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꾸어 /ku-/→[kwː]~[koː] 부수어 /pusu-/→[pusw]~[puso]
-도치: 도치는 입력형과 출력형이 ‘ABCD\'→\'ACBD\'와 같은 형태로 바뀌는 것이다. 즉 도치는 입력형의 두 분절음이 출력형에서 사로 자리를 바꾸어서 실현되는 것이다. 주로 조음의 실수로 일어난다. 도치는 모음도치와 자음도치로 나눌수 있다.
* 복> 곱 >배꼽, 하야로비 >해오라비 >해오라기 *직접적→집적적, 계획→괴헥
형성과정이 복잡한 것들
답례/taplje/→ tap lje → tap nje→ tamnje→[tanmje]
불파음화→비음화(어두의 두음법칙)→비음동화→구개음화
짚만 /ip-man/→ip man→[imman] 깎는 /k\'ak\'nn/→k\'aknn→[k\'aŋnn] (불파음화)
담력/tamljk/→tamnjk →[tamjk ]
불파음화 →비음화(어두의 두음법칙)→구개음화
예절/ljel/→njel→(jel)→[jel]
ㄹ의ㄴ화 →구개음화(생략)→(구개음화)ㄴ탈락
밭일/pat-il/→pat il→pat nil→pannil→[panil]
불파음화→ㄴ삽입→비음동화→구개음화
묻히어/muthi/→muti→mui→muj→[mu]
음운축약→경구개파찰음화→활음화→모음축약
-도치: 도치는 입력형과 출력형이 ‘ABCD\'→\'ACBD\'와 같은 형태로 바뀌는 것이다. 즉 도치는 입력형의 두 분절음이 출력형에서 사로 자리를 바꾸어서 실현되는 것이다. 주로 조음의 실수로 일어난다. 도치는 모음도치와 자음도치로 나눌수 있다.
* 복> 곱 >배꼽, 하야로비 >해오라비 >해오라기 *직접적→집적적, 계획→괴헥
형성과정이 복잡한 것들
답례/taplje/→ tap lje → tap nje→ tamnje→[tanmje]
불파음화→비음화(어두의 두음법칙)→비음동화→구개음화
짚만 /ip-man/→ip man→[imman] 깎는 /k\'ak\'nn/→k\'aknn→[k\'aŋnn] (불파음화)
담력/tamljk/→tamnjk →[tamjk ]
불파음화 →비음화(어두의 두음법칙)→구개음화
예절/ljel/→njel→(jel)→[jel]
ㄹ의ㄴ화 →구개음화(생략)→(구개음화)ㄴ탈락
밭일/pat-il/→pat il→pat nil→pannil→[panil]
불파음화→ㄴ삽입→비음동화→구개음화
묻히어/muthi/→muti→mui→muj→[mu]
음운축약→경구개파찰음화→활음화→모음축약
추천자료
15세기 국어의 규칙 활용과 불규칙 활용
[파생어][파생어의 정의][파생어의 형성 규칙][파생접미사][파생명사][파생형용사]파생어의 ...
不規則用言(불규칙용언)에 關한 考察
[국어 구개음화][국어][구개음화][t구개음화][k구개음화][h구개음화]국어 구개음화의 정의, ...
[조음][조음의 자질][조음의 구분][조음의 요소][조음의 위치][조음과 조음장애][조음과 조음...
변동규칙 순서
국어 움라우트 현상의 연구사적 고찰 연구
[국어][사잇소리현상][문법][사잇소리현상 표기][사잇소리현상 문법범주]국어의 특질, 국어의...
한글 맞춤법에서의 불규칙 용언의 표기 방법
한글 맞춤법에서 모음 조화 현상을 표기하는 방법
『사잇소리 현상』의 지도법
불규칙 용언 정리 (불규칙용언 중에서 어간이 바뀌는 것, 어미가 바뀌는 것, 어간과 어미가 ...
정확한 말하기의 필요성 정확한 말하기의 필요성과 장애요소 (정확한 발음법), 여러가지 발...
한국어학개론-현대 국어에서 나타나는 경음화 현상의 자료를 모아, 이를 유형화하여 체계적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