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검사
5) 치료
6) 경과/합병증
7) 예방방법
2. 연구기간
3. 간호과정
1) 간호사정: 초기간호평가지,임상진단검사,ABGA,약물,기능적 건강양상에 대한 간호사정,신체사정
2) 간호문제
3) 간호진단#1, #2 (두개의 진단)
4.참고문헌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검사
5) 치료
6) 경과/합병증
7) 예방방법
2. 연구기간
3. 간호과정
1) 간호사정: 초기간호평가지,임상진단검사,ABGA,약물,기능적 건강양상에 대한 간호사정,신체사정
2) 간호문제
3) 간호진단#1, #2 (두개의 진단)
4.참고문헌
본문내용
객담으로 인하여 그르렁 소리가 들림.
대상자에게 스스로 객담을 뱉어내기 위해 A/C,D/B교육실시하였으나, 뱉어내지못함.
평소 20회 유지하던 호흡수가 28회로 증가.
Sp 94에서 Sp81 로 감소
ABGA 결과 호흡성 알칼리증
pH
Pa(mmHg)
Pa(mmHg)
(mEq/L)
정상범위
7.35~7.45
75~100
35~45
23~29
결과
7.487 (▲)
74.1 (▼)
31.7 (▼)
22.7 (▼)
간호진단명
(9월 3일)
환기-관류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간호 목표
대상자의 ABGA검사 결과가 정상범위이다. (단기목표)
대상자의 산소포화도가 정상범위를 유지된다. (단기목표 : 매시간 모니터)
대상자의 호흡음에서 가래 소리가 들리지않는다. (단장기목표: 스스로뱉어냄)
간호 계획
대상자의 호흡양상을 관찰한다.
대상자가 호흡곤란이 있는지 물어보고 확인한다.
호흡음을 청진한다.
(근거: 극심한 호흡곤란과 그르렁소리는 호흡 정지나 심정지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산소를 흡인시킨다.
(근거: 호흡곤란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심호흡 방법을 교육한다.
산소포화도를 자주 모니터한다.
ABGA검사를 실시하여 검사결과를 확인한다.
(근거: ABGA가 산소화와 가스교환 장애를 가장 정확하게 나타낸다. 호흡수, 심박동수, 부정맥 등은 간접적으로 가스교환 상태를 나타낸다.)
Respiratory acidosis증상이 있는지 확인한다. (정신상태변화,빈맥,불안 등)
(근거: 뇌 조직에 산소 운반이 감소하면 불안, 혼돈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간호 중재
대상자의 호흡양상을 관찰했다. -SN
(대상자가 눈을 감고 편안하게 숨을 쉬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대상자에게 호흡하기 어려운지 여쭤보았다.-SN
(고개를 끄덕였다.)
대상자의 산소포화도를 30분간격으로 모니터했다. -SN
(91-92-94-96-90순으로 산소포화도 90이상 유지.)
대상자에게 산소요법을 실시하였다. -RN
대상자의 객담을 제거하기위하여 Suction을 시행하였다. -RN
대상자의 산소포화도수치가 떨어질 때 심호흡을 격려했다. -SN
( 깊이 잠듦과 동시에 산소포화도 수치가 떨어지길래, 대상자를 깨운 후에 심호흡을 시켰더니 산소포화도가 94로 돌아옴.)
대상자에게 ABGA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혈액을 채취했다. -RN
대상자에게 지남력사정을 했다. -SN
(대상자에게 내가 누군지 여긴어딘지 시간이 어디냐고 묻자, 여자/병원/저녁이라고 대답.)
간호 평가
대상자의 ABGA검사 결과가 정상범위로 돌아왔다.
대상자의 산소포화도가 9월 5일까지 평균 94를 유지했다.
대상자의 호흡음에서 가래 소리가 들리지않았고, 대상자가 편안하게 숨을 쉬었다.
(2) 간호진단: # 2
사정
자료
주관적 자료
(9월4일)
“씹을 때 아파.”
“그만 먹고싶어. 안먹어”
“먹는거 힘들어.”
경구섭취 격려하였으나, 음식을 계속 입에 물고 삼키지 못하는 모습 관찰됨.
객관적 자료
(9월4일)
혈액학적 검사 : Albumim- 2.5g/dl, Total Protein- 5.6g/dl
식사량이 적음 : 아침 밥4숟가락, 점심 죽2숟가락, 복숭아 한 쪽 섭취.
치주염으로 인한 농 발견되었는데, 연하곤란의 원인들 중 하나로 추정.
체중감소 : 입원 시(8월26일) 57.9kg이었으나 현재(9월5일) 55.8kg측정.
간호진단명
(9월 5일)
식욕부진과 연하곤란(과거병력CVA)으로 인한 영양불균형 : 신체요구량보다 적음
간호 목표
대상자는 주어진 식사를 끝마칠 것이다. (단기목표: 매 식사)
대상자의 알부민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올 것이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체중이 늘어날 것이다. (장기목표 : 퇴원할 때)
간호 계획
식사력, 식사양상을 통해 영양 상태를 사정한다.
