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유하의 시 ‘ 콜라 속의 연꽃 ’
(2) 광고와 섹슈얼리티
가. 광고속의 성
나. 사례
다. 한국 광고에 표현된 성
(2) 광고에서 보여지는 여성의 이미지
2. 본론
(1) 유하의 시 ‘ 콜라 속의 연꽃 ’
(2) 광고와 섹슈얼리티
가. 광고속의 성
나. 사례
다. 한국 광고에 표현된 성
(2) 광고에서 보여지는 여성의 이미지
본문내용
.5%)으로 남녀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남성의 경우 25.6%가 직업인으로 나타나는 반면 여성은 단지 7%만이 직업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TV광고에서 여성은 남성에 비해 여전히 주부 또는 어머니라는 전통적인 모습과 역할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단위 : 빈도, %
직업별 성별
남성
여성
직업인
22(25.6)
7(7)
예체능인
12(14.0)
2(2)
주부/어머니, 아버지
12(14.0)
32(32)
현대여성/여대생, 현대남성
40(46.5)
59(59)
합계
86
100
<표 3> 등장인물의 직업분포
* 여성의 직업은 크게 자녀양육과 취사, 세탁, 장보기, 집안청소와 같은 전통적인 일과 자기분야를 개척해 가는 비전통적인 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전통적인 일을 하는 것을 주부 혹은 어머니라고 구분하였고 직장생활을 보여줄 때는 직업인 그리고 상황설정이 일반 현대 여성의 표상을 보여줄 때는 현대여성으로 나누었다. 남성에 대한 구분기준도 이와 유사하다. <표3>은 이러한 구분기준에 의해 남녀등장인물의 직업분포를 분류하였다.
역할비중 성별
남성
여성
주연
63(73.3)
74(74)
조연
16(18.6)
16(16)
엑스트라
7(8.1)
10(10)
합계
86
100
TV광고에서의 남녀의 역할비중을 비교해보면 주연, 조연, 엑스트라 등의 역할비중 비율이 남녀간에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남녀가 동시주연인 경우, 여성은 장식적이고 성적인 대상물로서 묘사되는
<표4> 등장인물의 역할비중 단위: 빈도.%
광고의 성별에 대한 묘사는 성별에 대한 사회적 이식을 규정짓는데 많은 영향을 준다. 많은 상품광고들이 여성의 사회적 역할보다는 전통적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광고에 지배적으로 나타난 여성의 이미지는 아름다운 여성으로서의 이미지와 어머니로서의 이미지가 강하다. 광고품목을 통해 본 이미지를 보면 주로 남성이 기계, 정밀기계, 자동차 등 고가의 상품에 모델로 나온데 비해 여성은 주로 섬유, 의류, 화장품, 세제 등에 모델로 등장했다. 이로부터 광고가 남성중심주의를 강조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고프만(Erving Goffman) 의 조사발표에 따르면 남성은 상품을 설명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 여성은 물건을 손으로 어루만지고 쓰다듬는 역할을 주로 하며, 여성은 낮은 직책으로 묘사되고, 또한 여성은 대체로 바닥이나 침대에 눕거나 기대는 포즈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광고속에서 여성들의 눈은 무엇인가를 보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이 보여지고 있음을 의식하는 모습, 혹은 전혀 초점이 잡히지 않은 채 꿈꾸는 듯한 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무언가를 관찰하고 응시하며 나름대로의 세계관을 갖는 것이 끊임없이 거부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광고 속에서 비췬 여성의 이미지는 항상 자신이 없는 모습이거나 숨으려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사회적으로 의미가 없는 존재로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3. 결론
기존에 광고속 여성은 가사노동자와 성적 대상으로서 주로 등장해왔다. 그러나 최근들어 흥미로운 새로운 여성의 이미지가 등장하였다. 지오다노 광고에 등장하는 여성 모델은 수줍음, 아름다움을 여성의 주요 가치로 삼았던 지금까지의 고정 관념을 여지없이 무너뜨린다. 광고속 여성 모델은 아주 코믹한 자세와 포즈를 연출하기도 하고 심지어 남자들과의 싸움에서 우위를 점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광고는 아직까지는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사회에 진출하는 여성의 수가 급증하고 있고, 그에 따라 여성의 사회적 기여도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성별역할에 대한 언론매체의 기준은 아직까지 기존의 그것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 남녀 평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정보 전달자인 동시에 정보 창조자이기도 한 미디어의 역할이 지대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미디어에서의 성평등을 위해 미디어가 표출하는 여성상이 기존의 왜곡과 편협성을 벗어날 필요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기이다. 미디어에서의 성평등을 위해서는 그 속의 여성에 대한 차별적 이미지를 최소화하고 없애버릴 수 있는 다양하고 경쟁적인 이미지 구현이 중요하다. 또한 여성이 수동적 미디어소비자라는 관념부터 바꾸어야 한다.
참고자료
「섹스어필 광고 섹스어필 미디어」
「성과 미디어」
「광고와 에로티시즘」
「현대소설의 여성성과 근대성 연구」
「현대 문명 진단」
아시아 여성 연구소
http://asianfem.sookmyung.ac.kr/research/unesco-media.htm
단위 : 빈도, %
직업별 성별
남성
여성
직업인
22(25.6)
7(7)
예체능인
12(14.0)
2(2)
주부/어머니, 아버지
12(14.0)
32(32)
현대여성/여대생, 현대남성
40(46.5)
59(59)
합계
86
100
<표 3> 등장인물의 직업분포
* 여성의 직업은 크게 자녀양육과 취사, 세탁, 장보기, 집안청소와 같은 전통적인 일과 자기분야를 개척해 가는 비전통적인 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전통적인 일을 하는 것을 주부 혹은 어머니라고 구분하였고 직장생활을 보여줄 때는 직업인 그리고 상황설정이 일반 현대 여성의 표상을 보여줄 때는 현대여성으로 나누었다. 남성에 대한 구분기준도 이와 유사하다. <표3>은 이러한 구분기준에 의해 남녀등장인물의 직업분포를 분류하였다.
