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다산 정약용 생애
2. 다산 정약용의 사상적 배경
1) 성리학 비판
2) 실학적 학풍의 영향
3) 교유 인물의 영향
4) 서학의 영향
3. 다산 정약용 교육사상
1) 교육적 인간상
2) 교육의 목적
3) 교육의 방법
4) 치인 중심의 실천적 교육사상
5) 전문성과 도덕성을 갖춘 전인교육
6) 과학적이고 실용적인 교육사상
7) 민족교육
4. 다산 정약용 교육사상의 현대적 시사점
< 참고자료 >
2. 다산 정약용의 사상적 배경
1) 성리학 비판
2) 실학적 학풍의 영향
3) 교유 인물의 영향
4) 서학의 영향
3. 다산 정약용 교육사상
1) 교육적 인간상
2) 교육의 목적
3) 교육의 방법
4) 치인 중심의 실천적 교육사상
5) 전문성과 도덕성을 갖춘 전인교육
6) 과학적이고 실용적인 교육사상
7) 민족교육
4. 다산 정약용 교육사상의 현대적 시사점
< 참고자료 >
본문내용
인정하고 있으며 아동은 개성적이고 자율적인 그리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상황에 대응하여 자기변화. 자기형성을 하는 존재로 생각했다. 이러한 아동인식으로 아동의 자주적. 자발적. 주체적 능력을 인정하고 그에 따른 무한한 가능성을 권장함과 동시에 자의·자독·자작·자행의 자율적 존재로써의 아동본질에 접근하고 있다. 고래억(2001)「茶山의 “兒學編”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고찰」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아동의 내면에 내재하고 있는 인지체계를 파악하여 아동스스로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 다산의 교육방법이야말로 암기위주와 주입식의 우리 교육현실에 나아가야 할 방향과 지침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고래억(2001)「茶山의 “兒學編”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고찰」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전인교육 기여
정약용은 자기 수련을 통한 인간성 함양에 초점을 둔 품성교육을 중시하였고 교양을 쌓아 배움에 게으르지 말 것이며 정신적 가치를 지향하되 물질적 가치 역시 생활에 필요한 것이므로 궁핍하지 않는 삼을 교육하였다. 정약용은 인성, 지성, 덕성, 재능, 경제관 등 어느 것 하나 치우침이 없이 고루 지향하는 전인교육을 행하였다고 볼 수 있다. 박영순(2003)「조선시대 자녀교육에 대한 고찰」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독서교육을 중요시 하였다.
독서 교육에서 다산은 공부할 때를 놓치지 말 것을 당부하며 올바른 독서방법, 책을 가려 초서(書)하는 방법, 독서의 바른 자세, 책 선택과 서평(書評), 필독(必讀) 도서명과 저술하는 방법 등 독서에 관한 모든 것을 세세히 일러 주면서 공부에 힘쓸 것을 여러 차례 권면하였다. 이처럼 학문하는 방법으로서 ‘독서’를 매우 중요시 했다. 이진숙(2008)「다산 정약용의 자녀교육에 관한 연구」서울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교사상
① 목민(교사)의 기본 자질로서 청렴을 강조한 것은 오늘날 교사는 물론 교육에 종사하는 모든 사람들이 갖추어야 할 덕목 중 가장 기본적인 바른 인격의 중요성을 뜻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② 사랑의 실천가이어야 한다. 정약용은 평생을 백성을 위하는 마음가짐으로 살아 왔으며 그의 대표적인 저서인 목민심서의 저술 자체가 위민의식에서 기인한 것이다.
③ 교과지도에 대한 애착과 열정을 가져야 한다.