(근거: 환자의 영양상태를 최대화하는 전략을 찾기 위해 완전히 영양상태 평가가 이루어져야한다.)
4시간마다 V/S을 체크한다.
(근거: 영양부족으로 인해 맥박(빈맥)과 혈압이 상승할 수 있기 때문이다.)
먹고 난 후 음식을 물고 있는지 입안 점검을 시행한다.
(근거: 대상자가 연하곤란이 있는지 사정하고, 음식을 섭취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I & O를 check한다.
대상자의 의식수준, 기침반사, 구토반사, 연하능력을 관찰한다.
음식을 소량씩 자주 제공하며 식사전 휴식과, 먹는 시간을 충분히 준다.
(근거: 식사하는 동안의 호흡곤란을 감소시켜 소화를 돕는다.)
대상자가 피로를 느끼지 않도록 하여 식사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구강간호를 제공한다.
(근거: 청결한 구강은 입맛을 향상시킨다.)
대상자의 체중과 알부민수치를 확인한다.
(근거: 체중변화와 알부민수치는 영양 상태의 지표가 된다.)
간호 중재
식사력, 식사양상을 통해 영양 상태를 사정했다. -SN
매4시간 마다 V/S을 체크했다. -SN
(대상자 혈압 130/80으로 유지하였고, 체온과 맥박의 변화없었음.)
하루3번 I/O 체크했다. -RN
처방된 약물을 투여함. -RN
음식을 소량씩 자주 제공하며 먹는 시간을 충분히 제공하고,하루 중 가장 중요한 식사는 환자가 가장 배가 고프고 휴식을 충분히 취했을 때 제공하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
알부민 수치를 확인함. - RN
대상자가 청결한 환경과 이완되고 즐거운 분위기에서 섭취할 수 있도록, 침상주변, 조명과 환기 등을 살핌. -SN
간호 평가
대상자가 음식을 입에 넣고 차근차근 씹고 삼키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대상자는 주어진 식사를 다 마쳤다.
대상자의 알부민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왔다.
Ⅳ. 참고문헌
국가정보포털 : http://health.mw.go.kr/Main.do
서울대학교병원 : http://www.snuh.org/
성인간호학 2판, 이은자외, 수문사, 2012.02.27
The lippincott- Manual of nursing practice 최신임상 간호 매뉴얼 7th,Sigma Theta Tau Lanbda 저,2004.7
Manual nursing practice 8th, 병원간호사회 편찬, 현문사, 2009.3
성인 대상자를 위한 간호계획2(영양, 배설, 생식)5th edition,박상연 외, 정담미디어, 2006.9.11
대상자에게 스스로 객담을 뱉어내기 위해 A/C,D/B교육실시하였으나, 뱉어내지못함.
평소 20회 유지하던 호흡수가 28회로 증가.
Sp 94에서 Sp81 로 감소
ABGA 결과 호흡성 알칼리증
pH
Pa(mmHg)
Pa(mmHg)
(mEq/L)
정상범위
7.35~7.45
75~100
35~45
23~29
결과
7.487 (▲)
74.1 (▼)
31.7 (▼)
22.7 (▼)
간호진단명
(9월 3일)
환기-관류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간호 목표
대상자의 ABGA검사 결과가 정상범위이다. (단기목표)
대상자의 산소포화도가 정상범위를 유지된다. (단기목표 : 매시간 모니터)
대상자의 호흡음에서 가래 소리가 들리지않는다. (단장기목표: 스스로뱉어냄)
간호 계획
대상자의 호흡양상을 관찰한다.
대상자가 호흡곤란이 있는지 물어보고 확인한다.
호흡음을 청진한다.
(근거: 극심한 호흡곤란과 그르렁소리는 호흡 정지나 심정지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산소를 흡인시킨다.
(근거: 호흡곤란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심호흡 방법을 교육한다.
산소포화도를 자주 모니터한다.
ABGA검사를 실시하여 검사결과를 확인한다.
(근거: ABGA가 산소화와 가스교환 장애를 가장 정확하게 나타낸다. 호흡수, 심박동수, 부정맥 등은 간접적으로 가스교환 상태를 나타낸다.)
Respiratory acidosis증상이 있는지 확인한다. (정신상태변화,빈맥,불안 등)
(근거: 뇌 조직에 산소 운반이 감소하면 불안, 혼돈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간호 중재
대상자의 호흡양상을 관찰했다. -SN
(대상자가 눈을 감고 편안하게 숨을 쉬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대상자에게 호흡하기 어려운지 여쭤보았다.-SN
(고개를 끄덕였다.)
대상자의 산소포화도를 30분간격으로 모니터했다. -SN
(91-92-94-96-90순으로 산소포화도 90이상 유지.)
대상자에게 산소요법을 실시하였다. -RN
대상자의 객담을 제거하기위하여 Suction을 시행하였다. -RN
대상자의 산소포화도수치가 떨어질 때 심호흡을 격려했다. -SN
( 깊이 잠듦과 동시에 산소포화도 수치가 떨어지길래, 대상자를 깨운 후에 심호흡을 시켰더니 산소포화도가 94로 돌아옴.)
