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변동규칙 순서
3. 맺음말
2. 변동규칙 순서
3. 맺음말
본문내용
Ⅰ. 머리말
언어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는 크게 \'문장-어절-낱말-형태소-음절-음소\'로 구분된다. 인간언어는 자의적인 기호체계일 뿐만 아니라, 이중분절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이중분절을 구분하는 경계는 형태소와 음절사이로써, 쪼개었을 때 뜻이 있느냐의 여부로 1차분절과 2차분절로 나뉜다. 이 때,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뜻을 가진 최소의 말의 낱덩이를 \'형태소\'라 한다. \'봄비\'에서 \'봄+비\'로 쪼갠 것이 형태소로 구분한 것이지만, 만약 \'보+ㅁ+비\'라고 나눈다면, \'봄\'의 뜻은 부수어지고 다른 뜻이 되고 만다.
한 형태소의 꼴은 언제나 일정하지 않는다. 기본형태는 변동의 현상을 설명하기 좋은 쪽으로 선택하여 정하는데, /
언어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는 크게 \'문장-어절-낱말-형태소-음절-음소\'로 구분된다. 인간언어는 자의적인 기호체계일 뿐만 아니라, 이중분절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이중분절을 구분하는 경계는 형태소와 음절사이로써, 쪼개었을 때 뜻이 있느냐의 여부로 1차분절과 2차분절로 나뉜다. 이 때,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뜻을 가진 최소의 말의 낱덩이를 \'형태소\'라 한다. \'봄비\'에서 \'봄+비\'로 쪼갠 것이 형태소로 구분한 것이지만, 만약 \'보+ㅁ+비\'라고 나눈다면, \'봄\'의 뜻은 부수어지고 다른 뜻이 되고 만다.
한 형태소의 꼴은 언제나 일정하지 않는다. 기본형태는 변동의 현상을 설명하기 좋은 쪽으로 선택하여 정하는데,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