④ 정약용은 그의 삶을 통하여 항상 노력하고 변화하는 자기계발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이해에 따라 움직이지 아니하고 옳고 그름의 판단에 따라 행동하는 삶의 기준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오늘날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을 지도하는 교사들에게 사표(師表)가 되고 있는 것이다. 정간휘(2006)「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에서 추출한 교사상 탐구」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참고자료 】
고래억(2001)「茶山의 “兒學編”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고찰」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영순(2003)「조선시대 자녀교육에 대한 고찰」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병문(2009)「“대학공의”를 통해 본 다산 정약용의 교육개혁사상」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우수행(2006)「정약용의 교육관과 교육제도개혁론 연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제희(2008)「茶山 丁若鏞의 敎育思想에 관한 硏究」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진숙(2008)「다산 정약용의 자녀교육에 관한 연구」서울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동순(2004)「다산 정약용과 존 듀이 교육사상 비교 및 현대적 의의 탐색」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간휘(2006)「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에서 추출한 교사상 탐구」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윤정(2005)「정약용의 교육사상」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아동의 내면에 내재하고 있는 인지체계를 파악하여 아동스스로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 다산의 교육방법이야말로 암기위주와 주입식의 우리 교육현실에 나아가야 할 방향과 지침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고래억(2001)「茶山의 “兒學編”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고찰」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전인교육 기여
정약용은 자기 수련을 통한 인간성 함양에 초점을 둔 품성교육을 중시하였고 교양을 쌓아 배움에 게으르지 말 것이며 정신적 가치를 지향하되 물질적 가치 역시 생활에 필요한 것이므로 궁핍하지 않는 삼을 교육하였다. 정약용은 인성, 지성, 덕성, 재능, 경제관 등 어느 것 하나 치우침이 없이 고루 지향하는 전인교육을 행하였다고 볼 수 있다. 박영순(2003)「조선시대 자녀교육에 대한 고찰」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독서교육을 중요시 하였다.
독서 교육에서 다산은 공부할 때를 놓치지 말 것을 당부하며 올바른 독서방법, 책을 가려 초서(書)하는 방법, 독서의 바른 자세, 책 선택과 서평(書評), 필독(必讀) 도서명과 저술하는 방법 등 독서에 관한 모든 것을 세세히 일러 주면서 공부에 힘쓸 것을 여러 차례 권면하였다. 이처럼 학문하는 방법으로서 ‘독서’를 매우 중요시 했다. 이진숙(2008)「다산 정약용의 자녀교육에 관한 연구」서울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교사상
① 목민(교사)의 기본 자질로서 청렴을 강조한 것은 오늘날 교사는 물론 교육에 종사하는 모든 사람들이 갖추어야 할 덕목 중 가장 기본적인 바른 인격의 중요성을 뜻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② 사랑의 실천가이어야 한다. 정약용은 평생을 백성을 위하는 마음가짐으로 살아 왔으며 그의 대표적인 저서인 목민심서의 저술 자체가 위민의식에서 기인한 것이다.
③ 교과지도에 대한 애착과 열정을 가져야 한다.
④ 정약용은 그의 삶을 통하여 항상 노력하고 변화하는 자기계발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이해에 따라 움직이지 아니하고 옳고 그름의 판단에 따라 행동하는 삶의 기준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오늘날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을 지도하는 교사들에게 사표(師表)가 되고 있는 것이다. 정간휘(2006)「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에서 추출한 교사상 탐구」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참고자료 】
고래억(2001)「茶山의 “兒學編”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고찰」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영순(2003)「조선시대 자녀교육에 대한 고찰」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병문(2009)「“대학공의”를 통해 본 다산 정약용의 교육개혁사상」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우수행(2006)「정약용의 교육관과 교육제도개혁론 연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제희(2008)「茶山 丁若鏞의 敎育思想에 관한 硏究」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진숙(2008)「다산 정약용의 자녀교육에 관한 연구」서울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동순(2004)「다산 정약용과 존 듀이 교육사상 비교 및 현대적 의의 탐색」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간휘(2006)「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에서 추출한 교사상 탐구」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윤정(2005)「정약용의 교육사상」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추천자료
듀이 (John Dewey)의 교육사상과 유아교육
몬테소리교육사상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인문주의와 개신교 교육, 그리고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
신라인의 화랑정신과 화랑도 교육사상의 교육사적 의의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론의 강조점 및 아동중심교육사상
[페스탈로치]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과 교육이론
[교육학] 『루소(Rousseau)의 교육사상』에 대하여
페스탈로치교육사상
프뢰벨(생애, 시대상황, 사상, 인간관, 유아관, 교육사상, 영향)
우리나라 보육발전에 영향을 준 주요사상가들의 교육사상과 방법을 네 가지 유형, 흥미중심, ...
루소(Rousseau)의 교육사상을 정리하고 현대 유아교육에 미친 영향에 대해 논하시오
「루터(Luther)」 - 루터 생애, 루터 대표적 저서, 루터 교육사상, 루터 교육사적 의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