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개음화의 발생과 전파
<목차>
Ⅰ. 들어가며- 구개음화란
Ⅱ. 본론
1) 구개음화의 종류
1. 음운현상으로서의 구개음화
1.1. 역행동화로서의 구개음화
1.1.1. ㄷ구개음화
1.1.2. ㄱ구개음화
1.1.3. ㅎ구개음화
1.2. 순행동화로서의 구개음화
1.2.1.
|
- 페이지 32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4.1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구개음화규칙의 발견
1. 방언에서의 ‘ㅈ’의 음성 실현과 구개음화
郭忠求(1996)에서 제시했던 내용의 일부를 인용하면서 방언에서의 ‘ㅈ’의 음성 실현을 살피기로 한다. 북한 방언은 지역에 따라 ‘ㅈ’의 조음 특징을 다양하게 보여주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구개음화는 (1ㅇ)을 제외하고 주로 첫음절에 일어난다. 그것은 동화주인 i가 주로 첫음절에 있기 때문이다. k구개음화는 수의적으로 단일어 내에서만 일어나므로, t구개음화와 달리 k구개음화는 엄밀순환규칙(Strict Cycle Condition)을 지키지 않는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으로 할 때 김주필은 ㄷ구개음화를 보여주는 자료는 『노걸대언해(1670)』이후의 문헌에서 취해야 한다고 하였다, 곧 『노걸대언해』이후의 17세기 중앙어를 반영한 문헌으로 『박통사언해(1677)』와 『역어유해(1690)』가 있으며 18세기 초기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08.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 말에 완료됐다고 볼 수 있다.
구개음화의 몇 가지 형태를 방언에서 어떻게 실현되는지에 대해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이익섭 외 2인(1997), 한국의 언어, 신구 문화사, pp.326-328.
우선, ㄷ(ㅌ)-구개음화는 치조음 ㄷ, ㅌ, ㄸ이 모음 i나 반모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2.0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