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촉경계혼란에 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접촉경계혼란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접촉경계혼란’의 개념과 기능
가. 정신병리의 일반적 원인
나. ‘접촉경계’의 개념과 기능
다. ‘접촉경계혼란’의 개념과 기능

2. ‘접촉경계혼란’의 종류
가. 내사(introjection)
나. 투사(projection)
다. 융합(confluence)
라. 반전(retroflection)
마. 편향(deflection)

3. 본인이 주로 사용하는 ‘접촉경계혼란’의 방식
가. 반전(retroflection)
나. 편향(deflection)

본문내용

다. 특히 내 자신과 타인에게 무의미한 행동을 끊임없이 반복하는 강박증상을 심각한 수준으로 앓고 있는 것도 해소되지 않은 유기체적 욕구와 이를 반전하는 내 자신 간의 내부의 싸움에서 비롯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내 자신의 솔직한 욕구와 주관을 외부로 표출하는 것은 필연적으로 내 자신과 외부 사이의 긴장과 갈등을 일으킨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타인과의 갈등이나 긴장은 나에게는 가장 큰 스트레스이기에, 차라리 긴장과 갈등의 대상을 외부가 아닌 내 자신으로 방향을 돌려버리는 길을 택하였다. 강박증상과 함께 내 자신을 늘 지배하고 있는 것은 바로 ‘죄책감’이다. 죄책감은 분노가 내 자신을 향해 반전된 것이다. 욕구와 억제, 이 둘이 내 안에서 끝없이 전쟁을 하면서 분노와 증오는 내 자신을 향하게 되어 결국 죄책감과 그로 인한 우울증세를 늘 안고 살아가고 있다.
나. 편향(deflection) : 내 자신이 두 번째로 많이 사용하는 접촉경계혼란의 방식은 편향(deflection)이다. 내성적이고 소심한 성격 탓에 외부환경과의 접촉과 교류를 꺼리는 경향이 강하다. 타인 혹은 외부환경과의 접촉은 내게는 그 자체가 큰 스트레스로 작용한다. 따라서 내 자신의 외부에 대한 감각을 둔화시켜 접촉 자체를 회피하여 접촉에서 오는 긴장과 갈등을 줄이는 것을 선호한다. 상대방과 대화할 때 눈을 똑바로 마주치지 않으려 하고, 상대방의 주장이 나와 생각이 다르더라도 굳이 그에 반박하지 않고 소극적으로 고개를 끄덕이는 등의 반응에 머무르는 것도 외부와의 접촉 및 충돌을 꺼리는 내 자신 내부의 ‘편향’ 성향에 기인하는 것이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7.11.04
  • 저작시기201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84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