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고 성교육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제시했다. 한편 Gagliano(1987)는 성학대 피해아동을 위해 성교육, 근친 성 학대에 관한 토론, 죄의식의 해소, 부모의 역할과 유형 등을 치료 프로그램에 포함하고 있다. 특히 미래의 위험상황을 예방하기 위한 교육으로 불편하고 두려운 접촉에 대해 '안 돼'라고 말할 수 있도록 자기 주장하는 훈련과, 누구에게 알릴 것인지 누구에게 도움을 청할 것인지에 대한 혼련 등을 들 수 있다.
대부분의 아동 성학대 예방 프로그램은 아동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그 기본 가정은 적절한 교육이나 훈련으로 아동이 학대를 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이 아동뿐 아니라 어른에게도 초점을 두었다면 더욱 효과적일지도 모른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Gilgun과 Gordon(1985)은 현재의 예방 프로그램은 성학대자를 간과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프로그램이 아동보다 성인학대자에 더 많은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한편, 성학대 예방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효과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이 프로그램이 지식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고 지적한 연구는 있다. 그러나 나이 어린 아동에게서 지식은 오래 가지 않으며, 지식 자체가 행동을 변화시킨다거나 성학대를 예방할 수 있는가 하는 의문점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성학대 예방 프로그램의 잠재적인 부정적 영향에 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는데, 즉 어떤 어린이는 두려움을 지나치게 갖게 될 수 있고, 자신에게 중요한 어른들과의 관계를 방해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긍정적인 성교육이 없는 상황에서 성의 부정적인 측면인 학대에 초점을 둔 교육은 아동이 성에 관해 부정적인 메시지만 학습할 우려가 있으므로 해로울 수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성 학대 프로그램이 포괄적인 건강 중심 성교육에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대부분의 아동 성학대 예방 프로그램은 아동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그 기본 가정은 적절한 교육이나 훈련으로 아동이 학대를 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이 아동뿐 아니라 어른에게도 초점을 두었다면 더욱 효과적일지도 모른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Gilgun과 Gordon(1985)은 현재의 예방 프로그램은 성학대자를 간과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프로그램이 아동보다 성인학대자에 더 많은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한편, 성학대 예방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효과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이 프로그램이 지식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고 지적한 연구는 있다. 그러나 나이 어린 아동에게서 지식은 오래 가지 않으며, 지식 자체가 행동을 변화시킨다거나 성학대를 예방할 수 있는가 하는 의문점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성학대 예방 프로그램의 잠재적인 부정적 영향에 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는데, 즉 어떤 어린이는 두려움을 지나치게 갖게 될 수 있고, 자신에게 중요한 어른들과의 관계를 방해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긍정적인 성교육이 없는 상황에서 성의 부정적인 측면인 학대에 초점을 둔 교육은 아동이 성에 관해 부정적인 메시지만 학습할 우려가 있으므로 해로울 수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성 학대 프로그램이 포괄적인 건강 중심 성교육에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추천자료
[부모교육]부모교육(부모지도)의 정의와 필요성, 부모교육(부모지도) 프로그램의 의의, 부모...
인성교육의 정의, 인성교육의 중요성, 인성교육의 원리, 초등학교 인성교육의 프로그램, 초등...
건전한 성의식, 건전한 성역할을 위한 성 교육 프로그램 (중학교 1학년)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다문화 프로그램의 개념과 교육과정 구성에 대해 설명
교육과정 개념의 변천과 그 중 생태중심 유아교육 프로그램 1가지를 알아보고 소개하시오 - ...
[유아교육과정 공통] 다음 유아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중 2개를 선택하여 비교 설명 - 통합교...
[교육복지 방안] 교육복지의 개념, 교육복지의 필요성, 교육복지사업 프로그램 운영사례 - 교...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장애유아의 통합교육 프로그램>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의 개념...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론] 평생교육 프로그램(Lifelong Education Program)의 기획 (프로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론] 평생교육(平生敎育)의 이해 - 평생교육의 개념과 개념적 특성 및...
A+자료 유아 다문화 교육(Multi-cultural Education) {유아 다문화 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목...
[2016 특수아교육B형] 자폐범주성장애, 의사소통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 및 건강장애...
자폐범주성장애, 의사소통장애의 개념, 원인, 특성, 판별 및 평가 방법, 교육 방안을 논의하...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개념 정리 및 생태유아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학습자의 의견을 서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