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소비문화와 정체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소비문화와 정체성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되어 일본보다 시설이 더 잘되어 있어서 일본 관광객들이 한국에 오면 많이 찾는다고 한다.
한국의 노래방 형태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우선 노래 연습장. 언제나 흥이 있던 우리 국민성을 반영하듯 노래 연습장은 전국적으로 빠른 속도로 퍼져나갔다. 함께 노래를 부르고 즐기며 그 속에서 ‘우리’를 확인하였다. 노래를 잘 부르든 못 부르든 상관없이 마이크를 잡는 순간 무대의 주인공으로 변화한다.
두 번째는 동전 노래방. 여러 사람이 지나가는 길거리나 오락실에 노래방 기계가 설치된다. 소위 ‘오래방’ 이라고 한다. 중, 고등학생부터 직장인까지 많은 사람들이 즐길 수 있는 놀이 문화로 자리 잡는다. 작은 방에 들어가 동전 500원만 넣으면 언제든 즐길 수 있었기에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를 얻었다.
노래방의 특징은 다양하다.
먼저, 회식 후 단합을 위한 뒷 풀이 공간. 많은 사람들을 한자리에 모여 주목 시키고 단합 할 수 있는 공간으로 노래방이 자리 한다. 초, 중, 고등학생들에게는 동창회, 반창회의 뒤풀이 장소로서 역할을 하고 대학생들에게는 단합 공간으로 역할을 한다. 또한 미팅이나 소개팅에서 빠질 수 없는 코스로 노래방을 가며, 직장인들에게도 노래방은 단합을 위한 마지막 코스로 자리 잡는다. 회식 후 술이 어느 정도 취해 기분 좋은 상태에서 노래방을 통해 마지막 기분을 분출하곤 한다.
가수 뺨치는 가수로 가득 찬 노래방. 노래방 문화가 확고하게 자리 잡으며 노래방에서 노래를 부르는 모든 이가 가수 지망생이다. 노래를 잘 부르는 사람이 노래방을 주도하며 노래방에서 노래를 잘 부르기 위해 노래방을 찾는다. 노래를 잘 부르지 못하는 사람은 반주를 맞추고 다음을 위해 준비 한다.
단합의 공간을 넘어서 자신의 PR 공간으로 자리한다. 노래방에서 노래만 부르는 것이 아니라 춤추고 여러 도구를 이용해 자신의 끼를 분출한다. 이와 유사하게 많은 연예 프로를 통해 노래방에서 자신을 망가뜨려 많은 사람들에게 기쁨을 주었다. 여기서 노래를 잘 부르지 않아도 되며 그냥 즐거우면 된다. 마구 소리를 지르며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즐거움을 주고 얻는 공간인 것이다.
멀티형 복합 놀이 공간. 노래방이 이제는 노래만을 부르기 위한 공간이 아니다. 노래방 가기 전 자신이 부를 노래를 미리 홈페이지를 통해 선정하고 만반의 준비를 한다. 최근에는 이런 노래방 문화를 만드는 공간도 생겨나고 있다. 노래만을 부르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UCC세대에 맞게 자신의 노래를 녹음 하고 이를 홈피 BGM으로 하는 오락적 요소가 가미된다. 어느 노래방이든 노래를 부르고 그 기계 홈페이지로 전송하여 자신의 노래를 활용해 음악 편지도 하고 프러포즈도 하며 노래를 위한 공간이 아닌 노래를 활용한 공간으로 자리 잡는다.
지금까지 노래방 문화가 발전해 오는데 있어 많은 문제도 있었지만 가장 한국적으로 가장 오픈 된 긍정적인 놀이 문화로 우리의 노래방은 현재 자리 잡았다. 이 노래방 문화가 앞으로는 어떻게 변화할 지는 알 수 없으나 긍정적인 것은 생활 속의 문화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는 것이다.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12.11
  • 저작시기201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17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