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간호 사례보고 지역사회간호 케이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문간호 사례보고 지역사회간호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대상자 간호사정
Ⅱ. 지역사회 간호진단
III. 지역사회 간호계획 (우선순위 결정으로 인한 1순위 선정)
IV. 지역사회 간호수행
V. 지역사회 간호평가
VI.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호사
3. 대상자에게 영양상담실을 통해 식생활을 관리하도록한다.
- 진구 건강증진센터 영양상담실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한다.
대상자의 집
무료
방문 간호사
학생 간호사
보건교육
1. 대상자에게 별도로 준비한 재활 교육 자료을 제공한다.
대상자의 집
무료
방문 간호사
학생 간호사
2. 대상자가 건강증진센터 운동상담실와 연결하여 대상자의 상태에 적절한 운동을 처방받은 후, 운동을 하도록 교육한다.
대상자의 집
무료
방문 간호사
학생 간호사
운동처방사
3. 대상자에게 운동방법과 운동체크리스트 작성방법을 교육하고 매일 운동 후 기록하도록 교육한다.
대상자의 집
무료
방문 간호사
학생 간호사
4. 대상자에게 영양상담실은 연결하여 대상자의 상태에 적절한 식단을 처방받은 후 식단을 관리하도록 한다.
대상자의 집
무료
방문 간호사
학생 간호사
영양사
5. 대상자에게 식단과 식단일기장 작성방법을 교육하고 매일 식생활 관리 후 기록하도록 교육한다.
대상자의 집
무료
방문 간호사
학생 간호사
6. 맞춤형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자발적인 운동, 식단관리를 하도록 한다.
대상자의 집
무료
방문 간호사
학생 간호사
관리
1. 매주 전화를 진행상황과 상태를 확인한다.
(재활운동에 대한 지식, 운동실행 여부, 식생활 관리 여부)
2. 한 달 간격으로 방문하여 제공된 체크리스트를 확인하고 대상자의 만족도를 사정한다. 재교육이 필요하다면 제공한다.
3. 대상자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방문간호사의 부족한 부분을 찾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수행내용
평가자
평가시기
평가방법
평가기준
간호제공
방문 간호사
학생 간호사
대상자
ㆍ1주 후
ㆍ1개월 후
ㆍ3개월 후
ㆍ6개월 후
(최종)
ㆍ방문시 마다
① 1주 후 전화 상담을 통해 운동과 식이 관리를 시작하였는지 확인한다.
② 전화 상담와 1개월마다의 방문을 통해 운동과 식단관리 여부에 대해 사정한다.
③ 전화 상담과 맞춤형 체크리스트를 통해 대상자의 변화를 사정한다.
* 운동, 식단일기 체크리스트 작성
-80%이상 작성시 잘함
-60%이상 작성시 부족
-60%미만 작성시 매우부족
* 체크리스트를 통한 점
수 변화 정도 사정
* 대상자의 만족도
보건교육
방문 간호사
학생 간호사
대상자
ㆍ1주 후
ㆍ1개월 후
ㆍ3개월 후
ㆍ6개월 후
(최종)
ㆍ방문시 마다
① 1주 후 대상자와의 전화 상담을 통해 재활에 대한 지식여부를 확인한다.
② 1개월 후 대상자의 집 방문을 통해 운동수행 여부와 식단수행 여부에 대해 확인한다.
③ 방문 시, 맞춤형 체크리스트를 통해 운동 실천 유무와 식단수행 유무를 확인한다.
▶ 운동관련 50% 이하 실천 시 운동의 중요성 교육을 다시 시행한 후 벽에 부착되어 있는 교육 자료를 자주 보도록 당부한다.
▶ 식단관련 50% 이하 실천 시 식단의 중요성 교육을 다시 시행한 후 벽에 부착되어 있는 교육 자료를 자주 보도록 당부한다.
