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경영연구 ] 전시행정 (Exhibition Administration-David Dean)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술경영연구 ] 전시행정 (Exhibition Administration-David Dean)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일정 수립(Scheduling)
계약(Contracting)
제작과 자원관리(Production and resource management)
점검표(Checklists)
일정표(Timelines)
문서분류작업(Documentation)
선전과 마케팅(Publicity and marketing)

본문내용

나 새로운 관람객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관심을 끌 가능성이 있는 전시회에 투자하는 것은 현명한 일이다. 그 같은 기회는 1년에 한두 번 정도밖에 생기지 않는다. 이러한 ‘지역의 블록버스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미술관은 컨설턴트나 새로운 직원을 고용하지 않고서도 여러 가지 선전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그 지역의 매체와 계약을 체결하는 일, 인쇄물을 준비하고 배포하는 일, 공적 활동이 활발한 매체 종사자들을 초청하는 일 등은 미술관에 대한 관심을 촉진하는 데 도움을 준다. 신문전단은 전시회에 대한 한 쪽 분량의 글, 전시회 일정, 전시회에 부수적인 활동들, 대표적인 전시품들의 사진을 실을 수 있다. 또한 미술관에 대한 브로셔, 개관시간, 입장료 등의 정보들도 신문전단에 포함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미술관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를 담은 인쇄 자료를 준비해야 한다. 그리고 어떤 전시회의 광고를 계획할 때 그 전시회에 대한 특별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전시회 개최를 알리는 광고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빠르게 조합되고 배포시킬 수 있다.
많은 지역에서 뉴스 프로그램은 늦은 오후나 저녁에 방영된다. 뉴스방송 중에 전시회 소식을 전한다면 많은 사람들의 주의를 끌 수가 있다. 대체로 사람들은 가장 최근에 받은 자극에 이끌려 무의식적으로 여가시간을 결정한다. 방송매체의 즉시성은 대중에게 미술관의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미국의 방송매체 관리 규정에는 방송국이 공익사업 프로그램의 무료시간대에 미술관을 위한 광고를 얼마간 할애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미술관은 이러한 공익사업 광고(PSAs)시간에 선전할 기회를 갖게 된다. 공익사업 예고 방송을 준비하기 위해서 지역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방송국과 함께 일하는 것은 비용 면에서 전문적인 광고를 만들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공익광고의 주된 단점은 주요 시청시간대에 거의 방송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중요 시간대는 방송국 측에서 볼 때, 상업적인 가치가 매우 크다. 그러나 지역 매체들과 좋은 협력관계를 유지함으로써 미술관의 광고방송이 가능한 시간에 미술관의 메시지를 더 잘 전달할 수 있도록 방송국 관계자들을 고무할 수 있다.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해 내고 지역 매체와 좋은 관계를 맺음으로써 미술관은 필요한 선전의 많은 부분을 충족시킬 수 있다. 미술관이 공중의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서 노력할수록 선전과 판촉활동의 중요성은 더욱 커진다.

추천자료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7.11.06
  • 저작시기201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85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