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시스템과 SCM(8장-12장)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벌 대응이 가능⇒ ERP시스템은 어떤 특정 구가, 특정 기업의 표준 업무프로세스를 구현시켜놓은 것이 아니라 각 사업별 유형에 따라 가장 모범적인 프로세스를 내장하고 있어 글로벌 경영시대의 전략수립이나 전략적 대응이 가능하다.
⑦관리자 정보시스템⇒ 관리자들은 ERP시스템을 통하여 수시로 현재의 경영상황을 점검하고 분석할 수 있다.
⑧전자자료 교환과전자거래 대응이 가능⇒ 외부 기업과의 연계업무 수행을 위한 방법 중 대표적인 것이 전자자료 교환(EDI)이라고 할 수 있다.
ERP시스템의 기술적 특성⇒ ERP시스템은기업의 정보시스템으로서 기술적으로 클라이언트 서버시스템, 4세대 언어 및 컴퓨터에 의한 소프트웨어 공학기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객체지향기술에 의해 운영된다.
②4세대 언어 및 컴퓨터에 의한 소프트웨어 공학기술⇒ 점차 고도화되고 있는 산업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있어 기존의 프로그램 개발방식으로는 한계에 부딪치게 되면서 4세대언어와 같은 프로그램 언어가 등장하게 되었다.(C++, power builder, Delphi, java)
③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기존의 정보시스템에서의 파일시스템 구조는 데이터의 독립성이나 종속성 면에서 문제가 일어나기 때문에 ERP와 같은 높은 기능을 갖는 산업용 소프트웨어는 상용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관리 시스템을 채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④객체지향기술⇒ ERP패키지 내의 각 모듈은 업무처리 프로세스별로 각 독립된 객체의 역할을 하게 된다. ERP시스템은 수많은 모듈들의 집합체로서 각 모듈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체적으로 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용어풀이 ★
자제소요계획(marteral requirement planning; MRP): 자재, 구성품, 반조립품 등의 구매주문과 작업명령을 발생시키는 컴퓨터화된 자재관리 및 재고통제기법.
폐쇄형 자재소요계획(closed loop MRP): MRP와 생산능력소요계획이 통합되어 작성한 자재소요계획이 실행가능한지를 피드백 하여 이를 수정할 수 있게 만든 MRP시스템이다.
대생산일정계획(master production scheduling): 총괄생산계획을 기초로 하여 완제품의 생산량과 생산시기가 산출되는 계획이며 보통 6주 내지 8주간의 주별 계획.
자재명세서(bill of material; BOM): 최종제품과 각 구성품 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최종품목의 생산에 사용되는 모든 구성품과 각 구성품의 필요량 그리고 각 구성품의 조립순서 등이 명시된 것.
재고기록철(inventory record): 각 구성품의 재고현황을 나타내는 기록으로 각 구성품의리드타임 등이 기록됨.
시간대(time bucket): MRP시스템에서 정해진 구간으로 나눈 시간으로 리드 타임등을 표시하는 데 사용됨.
총소요량(gross requirements): 최종품목이나 구성품의 수요에서 발생하는 어떤 부품의 수요
예정입고량(scheduled receipts): 이미 구매주문이나 생산명령이 행해진 주문이 사용 가능한 때와 양을 나타냄.
계획주문발주(planned order release): 총 소요량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충분한 재고를 확보할 수 있도록 기업이 발주해야 하는 미래의 주문.
예상보유재고(available balance): 이 행의 첫 칸은 현재기간의 초기에 존재하는 재고수준을 보여줌. 다른 칸들은 그 기간의 말에 남게 되는 재고수준을 표시함.
하위단계부호(low-level code): 자재명세서상에서 한 구성폼이 사용되는 가장 낮은 단계를 표시함.
MRP전개(MRP explosion): 상위 구성품에 대한 계획된 주문량에 그 구성품을 조립하는데 필요한 하위구성품의 수를 곱하여 하위구성품의 필요량을 결정하는 과정.
시간경계(time fence): 대생산일정계획의 변화가 가능한 기간을 명시하는 경계.
고정주문량(FOQ)기법: 주문을 할 때 럿 크기를 고정시켜서 늘 일정한 크기의 럿을 주문하는 방법.
기간주문량(POQ)기법: 주문을 할 때 일정한 기간 동안에 필요한 소요량을 모아서 주문하는 방법.
럿 대 럿(LFL)기법: 주문을 할 때 매 기간 동안에 필요한 소요량을 기간마다 주문하는 방법.
제조자원계획(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 MRP II): 재무분석, 마케팅분석, 피드백, 전체적인사업계획 등과 같은 자료들을 사용하여 제조에 필요한 모든 자원들을 계획할 수 있도록 MRP를 확장한 것.
전사적자원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기업전체의 경영자원을 최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구매, 생산, 물류, 마케팅, 회계 등 업무기능의 효율화를 추구하는 통합된 정보시스템.
통합업무시스템⇒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의한 정보관리기능의 집중으로 한 번의 데이터 입력으로 기업 내 어느 부서에서나 정보공유가 가능한 업무수행 시스템.
그룹웨어(groupware): 다수의 사람이나 부서가 상호 협력하여 공동으로 수행하는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로서 인적 자원, 정보시스템, 업무프로세스가 컴퓨터에 의해 통합되고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짐.
관리자정보시스템(executive information system): 최고경영자 또는 관리자가 경영전략을 수립하거나 경영의사결정을 하는 경우 경영환경 등에 대하여 과학적, 체계적인 분석을 지원해 주는 정보시스템.
클라이언트 서버시스템(client server system): 각각의 클라이언트가 수행하는 업무를 클라이언트 서버에 의해 독립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중앙집중식이 아닌 분산처리 구조에 의해 효율화를 얻을 수 있는 시스템.
컴퓨터에 의한 소프트웨어공학기술(computer aided software engineering): 컴퓨터의 능력을 최대로 활용하여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자동적으로 제작하는 소프트웨어 기술로서 주로 산업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이용.
객체지향기술(object oriented technology): ERP시스템 내의 업무처리 내의 모튤을 자체처리능력으로 처리하며 필요에 따라 각 객체별로 추가, 변경시킴으로써 ERP시스템 전체의 변경이나 업데이팅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8.11.02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89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