역할비중 성별
남성
여성
주연
63(73.3)
74(74)
조연
16(18.6)
16(16)
엑스트라
7(8.1)
10(10)
합계
86
100
TV광고에서의 남녀의 역할비중을 비교해보면 주연, 조연, 엑스트라 등의 역할비중 비율이 남녀간에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남녀가 동시주연인 경우, 여성은 장식적이고 성적인 대상물로서 묘사되는
<표4> 등장인물의 역할비중 단위: 빈도.%
광고의 성별에 대한 묘사는 성별에 대한 사회적 이식을 규정짓는데 많은 영향을 준다. 많은 상품광고들이 여성의 사회적 역할보다는 전통적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광고에 지배적으로 나타난 여성의 이미지는 아름다운 여성으로서의 이미지와 어머니로서의 이미지가 강하다. 광고품목을 통해 본 이미지를 보면 주로 남성이 기계, 정밀기계, 자동차 등 고가의 상품에 모델로 나온데 비해 여성은 주로 섬유, 의류, 화장품, 세제 등에 모델로 등장했다. 이로부터 광고가 남성중심주의를 강조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고프만(Erving Goffman) 의 조사발표에 따르면 남성은 상품을 설명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 여성은 물건을 손으로 어루만지고 쓰다듬는 역할을 주로 하며, 여성은 낮은 직책으로 묘사되고, 또한 여성은 대체로 바닥이나 침대에 눕거나 기대는 포즈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광고속에서 여성들의 눈은 무엇인가를 보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이 보여지고 있음을 의식하는 모습, 혹은 전혀 초점이 잡히지 않은 채 꿈꾸는 듯한 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무언가를 관찰하고 응시하며 나름대로의 세계관을 갖는 것이 끊임없이 거부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광고 속에서 비췬 여성의 이미지는 항상 자신이 없는 모습이거나 숨으려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사회적으로 의미가 없는 존재로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3. 결론
기존에 광고속 여성은 가사노동자와 성적 대상으로서 주로 등장해왔다. 그러나 최근들어 흥미로운 새로운 여성의 이미지가 등장하였다. 지오다노 광고에 등장하는 여성 모델은 수줍음, 아름다움을 여성의 주요 가치로 삼았던 지금까지의 고정 관념을 여지없이 무너뜨린다. 광고속 여성 모델은 아주 코믹한 자세와 포즈를 연출하기도 하고 심지어 남자들과의 싸움에서 우위를 점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광고는 아직까지는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사회에 진출하는 여성의 수가 급증하고 있고, 그에 따라 여성의 사회적 기여도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성별역할에 대한 언론매체의 기준은 아직까지 기존의 그것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 남녀 평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정보 전달자인 동시에 정보 창조자이기도 한 미디어의 역할이 지대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미디어에서의 성평등을 위해 미디어가 표출하는 여성상이 기존의 왜곡과 편협성을 벗어날 필요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기이다. 미디어에서의 성평등을 위해서는 그 속의 여성에 대한 차별적 이미지를 최소화하고 없애버릴 수 있는 다양하고 경쟁적인 이미지 구현이 중요하다. 또한 여성이 수동적 미디어소비자라는 관념부터 바꾸어야 한다.
참고자료
「섹스어필 광고 섹스어필 미디어」
「성과 미디어」
「광고와 에로티시즘」
「현대소설의 여성성과 근대성 연구」
「현대 문명 진단」
아시아 여성 연구소
http://asianfem.sookmyung.ac.kr/research/unesco-media.htm
키워드
추천자료
영화속 제품배치(ppl)에 대한 연구
제 17대(4&#8228;15 총선) 국회의원 선거과정 속에서 본 정치 선전의 중요성
웰빙음료 펫다운 (FatDown)의 마케팅 전략 분석과 FatDown 광고의 나아갈 방향 제언
아미노업의 광고분석
제일제당(CJ)의 광고전략 DECOMAS, CI
대중문화 속 상품에서의 언어 사용
생활속의마케팅 (기말고사)
교실놀이수업, 교실영어수업 교육자료(지도자료), 퀴즈수업 교육자료(지도자료), 국제광고수...
[성][성 의의][성 이론적 관점][성 형상화][대인관계][광고][인권침해][성에 대한 올바른 이...
인터넷윤리 노트정리 - 인터넷 윤리 의미, 쾌락의 윤리, 사이버 공간의 이익추구, 표현의 자...
중1) <컴퓨터과 교수 학습 과정안 (1/6, p10~13)> Ⅰ. 정보 기기의 구성과 동작 1. 컴퓨터의...
[사업전략][경영전략]사업전략(경영전략, 기업전략)의 전제, 환경, 사업전략(경영전략, 기업...
<글로벌제품의 표준화와 현지화 사례> 성공 사례(맥도날드,코카콜라,빙그레,파리바게트,오리...
청주대 광고로 배우는 아이디어 발상법 기말 (9-1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