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반응성 애착장애
1) 반응성 애착장애의 이해
2) 애착 행동유형
3) 반응성 애착장애와 진단 기준
4) 반응성 애착장애의 원인
5) 반응성 애착장애의 치료
2. 대소변 가리기의 문제
1) 유뇨증의 이해
2) 유뇨증의 진단 기준
3) 유뇨증의 원인
4) 유뇨증의 치료
1) 반응성 애착장애의 이해
2) 애착 행동유형
3) 반응성 애착장애와 진단 기준
4) 반응성 애착장애의 원인
5) 반응성 애착장애의 치료
2. 대소변 가리기의 문제
1) 유뇨증의 이해
2) 유뇨증의 진단 기준
3) 유뇨증의 원인
4) 유뇨증의 치료
본문내용
이 있는 경우는 70%에서 유뇨증이 발생한다.
둘째, 방광의 기능장애로 해부학적으로는 정상이지만 기능적으로 작은 방광을 가진 경우가 많아 유뇨증 아동은 정상 아동에 비해 소변을 자주 보고, 방광이 조 금만 차도 요의를 느낀다.
셋째, 중추신경계의 미성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뇨증은 발달장애의 한 형태 로, 뇌의 성숙과 연관이 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수면 이상으로 수면 중 소변 생성과 연관된 항이뇨 호르몬의 분비 저하로 일어난다.
다섯째, 부적절한 대소변 가리기 훈련
여섯째, 환경적 요인과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일곱째, 타고난 기질로 집중력이 짧고 노는 데만 정신이 팔려 있어 자신의 신체적 신호에 부주의한 아이에게 흔하게 일어난다.
여덟째, 신체적인 질병으로 소변을 자주 보는 증세나 급하게 보는 증세가 있으면 신체적 질환에 의한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검사를 시행해 볼 필요가 있다.
4) 유뇨증의 치료
유뇨증은 여자아이보다 남자아이에게 많으며 5세경에 남아의 7%, 여아의 약 3%에서 유뇨증이 있으며, 7세 아동의 경우 약 10%, 10세 아동의 3% 정도는 가끔 실수하는 경우가 있으나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서 저절로 없어진다. 그러나 약 1% 정도는 성인이 되어서까지 증상이 계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첫째, 적절한 소변 가리기 훈련이 중요하다.
- 기록 : 소변을 실수하지 않은 날을 달력에 표시하고 날짜별로 횟수나 실수 한 시간대를 적어본다.
- 스티커 활용 : 긍정적인 보상으로 실수하지 않은 경우에 스티커를 주어 일 정 개수의 스티커가 모아지면 아이가 좋아하는 제2의 보상을 해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저녁 6시 이후 수분 섭취 제한 잠자기 전 규칙적인 배뇨습관을 들인다.
- 밤중에 깨워 소변을 누게 한다.
둘째, 행동치료가 도움이 된다.
- 방광훈련 : 가능한 한 장시간 소변을 참는 훈련을 반복적으로 실시한다.
- 벨-패드 기구 사용 : 이불이나 기저귀에 경보장치를 달아서 소변을 보면 벨이 울려 아이를 깨우게 만드는 장치로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셋째, 약물치료 : 소변 가리기 훈련이나 행동치료로 효과가 없을 때 시도한다.
넷째, 심리치료 : 심리적 갈등이 주 원인일 때 놀이 치료와 상담을 시행하기도 하지만, 치료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으며 부모상담이 매우 중요하다.
다섯째, 부모상담 : 어머니의 훈육방식과 양육방식에 대한 감정에 초점을 두고 상담을 진행한다.
둘째, 방광의 기능장애로 해부학적으로는 정상이지만 기능적으로 작은 방광을 가진 경우가 많아 유뇨증 아동은 정상 아동에 비해 소변을 자주 보고, 방광이 조 금만 차도 요의를 느낀다.
셋째, 중추신경계의 미성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뇨증은 발달장애의 한 형태 로, 뇌의 성숙과 연관이 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수면 이상으로 수면 중 소변 생성과 연관된 항이뇨 호르몬의 분비 저하로 일어난다.
다섯째, 부적절한 대소변 가리기 훈련
여섯째, 환경적 요인과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일곱째, 타고난 기질로 집중력이 짧고 노는 데만 정신이 팔려 있어 자신의 신체적 신호에 부주의한 아이에게 흔하게 일어난다.
여덟째, 신체적인 질병으로 소변을 자주 보는 증세나 급하게 보는 증세가 있으면 신체적 질환에 의한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검사를 시행해 볼 필요가 있다.
4) 유뇨증의 치료
유뇨증은 여자아이보다 남자아이에게 많으며 5세경에 남아의 7%, 여아의 약 3%에서 유뇨증이 있으며, 7세 아동의 경우 약 10%, 10세 아동의 3% 정도는 가끔 실수하는 경우가 있으나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서 저절로 없어진다. 그러나 약 1% 정도는 성인이 되어서까지 증상이 계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첫째, 적절한 소변 가리기 훈련이 중요하다.
- 기록 : 소변을 실수하지 않은 날을 달력에 표시하고 날짜별로 횟수나 실수 한 시간대를 적어본다.
- 스티커 활용 : 긍정적인 보상으로 실수하지 않은 경우에 스티커를 주어 일 정 개수의 스티커가 모아지면 아이가 좋아하는 제2의 보상을 해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저녁 6시 이후 수분 섭취 제한 잠자기 전 규칙적인 배뇨습관을 들인다.
- 밤중에 깨워 소변을 누게 한다.
둘째, 행동치료가 도움이 된다.
- 방광훈련 : 가능한 한 장시간 소변을 참는 훈련을 반복적으로 실시한다.
- 벨-패드 기구 사용 : 이불이나 기저귀에 경보장치를 달아서 소변을 보면 벨이 울려 아이를 깨우게 만드는 장치로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셋째, 약물치료 : 소변 가리기 훈련이나 행동치료로 효과가 없을 때 시도한다.
넷째, 심리치료 : 심리적 갈등이 주 원인일 때 놀이 치료와 상담을 시행하기도 하지만, 치료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으며 부모상담이 매우 중요하다.
다섯째, 부모상담 : 어머니의 훈육방식과 양육방식에 대한 감정에 초점을 두고 상담을 진행한다.
추천자료
정신건강문제와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정책과 과제
아동기 발달특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아동기에 나타날 수 있는 정신건강문제에 대해서 기술
기본적인정신건강증진전략과아동기에흔한정신건강문제
영유아 정신건강 증진방안과 정신건강문제
아동기 정신건강문제
정신건강문제에 대한 생각
정신건강문제 중 자살문제에 대해 기술하고 특히 자살의 위험신호와 자살예방을 위한 전략에 ...
아동기 발달특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아동기에 나타날 수 있는 정신건강문제에 대하여 기술하...
인간의 발달과정 중 아동기 발달의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발달과제와 정신건강문제와의 관련성...
현대인의 정신건강 (정신건강의 개념, 정신건강문제의 본질, 정신건강, 현대사회의 정신건강...
청소년기의 정신건강문제 및 해결방법과 접근방법
정신건강문제와 관련된 윤리적·법적 문제 고찰
우리가족(본인의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생활주기별 정신건강과 관련된 자신의 현재 단계를 서...
[노년기 정신건강문제] 노인 우울증의 증상과 치료방법 치매의 원인별 분류와 치매진단 및 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