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운하 건설사업 찬성 반대 요인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운하 건설사업 찬성 반대 요인분석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주제
3. 연구문제
4. 연구목적
5. 선행연구 조사
6. 분석틀
7. 가설의 설정
8. 표본추출과 자료수집
9. 자료분석방법
10. 유의수준의 설정
11. 경로분석모형
12. 실제 가설의 검정
14. 가설의 수정
15. 경로분석모형의 수정
16. 적합된 로지스틱회귀모형의 도출
17. 결론

본문내용

식이 도출되었다.
로지스틱 회귀식에 포함되지 않은 네 독립변수들의 유의성을 보여주는데, 경제중시정도의 유의성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3) 회귀모형의 적합성 검정
① 모형계수 전체 테스트
이는 상수항만으로 구성된 모형과 독립변수들이 포함된 모형의 적합도 차이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이다. 이 표에서 모형은 포함된 모든 독립변수들의 계수가 0이라는 귀무가설을 검증한 결과이다. 모형의 유의확률이 .009로서 귀무가설(H0:모형은 유용하지 않다)은 기각된다. 따라서 모형에 포함된 독립변수들의 영향력이 0이라고 할 수는 없으며, 모형은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블록은 모형에 마지막으로 투입된 변수의 계수가 0이라는 귀무가설을 검증한 결과이다. 그런데, 본 분석에서는 입력방식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블록 부분의 값들은 모형부분의 값들과 일치하고 있다.
② 모형요약
-2 Log 우도(-2 log likelihood; -2LL)는 모형의 적합도를 나타낸다(-2LL이 낮을 수록 적합도가 높고 -2LL이 0인 경우 적합도는 완벽함을 의미).
독립변수들이 포함된 모형의 -2LL은 24.861로 나타났는데, 독립변수를 포함시키지 않고 상수항만으로 구성된 모형의 -2LL과의 차이가 바로 위의 표에서 모형의 카이제곱, 즉 18.713이다. 이를 역으로 추론하면 상수항만으로 구성된 모형의 -2LL값은 43.574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수항만으로 구성된 모형(-2LL=43.574)에 비하여 독립변수들이 포함됨으로써 모형의 적합도가 더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2LL=24.861).
③ 분류표
반대에 소속된 24명중 20명이 제대로 분류되었고, 찬성에 소속된 11명중 8명이 제대로 분류되었음을 의미한다. 전체 분류 정확도는 80.0%으로 나타났다.
(4) 제 변수들의 대운하 찬/반에 대한 적합 검정
실제로 독립변수들을 모두 진입시켜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독립변수의 유의확률이 앞에서 가정하였던 (α=0.2)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무의미한 변수를 제외해가면서 분석하고자 한다.
① 모든 독립변수 한꺼번에 진입
유의확률을 보면 경제중시정도를 제외하고는 특별히 유의한 변수가 눈에 띄지 않는다. 우선 유의확률이 0.989인 ‘보수(성향)정도’ 변수를 제외한다.
② ‘보수(성향)정도 ; 유의확률 0.989’ 변수를 제외
③ ‘한나라당 지지도 ; 유의확률 0.824’ 변수를 제외
④ ‘청계천 성공 ; 유의확률 0.625’ 변수를 제외
⑤ ‘사전지식정도 ; 유의확률 0.570’ 변수를 제외
⑥ ‘생활비 ; 유의확률 0.467’ 변수를 제외
제시된 모든 변수들의 유의수준이 0.2이하로 떨어졌으므로 진행을 중지한다.
(5) 결과의 해석
① 유의확률
결국 처음 제시한 8개의 독립변수들 중에서 나이, 이명박지지도, 경제중시정도만이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수(성향)정도, 한나라당 지지도, 청계천성공, 사전지식정도, 생활비 등은 다른 독립변수들이 모형에 존재할 때 분류예측력이 낮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가장 유의미한 변수는 ‘경제중시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② Wald
Wald는 (B/S.E.)2 값으로 각 독립변수의 유의성 검증을 위한 통계량이다.
③ Exp(B)
승산도라고 불리는 Exp(B)값은 eB을 의미하는데, 각 변수가 1만큼 증가하는 경우 내부값이 0인 집단(본 연구에서는 반대)에 속할 확률보다 내부값이 1인 집단(본 연구에서는 찬성)에 속할 확률이 몇 배 인가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특히 경제중시정도가 유의적으로 나타났는데, 경제중시정도의 값이 1만큼 커지면 반대에 속할 확률보다 찬성에 속할 확률이 1.089배 커진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14. 가설의 수정
분석결과 처음 설정하였던 8개의 가설 중에서 가설 (1), (5), (7)의 귀무가설만 기각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가설 (1), (5), (7)의 대립가설만 유의한 것으로 채택할 수 있게 되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구가설 (1) : 나이가 어릴수록 대운하 건설을 찬성한다.
연구가설 (5) : 이명박 당선자를 지지할수록 대운하 건설을 찬성한다.
연구가설 (7) : (환경보호보다) 경제발전을 중시할수록 대운하 건설을 찬성한다.
15. 경로분석모형의 수정
(1) 11.에서 상관계수로 예측해 본 경로모형
(2) 최종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들 간의 경로모형
사전지식/관심도라는 변수 대신에 경제발전중시라는 변수가 개입되고, 각 상관계수 값이 약간 바뀌었을 뿐 전체적으로 모형이 비슷하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따로 변수들 간의 계수를 구하여 연구결과를 예측해보는 것도 나름 의미 있는 작업이었음을 알 수 있다.
16. 적합된 로지스틱회귀모형의 도출
지금까지의 분석을 토대로 적합된 로지스틱 회귀모형 방정식을 만들어 볼 수 있다.
앞에서 설정된 모형을 다시 보면 다음과 같다.
[로지스틱회귀모형 logit(ca)= f(ag, es, st, ls, et, pi)]
본 설문조사와 분석기법에 의해 추정된 모수와 상수를 토대로 로지스틱회귀모형을 적합하면 다음과 같다.
대운하 찬반의견의 로지스틱회귀모형 :
logit(ca)=-0.731 +(-0.340*나이)+(0.086*경제중시정도) +(0.041*이명박지지도)
or, logit(ca)=-0.731 +(-0.340*ag)+(0.086*et)+(0.041*ls)
(ag : 나이, et : 경제발전중시정도, ls : 이명박 당선자에 대한 지지도)
17. 결론
결론적으로 조사대상 집단은 나이가 많을수록 대운하 건설 사업을 반대하고, 경제발전을 중시하는 정도나 이명박 당선자에 대한 지지도가 높을수록 대운하 건설 사업을 지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같은 결론을 일반화시키기는 어렵다. 이번 연구는 유의수준을 0.05가 아닌 0.2로 잡은 것에서부터 내재적인 결함을 가지고 시행되었으며, 표본 수가 적은데다가 비슷한 나이와 성향을 가진 집단을 대상으로 수집하였기 때문에 외적 타당도도 낮을 수밖에 없다. 차후에 보다 많은 표본으로 전문적인 연구를 하게 될 기회가 온다면, 더 엄밀한 분석기법을 바탕으로 타당한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5.01.03
  • 저작시기2015.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43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