대상자에게 ABGA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혈액을 채취했다. -RN
대상자에게 지남력사정을 했다. -SN
(대상자에게 내가 누군지 여긴어딘지 시간이 어디냐고 묻자, 여자/병원/저녁이라고 대답.)
간호 평가
대상자의 ABGA검사 결과가 정상범위로 돌아왔다.
대상자의 산소포화도가 9월 5일까지 평균 94를 유지했다.
대상자의 호흡음에서 가래 소리가 들리지않았고, 대상자가 편안하게 숨을 쉬었다.
(2) 간호진단: # 2
사정
자료
주관적 자료
(9월4일)
“씹을 때 아파.”
“그만 먹고싶어. 안먹어”
“먹는거 힘들어.”
경구섭취 격려하였으나, 음식을 계속 입에 물고 삼키지 못하는 모습 관찰됨.
객관적 자료
(9월4일)
혈액학적 검사 : Albumim- 2.5g/dl, Total Protein- 5.6g/dl
식사량이 적음 : 아침 밥4숟가락, 점심 죽2숟가락, 복숭아 한 쪽 섭취.
치주염으로 인한 농 발견되었는데, 연하곤란의 원인들 중 하나로 추정.
체중감소 : 입원 시(8월26일) 57.9kg이었으나 현재(9월5일) 55.8kg측정.
간호진단명
(9월 5일)
식욕부진과 연하곤란(과거병력CVA)으로 인한 영양불균형 : 신체요구량보다 적음
간호 목표
대상자는 주어진 식사를 끝마칠 것이다. (단기목표: 매 식사)
대상자의 알부민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올 것이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체중이 늘어날 것이다. (장기목표 : 퇴원할 때)
간호 계획
식사력, 식사양상을 통해 영양 상태를 사정한다.
(근거: 환자의 영양상태를 최대화하는 전략을 찾기 위해 완전히 영양상태 평가가 이루어져야한다.)
4시간마다 V/S을 체크한다.
(근거: 영양부족으로 인해 맥박(빈맥)과 혈압이 상승할 수 있기 때문이다.)
먹고 난 후 음식을 물고 있는지 입안 점검을 시행한다.
(근거: 대상자가 연하곤란이 있는지 사정하고, 음식을 섭취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I & O를 check한다.
대상자의 의식수준, 기침반사, 구토반사, 연하능력을 관찰한다.
음식을 소량씩 자주 제공하며 식사전 휴식과, 먹는 시간을 충분히 준다.
(근거: 식사하는 동안의 호흡곤란을 감소시켜 소화를 돕는다.)
대상자가 피로를 느끼지 않도록 하여 식사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구강간호를 제공한다.
(근거: 청결한 구강은 입맛을 향상시킨다.)
대상자의 체중과 알부민수치를 확인한다.
(근거: 체중변화와 알부민수치는 영양 상태의 지표가 된다.)
간호 중재
식사력, 식사양상을 통해 영양 상태를 사정했다. -SN
매4시간 마다 V/S을 체크했다. -SN
(대상자 혈압 130/80으로 유지하였고, 체온과 맥박의 변화없었음.)
하루3번 I/O 체크했다. -RN
처방된 약물을 투여함. -RN
음식을 소량씩 자주 제공하며 먹는 시간을 충분히 제공하고,하루 중 가장 중요한 식사는 환자가 가장 배가 고프고 휴식을 충분히 취했을 때 제공하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
알부민 수치를 확인함. - RN
대상자가 청결한 환경과 이완되고 즐거운 분위기에서 섭취할 수 있도록, 침상주변, 조명과 환기 등을 살핌. -SN
간호 평가
대상자가 음식을 입에 넣고 차근차근 씹고 삼키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대상자는 주어진 식사를 다 마쳤다.
대상자의 알부민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왔다.
Ⅳ. 참고문헌
국가정보포털 : http://health.mw.go.kr/Main.do
서울대학교병원 : http://www.snuh.org/
성인간호학 2판, 이은자외, 수문사, 2012.02.27
The lippincott- Manual of nursing practice 최신임상 간호 매뉴얼 7th,Sigma Theta Tau Lanbda 저,2004.7
Manual nursing practice 8th, 병원간호사회 편찬, 현문사, 2009.3
성인 대상자를 위한 간호계획2(영양, 배설, 생식)5th edition,박상연 외, 정담미디어, 2006.9.11
추천자료
치매의 정의 및 진단기준 임상유형별 행동특성 치료 및 간호
신경외과 진단명과 간호
[간호학] 뇌출혈 케이스
[간호학과] 분만통증완화법 정리
인공슬관절치환술(TKR),인공고관절치환술(THR) 환자의 간호관리
뇌내출혈 간호사례 연구 (ICH)
뇌내출혈 ICH
CASE STUDY ICH(intracranial hemorrhage )
중환자실 케이스(ICU case) - 뇌내출혈 ICH(intracranial hemorrhage)
[간호학]추간판탈출증
신경계 case 뇌내출혈
신경외과 중환자실 NICU CAST STUDY 지주막하출혈
간호학과) 모성 여성 자연분만 산부인과 A+ 받은 케이스입니다.
ER 케이스 T-SDH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