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저자소개
2. 내용요약
3. 느낀점
4. 저자에게 쓴 편지
2. 내용요약
3. 느낀점
4. 저자에게 쓴 편지
본문내용
신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렇듯 우리나라는 조직의 성과평가기준에 대해 매우 불신하고 있습니다. 이런 현실에서 과연 성과연봉제가 제대로 이루어질지가 의문입니다. 아직도 우리나라의 대다수의 대기업들은 연봉협상을 E메일로 처리하며, 노동자들은 그저 클릭을 하여 동의만 할 뿐입니다. 지식노동자들의 대부분은 근속년수를 기준으로 하여 연봉을 받고 있지, 성과와 능력에 기반을 두어 임금을 받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능력을 얻는 것도 부모의 재력이 뒷받침이 되어야 능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기회의 공정함이 있어야 하지만, 부모의 재력에 따라 그 능력의 차등이 발생한다면 이는 공정한 기회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아직 사회가 이러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저자께서 개인의 성과에 대한 평가를 기반으로 하여 급여를 주어야 한다고 주장한다면, 아직 이르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성과 제를 도입하기 이전에 공정하고 투명한 성과평가 기준이 있어야 하며, 이는 기업의 경영자와 노동자가 같이 협상하여 정해야 합니다. 일방적인 평가는 신뢰도의 문제가 발생하고 권력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공정한 성과평가와 과정이 있어야만 성과제가 가능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추천자료
기업은행 텔러 자기소개서 [그룹사 인사팀 출신 현직 컨설턴트 작성]
금호건설 지원자 자기소개서 [그룹사 인사팀 출신 현직 컨설턴트 작성]
기업은행 기업영업 지원자 자기소개서 [그룹사 인사팀 출신 현직 컨설턴트 작성]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학생들의 자기개발 실태에 관한 의식조사
21세기 자기경영
공병호의 자기경영노트를 읽고나서
SI사업 지원자 자기소개서 [그룹사 인사팀 출신 현직 컨설턴트 작성]
국제매너와 자기관리
자기자성계발안
방통대 조직행태론 자기실현적 인간모형 인간관리전략
(자기 주도적 학습)에 기반한 에듀테인먼트 행복공장 만들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