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화소개 및 줄거리
2. 사례
1) 증상 및 행동분석
2) 멜빈의 성격분석
□ 보충학습 : 강박증
□ 멜빈이 자주 사용하는 방어기제에 대한 분석
3) 멜빈의 성격이 변화되어 가는 과정
3. 소감
<강박적 인격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특성은>
<참고문헌>
2. 사례
1) 증상 및 행동분석
2) 멜빈의 성격분석
□ 보충학습 : 강박증
□ 멜빈이 자주 사용하는 방어기제에 대한 분석
3) 멜빈의 성격이 변화되어 가는 과정
3. 소감
<강박적 인격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특성은>
<참고문헌>
본문내용
생각하도록 하는 것도 비합리적신념을 바꿔주는 예이다. 또한 감염을 조심해서 늘 장갑을 끼고 다니던 그가 강도를 맞은 게이 이웃인 사이먼을 집으로 데려와 자는 것과, 개를 쓰레기통에 버릴 정도로 싫어하였다가 개와 함께 생활할 수 있을 정도가 된 것 등이 그 변화이다.
이렇게 멜빈은 그의 강박증적인 성격을 조금씩 고쳐나가 캐럴과의 로맨스를 이루며 영화는 끝이 난다.
3. 소감
성격분석을 하면서 느낀 것은 사람의 성격은 딱 이것이라고 단정 지을 수 없다는 것이다. 이 영화에 나오는 멜빈이 성격장애를 지닌 특수한 사람이었음에도 한 가지 성격이론에 적용할 수 없었던 것을 보면서 일반 사람들의 경우에는 더 역동적인 측면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멜빈의 경우처럼 눈에 띄는 장애를 지닌 사람이 아니어도 이 세상에 완벽하게 건강한 성격을 지닌 사람도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영화 속의 캐럴이나 사이먼도 각자 자신의 문제를 안고 사는 사람들이었다. 그렇다고 사람들이 모두 정신과를 방문해야 하는 것도 아니다. 사람들과 부딪혀가며 자신의 문제를 고쳐가고 서로 타협하면서 살아가는 것이다.
사람은 나이를 먹으면서 둥글둥글해진다고 하였다. 나도 나이를 먹으니까 젊었을 때 보다 화를 덜 내게 되는 것을 확실히 느끼게 되고 아내도 그전에 비하면 내가 많이 달라졌다고 한다. 성격은 프로이드의 말처럼 결정되어진 것이 아니라 사회 속에서, 사람들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하고 적응하면서 가꿔지는 것 같다. 나 또한 내 주변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서 보다 원만하고 건강한 성격을 지닐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강박적 인격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특성은>
1. 일의 자질구레한 내용이나 규칙 목록 순서 등에 집착해 본질을 놓친다,
2. 자신의 기준을 채우려다 일을 못 마치곤 한다,
3. 지나치게 일에 열중한다,
4. 지나치게 도덕 양심 가치관에 집착하고 소심하다,
5. 쓰임새가 없어진 낡고 가치 없는 물건을 쉽게 버리지 못한다,
6. 동료나 부하 직원이 자신의 의견에 따르지 않는 것을 견디지 못한다,
7. 구두쇠이며 돈 씀씀이에 인색하다,
8. 성격이 경직되고 완강하다고 평가받는다.
의학적으로는 이들 8가지 기준 중 4가지 이상에 해당되면 그 사람을 강박적 인격 문제가 있다고 진단한다.
<참고문헌>
김현택 외 공저(2004), 심리학, 학지사.
http://www.mybox.happy campus.com/(재구성).
이렇게 멜빈은 그의 강박증적인 성격을 조금씩 고쳐나가 캐럴과의 로맨스를 이루며 영화는 끝이 난다.
3. 소감
성격분석을 하면서 느낀 것은 사람의 성격은 딱 이것이라고 단정 지을 수 없다는 것이다. 이 영화에 나오는 멜빈이 성격장애를 지닌 특수한 사람이었음에도 한 가지 성격이론에 적용할 수 없었던 것을 보면서 일반 사람들의 경우에는 더 역동적인 측면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멜빈의 경우처럼 눈에 띄는 장애를 지닌 사람이 아니어도 이 세상에 완벽하게 건강한 성격을 지닌 사람도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영화 속의 캐럴이나 사이먼도 각자 자신의 문제를 안고 사는 사람들이었다. 그렇다고 사람들이 모두 정신과를 방문해야 하는 것도 아니다. 사람들과 부딪혀가며 자신의 문제를 고쳐가고 서로 타협하면서 살아가는 것이다.
사람은 나이를 먹으면서 둥글둥글해진다고 하였다. 나도 나이를 먹으니까 젊었을 때 보다 화를 덜 내게 되는 것을 확실히 느끼게 되고 아내도 그전에 비하면 내가 많이 달라졌다고 한다. 성격은 프로이드의 말처럼 결정되어진 것이 아니라 사회 속에서, 사람들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하고 적응하면서 가꿔지는 것 같다. 나 또한 내 주변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서 보다 원만하고 건강한 성격을 지닐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강박적 인격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특성은>
1. 일의 자질구레한 내용이나 규칙 목록 순서 등에 집착해 본질을 놓친다,
2. 자신의 기준을 채우려다 일을 못 마치곤 한다,
3. 지나치게 일에 열중한다,
4. 지나치게 도덕 양심 가치관에 집착하고 소심하다,
5. 쓰임새가 없어진 낡고 가치 없는 물건을 쉽게 버리지 못한다,
6. 동료나 부하 직원이 자신의 의견에 따르지 않는 것을 견디지 못한다,
7. 구두쇠이며 돈 씀씀이에 인색하다,
8. 성격이 경직되고 완강하다고 평가받는다.
의학적으로는 이들 8가지 기준 중 4가지 이상에 해당되면 그 사람을 강박적 인격 문제가 있다고 진단한다.
<참고문헌>
김현택 외 공저(2004), 심리학, 학지사.
http://www.mybox.happy campus.com/(재구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