*맞춤형 체크리스트를 통한 점수 변화 정도 사정
*재활운동과 식이요법에 대한 설문지를 이용한 지식정도 사정
관리
방문 간호사
학생 간호사
대상자
ㆍ1주 후
ㆍ1개월 후
ㆍ3개월 후
ㆍ6개월 후
(최종)
ㆍ방문시 마다
① 체크리스트 수행여부를 사정한다.
② 대상자의 만족도에 대해 사정한다.
*체크리스트 주 단위별, 월 단위별 사정
*대상자 만족도 조사지 사정
3. 평가계획
IV. 지역사회 간호수행수행내용
수행 방법
간호제공
1. 대상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체크하고 현재 상태에 대하여 사정하였다.
- 혈압은 140/70mmHg이며, 식후 2시간 혈당은 139mg/dL로 측정되었고 체중46kg,
골반고관절 수술 후유증에 대해 사정하였다.
2. 대상자에게 재활상담 가능한 기관정보를 제공하여, 기관을 방문하고 재활관리를 시작하도록 하였
다.
- 다음날인 4월 09일에 대상자는 부산진구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하여 운동상담사와 영양사의 상담
을 받고 관리를 시작함
3. 방문 시 마다 운동수행능력에 대해서 확인하고 식이 관리를한다.
- 식이관리 수첩과 재활운동 체크리스트 제공
보건교육
1. 대상자에게 별도로 준비한 전반적인 재활 관련 교육을 제공하였다.
- 보행불안정에 대한 원인과 재활계획, 수행방법 등을 설명.
2. 대상자에게 운동방법 자료를 준비해 교육하였다.
- 대상자에게 적합한 운동방법에 대한 팜플렛을 제공하여 운동방법에 대해 교육함
(올바른 방법으로 하루에 1번 이상 15분 이상 규칙적으로 운동하도록 교육함)
3. 대상자에게 올바른 식생활지침을 준비해 교육하였다.
- 대상자에게 적절한 식이에 대한 팜플렛을 제공하여 식이요법에 대해 교육함
(수술 후 뼈 골진을 촉진시키고, 연골.인대.근육회복에 도움되는 단백질이 많은 쇠고기,
클루크민산이 많이 함유된 장어구이 등을 자주 들고, 파인애플에는 브로멜라인효소가
들어있어 단백질을 녹여 소화하기 쉬운 상태로 만들어 주기때문에 소고기와 같이 들면 좋음)
4. 맞춤형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자발적인 재활관리를 하도록 하였다.
관리
1. 매주 전화를 통한 전반적인 관리를 했다.
(재활에 대한 지식, 운동실천 여부, 식이관리 여부에 대해 질문하여 잘못된 점을 지적하고 고쳐드렸다.)
2. 한 달 간격으로 방문하여 제공된 체크리스트를 확인하고 대상자의 만족도를 사정했다.
V. 지역사회 간호평가평가내용
ㆍ대상자는 1주 후, 계획된 식이관리를 시작 하였다..
ㆍ대상자는 2주 후, 적절한 운동을 처방받고 운동관리를 시작하였다.
ㆍ대상자는 2주 후, 재활 운동과 필요성에 대해 이해하였다.
ㆍ대상자는 1개월 후, 계획된 식사처방을 지키고 식사 일지에 작성하였다.
ㆍ대상자는 1개월 후, 재활체크리스트 운동실천율이 50% 이상되었다.
ㆍ대상자는 3개월 후, 손을 짚지 않고 설 수 있게 되었다.
ㆍ대상자는 6개월 후, 보행기없이 화장실을 갈 수 있다.
ㆍ대상자는 6개월 후, 보행기 없이 5m이상 걸을 수 있게 되었다.
VI. 참고문헌
최연희, 『지역사회보건간호학 I』, 수문사, 2014.03.01
최연희, 『지역사회보건간호학 II』, 수문사, 2014.03.01.
김이순, 『보건프로그램개발 및 평가』, 정담미디어, 2015.02.10.
통계청 『http://www.kostat.go.kr』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7.12.23
  • 저작시기201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13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