는 동기로서 결핍동기가 어느 정도 충족된 후에 작용한다.
추천자료
[정신건강] 정신건강론
(정신건강론) 이주여성정신건강 보고서
[정신건강론] 인간발달에 따른 정신건강
쟁점주제 : [정신건강론]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현대 사회의 쟁점주제들의 긍정적, 부정...
[정신건강론] 성인기(청년기·중년기) 발달특성과 발달과제 및 성인기 정신건강
[정신건강론] DSM-IV에 따른 소아기의 정신건강 - 지적장애, 학습장애, 의사소통장애, 주의력...
[정신건강론] 청소년기에 나타날 수 있는 정신건강 문제 및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문제(학교폭...
[정신건강론] 정신건강 관련 분야 하나를 골라서 폐단, 원인, 해결방안을 제시 - 청소년 인터...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노년기의 정신건강문제인 선망(delirium), 치매(dementai), 자살(su...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정신지체(Mentally Retarded)의 특성 - 행동과 신체 및 운...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아동의 정신건강을 위한 가정환경 - 가정의 중요성 및 기능...
[정신건강론] 인간의 전생애 걸친 발달과제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시기의 정신건강적 ...
[정신건강론] 성인 및 노년기 정신건강을 위해 자신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인 2가지...
[정신건강론]자신이 생각하는 ‘가족과 정신건강’ 간 관련성에 대해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