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사례개요
1. 가족의 기초정보
2. 문제발생 배경
3. 가족역동의 이해
II. 구조적 치료모델의 적용
1. 가족구조 분석
2. 치료적 개입
* 참고문헌
1. 가족의 기초정보
2. 문제발생 배경
3. 가족역동의 이해
II. 구조적 치료모델의 적용
1. 가족구조 분석
2. 치료적 개입
*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 비슷한 권력을 갖기보다는 남편이 더 큰 권한을 갖는 위계구조 속에 살고 있다. 이는 아내의 자기주장이나 의견 제시를 부정적인 것으로 폄하함으로써 부부간의 협상과 조정과정을 어렵게 하였다.
넷째, 아내의 의사소통 능력의 한계 때문에 효과적인 부모 역할 수행을 위해 협상하고 합의하는 과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자녀는 부모보다 오히려 할머니와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데, 이는 자녀가 조부모와 갈등관계에 있는 어머니의 권위를 받아들이는 과정을 어렵게 할 수 있다.
(2) 치료적 개입
구조적 모델에 입각하여 사례가족에 치료하고자 할 때, 가족 상호작용을 재구조화하여 부부 하위체계가 건강하게 확립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영역에 대한 개입을 해야 한다.
첫째, 시어머니와 남편 간의 밀착된 경계선을 분명한 경계선으로 바꾸기 위해 모자간 상호작용 빈도를 감소시킨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시어머니가 가지고 있는 관계성 욕구가 시아버지와의 부부관계를 통해서나 다른 사람과의 관계 형성을 통해 충족되도록 돕는 작업이 병행되어야 한다.
둘째, 부부 하위체계가 애정과 친밀감을 바탕으로 형성되도록 부부간 상호작용의 빈도를 서서히 증가시킨다. 부부 상호작용의 내용은 부부가 선호하고 현실적으로 할 수 있는 것으로 협의하여 선택한다.
셋째, 시부모의 권위를 인정하되, 부부가 자녀양육의 책임을 맡고 아이들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도록 가족의 위계구조를 재확립한다.
넷째, 재명명 기법을 통해 가족원이 문제를 둘러만 사건이나 상황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변화 의지를 갖도록 돕는다. 예를 들어 남편의 폭력과 욕설, 아내의 가출은 '갈등에 대처하는 다른 좋은 방범을 모르는 것이라고 재명명함으로써 효과적인 갈등대처방식을 배우도록 이끈다. 이를 위해 치료실에서 실연 기법을 통해 부부가 갈등에 대처하는 방법을 실습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넷째, 아내의 의사소통 능력의 한계 때문에 효과적인 부모 역할 수행을 위해 협상하고 합의하는 과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자녀는 부모보다 오히려 할머니와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데, 이는 자녀가 조부모와 갈등관계에 있는 어머니의 권위를 받아들이는 과정을 어렵게 할 수 있다.
(2) 치료적 개입
구조적 모델에 입각하여 사례가족에 치료하고자 할 때, 가족 상호작용을 재구조화하여 부부 하위체계가 건강하게 확립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영역에 대한 개입을 해야 한다.
첫째, 시어머니와 남편 간의 밀착된 경계선을 분명한 경계선으로 바꾸기 위해 모자간 상호작용 빈도를 감소시킨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시어머니가 가지고 있는 관계성 욕구가 시아버지와의 부부관계를 통해서나 다른 사람과의 관계 형성을 통해 충족되도록 돕는 작업이 병행되어야 한다.
둘째, 부부 하위체계가 애정과 친밀감을 바탕으로 형성되도록 부부간 상호작용의 빈도를 서서히 증가시킨다. 부부 상호작용의 내용은 부부가 선호하고 현실적으로 할 수 있는 것으로 협의하여 선택한다.
셋째, 시부모의 권위를 인정하되, 부부가 자녀양육의 책임을 맡고 아이들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도록 가족의 위계구조를 재확립한다.
넷째, 재명명 기법을 통해 가족원이 문제를 둘러만 사건이나 상황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변화 의지를 갖도록 돕는다. 예를 들어 남편의 폭력과 욕설, 아내의 가출은 '갈등에 대처하는 다른 좋은 방범을 모르는 것이라고 재명명함으로써 효과적인 갈등대처방식을 배우도록 이끈다. 이를 위해 치료실에서 실연 기법을 통해 부부가 갈등에 대처하는 방법을 실습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추천자료
보웬 가족치료이론,보웬에 대하여,가족치료목표,가족치료의 핵심개념
[가족치료모델]가족치료모델의 개념과 과정 및 사례, 평가와 한계점
이야기 가족치료의 발달배경 및 개념과 치료목표, 과정, 방법 및 사례분석
[정신분석적 가족치료] 정신분석 가족치료의 개념과 치료목표 및 과정, 치료기법, 이론평가
가족과의 실천 - 개입기술 (가족치료를 중심으로) 가족치료의 정의와 특성 및 목적, 가족치료...
가족치료(정의, 특징, 과정, 대상, 가족치료사, 주요인물, 가족치료개입사례첨부)
가족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의 방법 (가족치료의 개념, 가족치료의 발전과 흐름, 가족치료의 ...
[가족상담및치료] 보웬의 가족치료이론의 핵심개념인 자기분화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고, 자...
가족치료의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해서 기능적 가족과 역기능적 가족의 차이점을 기술한 후, ...
[전략적 가족치료] 전략적 가족치료의 주요개념과 이론적 기초, 전략적 가족상담의 목표 및 기법
가족치료의 개념과 유형
가족상담및치료)경험적 가족치료의 주요개념 중 하나는 자아존중감이다. 자아존중감을 높일 ...
[가족치료] 이야기치료(이야기치료의 주요개념과 치료목표 및 치료기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