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론] 평생교육(平生敎育)의 이해 - 평생교육의 개념과 개념적 특성 및 한국의 평생교육의 역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론] 평생교육(平生敎育)의 이해 - 평생교육의 개념과 개념적 특성 및 한국의 평생교육의 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평생교육의 개념

2. 평생교육의 개념적 특성

3. 우리나라 평생교육의 역사
 1) 1950년대 평생교육이 있기 전
 2) 1960년대 우리나라의 사회교육
 3) 1970년대
 4) 1980년대
 5) 1990년대
 6) 2000년대 이후

4. 맺는 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갔다. 또한 문해교육협회를 중심으로 문해교육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마치 문맹자가 거의 없었던 것 같았던 그 시절에도 우리의 사회 한쪽에서는 글을 몰라 애태우던 사람들이 많이 있었던 것이지요. 그들을 위해서도 사회교육이 있었던 것입니다.
4) 1980년대
그 후 1982년 기다리던 사회교육법이 국회에서 통과되었지요. 20여년 동안 10여 차례에 걸쳐 국회에 상정되었던 사회교육법이 복지국가를 내세운 전두환 정권에 이르러 평생교육조항이 헌법에 삽입되고 뒤이어 사회교육법이 통과된다. 그러나 실상 이러한 우여곡절을 거쳐 제정된 사회교육법은 껍데기일뿐 초기의 사회교육정신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결국 이때부터 개정의 필요성이 존재하게 된 것이지요.
물론 많은 문제점들을 갖고 있었던 사회교육법이었지만 이법의 제정으로 우리 사회에는 사회교육이 붐을 일으키게 됩니다. 사회교육의 전성기를 맞게된 셈이지요. 그리하여 다양한 사회교육기관이 등장하게 되었고 다양한 사회교육프로그램이 개설된다. 특히 여가 및 취미 교육프로그램, 스포츠 관련 프로그램등 학습자의 다양한 요구에 따른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5) 1990년대
그러나 1990년대 학교의 위기와 경제위기가 불어오게 되자 구조조정, 지식강국, 인적자원개발 등의 슬로건이 우리 일상을 지배하기 시작했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설치된 것이 바로 이때였다. 경제인들은 학교의 구태의연함을 직설적으로 공격하기 시작하였으며 평생교육이야말로 그 해결점이라고 확신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직업기술 향상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들이 여기 저기서 개발, 실시되었다.
6) 2000년대 이후
1999년, 우리는 공식적으로 사회교육을 폐기하고 평생교육을 받아들였다. 결국 사회교육법이 평생교육법으로 바뀌게 된다. 사회교육이란 용어는 제한적이기 때문에 현재의 교육문제와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다 큰 개념의 용어가 필요했기 때문이고 국제적인 흐름이기도 했다.
어쨌거나 이제 사회교육은 평생교육이란 이름으로 거듭나게 되었고 그 안에서 다양한 새로운 제도들이 탄생되게 되었다. 이를테면 학점은행제, 독학사학위제, 문하생학력인증제, 사내대학학력인증, 원격대학 등이 그것이다. 물론 아직도 평생교육법이 갖고 있는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기는 하지만 그래도 우리는 상당히 진보적인 평생교육법과 제도를 갖게 된 것만은 사실이다.
이제 평생교육은 새로운 국가의 교육시스템으로 거듭나고 있다. 학교를 넘어 사회와 기업에 이르기까지, 유아 청소년을 넘어 노인에 이르기까지, 중산층을 넘어 교육기회를 원하는 모든 국민에게까지, 정규 교과를 넘어 생활현장과 일터에서 알게 모르게 배우게 되는 지식에 이르기까지... 지금의 교육은 20년전의 교육과는 판이하게 다르게 전개되고 있다. 이제 우리에게 남은 문제는 어떻게 이를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진정한 평생학습사회, 열린학습사회를 만드는가 하는 것이다.
4. 맺는 말
우리 나라의 평생교육은 사회교육이란 용어로 시작하여 문해교육, 농민교육, 노동자교육, 시민교육이란 내용으로 이땅의 학교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했던 사람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의식을 깨우쳐 왔다. 또한 최근에는 취미, 여가 프로그램이나 직업, 기술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시하면서 시대의 변화와 학습자의 요구에 부응해 왔다. 앞으로도 평생교육은 학습자와 사회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윤옥한 저,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론, 양서원 2014
전해황, 문종철 외 저, 평생교육방법론, 정민사 2014
양용칠, 조용기 외 저, 교육의 종합적 이해, 교육과학사 2013
김용현 저, 평생교육론, 양서원 2015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5.03.24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21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