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 않는다. 강준만 이라고 하면 난 어느 정도의 정의를 내리지 않을까 생각했다.(이것은 진중권이 백분토론에 나오면 우리의 마음을 시원하게 뚫어주는 격언들을 쏟아 낼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과 비슷한 마음이다) 적어도 이렇게 대중문화라는 거대한 구름에 가려진채 햇빛을 받지 못하고 살아가는 우리 소시민들에게 어느 정도의 갈증을 풀게 만들어줄 문장한마디라도 찾아보려 했으나 이 책은 나에게 문제만을 남겨주고 끝이 난다. 나는 정말 궁금하다. 우리가 과연 TV라는 네모난 물건에 지배당하고 있는 것인지. 이렇게 대중문화라는 것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내가 잘못된 것인지.. 아님 대중문화의 겉과속24권 이 나올 때쯤이면 그 해답이 나올지.. 개인적으로는 아닐 것 같지만 여러 가지를 생각하게 만드는 책으로 내게 다가왔다.
키워드
추천자료
대중문화와 성에 대하여
저급한 대중문화와 가벼운 대중
대중문화의 이해 - 문화산업으로서 한류 발전 방안
대중문화와 문화적 기본권 신장
중국의대중문화
[대중문화]대중문화를 읽는 여러 가지 시각
대중문화 낯설게 읽기 - 의미를 둘러싼 투쟁
대중문화와 청소년
[대중문화]한류현상의 특징 및 문화산업정책에 대한 과제
대중문화와 여성
한국의_대중문화_한류문화_중심으로
대중문화 정의, 배경, 특징, 성격, 영향, 정보사회 도래, 문화적 변화, 미래 정보 사회, 변화...
대중문화가 구체적으로 청소년기의 가치관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가에 대해 네 가지 이상...
이미지로 본 대중문화의 문화콘텐츠 파급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