뜻도 모르곡 자주 쓰는 우리말 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뜻도 모르곡 자주 쓰는 우리말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감쪽같다
2) 깍쟁이
3) 산통 깨다
4) 감질나다
5) 숙맥
6) 푼수
7) 아수라장
8) 입에 발린 소리
9) 가라오케
10) 샐러리맨
11) 개떡 같다
3. 결론

본문내용

는 말을 겉치레로 하는 것을 의미하며, 거침없이 말하는 ‘입바른 소리’와는 엄연히 다르므로 주의해야 한다.
9) 가라오케
ㄱ. 철수와 영희는 가라오케 반주에 맞추어 듀엣곡을 불렀다.
ㄴ. 나는 가라오케에 가기 위해 자리에서 일어났다.
ㄷ. 가까운 곳에 가라오케가 새로 생겼다.
세계 공용어가 된 가라오케(KARAOKE)는 빈 것을 가리키는 일본어 ‘가라’와 영어 ‘오케스트라’의 합성어이다. ‘가라오케’란 악단이 없는 가짜 오케스트라, 무인 오케스트라라는 뜻이다. 이것은 본래 음악용어로, 전문 음악인이 레코드를 제작하거나 할 때 사용하던 반주 음악을 가리킨다. 1970년 일본의 고베의 한 술집에서 키보드, 비브라폰을 연주하던 ‘이노우에 다이스케’라는 사람이 일반인들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도록 기계를 개발한 것이 시초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어느 날 한 손님으로부터 사원들의 여행에 함께해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여의치 못한 사정으로 인해 반주 음악을 테이프에 녹음해 가져가도록 한 것이 가라오케 기계가 만들어지게 된 계기다. 이 작은 테이프로 많은 사람들이 기뻐하고, 더불어 자신 또한 악보 외우는 것이 힘들자, 기계로 연주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던 그는 목수와 전기 기술자 등 전문가들에게 의뢰하여 마이크와 음향기기가 달린 가라오케 기계를 만들었다. 후에 큰 인기를 받으면서 이제는 일본, 더 나아가 세계에서 환영받는 가라오케가 되었다. 1980년대 이후 유흥가를 중심으로 빠르게 퍼져나갔고, 오늘날은 노래방을 통해 다양화되고 있다.
10) 샐러리맨
ㄱ. 우리 삼촌은 이십년 째 A무역회사에서 샐러리맨으로 일하신다.
ㄴ. 빠듯한 살림살이에 쫓기듯 사는 샐러리맨.
ㄷ. 그의 꿈은 성실한 샐러리맨이 되는 것이다.
샐러리(salary)는 ‘봉급’을 뜻한다. 고대 로마어인 ‘살라리움’이 변해서 된 말인데, 여기에서 살라리움은 ‘소금을 사기 위한 돈’으로 해석된다. 당시 로마의 병사들은 봉급으로 소금 살 돈인 ‘살라리움’을 지급받았고 ‘살라리움’이 변해서 ‘샐러리’가, 맨(man)이 붙어서 매달 정기적으로 봉급을 받는 일명 봉급생활자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봉급생활자란 노동한 시간이나 생산한 물량에 의해서가 아닌 앞서 말했듯 고정된 단위로 보수를 받는 근로자를 가리킨다.
11) 개떡 같다
ㄱ. 영희는 오전 내내 개떡 같은 기분으로 일했다.
ㄴ. 큰마음 먹고 간 레스토랑에서 개떡 같은 요리만 나와 불쾌했다.
ㄷ. 개떡 같은 기분이라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개떡’은 보릿겨나 밀기울, 메밀겨 등을 반죽해서 밥 뜸을 들일 때 아무렇게나 올려서 찐 떡으로, 찰떡이나 메떡에 비해 하찮은 떡으로 여겨진다. 우중충한 회색빛에 울퉁불퉁한 모양으로, 형편없을뿐더러 맛도 별 것 아닌 개떡이 ‘개떡 같다’는 말로 자주 쓰이는데 하잘것없는 것 또는 마구 만들어진 물건이나 뒤엉킨 상황을 가리킨다.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기도 한다.
3. 결론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사전』과 『정말 궁금한 우리말 100가지』에는 전공자는 물론 일반인에게도 교육적 활용가치가 충분한 자료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었다. 우리말의 어원을 밝히고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금 깨닫게 되었고, ‘이유 없는 무덤은 없다’는 말처럼 가치 없는, 사연 없는 우리말은 없다는 진리도 이번 기회를 통해 배웠다. 특히 순우리말, 한자어, 고사성어 부분에서는 한국인의 가치관 및 의식구조를 파악할 수 있어 좋았다.
<참고문헌>
-박숙희,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사전』, 책이있는마을, 1994
-조항범, 『정말 궁금한 우리말 100가지』, 예담, 2004
-김상규, 『우리말에 빠지다』, 젠북, 2007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8.01.28
  • 저작시기201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43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