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연애의 시대 _ 권보드래 지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독후감] 연애의 시대 _ 권보드래 지음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연애라는 말

기생과 여학생

구여성과 신여성

연애와 독서

연애편지의 세계상

육체와 사랑

연애의 시대 또는 개조의 시대

본문내용

연애의 시대 또는 개조의 시대
급전이 이루어진 것은 31운동이 이후였다. 절망적이었기에 더욱 절실했던 개혁의 과제는
31운동이후 낙관적 전망 속에 재배치되었다. 근대산업사회는 파산을 선고받았고, 생활과
산업의 예술화가 주창되었다. 피비린내 아는 전장대신 따스한 사랑의 터전에서 살 수 있게
되었다고 했다. 1917년 러시아 혁명이 성공하고 사회주의 운동이 급성장하고 있었지만, 일반
적으로 신생소비에트를 막연한 동경으로 바라볼 때였다. 한국의 연애는 이 짧은 시기, 인류
의 태반이 ‘사랑’과 ‘평화’를 믿었던 기이한 시대에 탄생했다.
이 시대는 고작 2,3년 유지된 후 사라지고 말았지만, 이때 번져간 연애에의 열망은 지금껏
뜨거운 듯하다. 삶이 달라졌는데도 감정과 사상이 달라졌는데도, 1920년대 초반을 지배했던
‘연애’를 대치할만한 사랑의 새로운 담론은 등장하지 않았다. 그러나-우리는 더 이상‘ 사랑’
과 ‘평화’의 전망을 믿지 않는다. 그렇지 않은가? 그렇다면 아전인수격으로나마 그 전망에
기대고 있었던 1920년대의 연애를 웃어댈 만한 자격이 우리에게 있을지. ‘우리’-이 방자한
대명사 속에 갇혀 있는 ‘우리’ 줄 누군가가 혹 그 자격을 개척해가고 있을는지도.
1920년대. 우리가 알기에는 그저 일제하의 식민지시대였던 그때 많은 사람들이 열광했었던
것이 있다. 한쪽에서는 애국지사들이 독립을 외치고 있었고, 다른 한 쪽에서는 먹을 것이 부
족한 아이들이 거리를 헤매고 있었고, 그 가운데서 서양의 새로운 문물을 온 몸으로 받아들
인 사람들이 있다. 새로운 가치관과 기존의 가치관이 묘한 모습으로 혼합되어 있던 시기, 사
람들은 너나 할 것 없이 학교로 몰려갔고, 거리의 지식인들은 절망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한
채 부랑자가 되어 버렸다. 사람들은 현실의 절망을 사랑으로 보상받으려 했다. 삶이 치열해
질수록 현실이 아닌 좀 더 황홀하고 쾌락적인 사랑을 추구하는 것 마냥 이 시대의 모던-한
사람들은 연애의 재미에 푹 빠져버렸다. 어느 시대에나 연애는 어두운 현실과는 관계없이
낭만적이고 즐거운 것이며 신문의 조그마한 칸 하나 정도는 차지할 수 있을 만큼 재미난 것
이기도 하다. 무거운 정치 사회면은 거들떠보지도 않고 스포츠나 연예계 소식을 먼저 찾는
현대인들처럼 1920년대, 사람들은 새롭게 들어온 연애의 바다 속에서 현실을 잊고자 했
다. 역사상 격동기는 혁명과 함께 연애가 함께 했다. 혁명이든 연애든 그 본질은 똑같다. 기
존의 관계를 새롭게 꾸며 보고픈 것. 그런 의미에서 연애는 결코 하찮은 것이 아니다. 연애
에의 열망에서 살아 꿈틀거리는 새로운 힘과 열정을 느낀다. 암울한 문화정치의 시기, 정치
와 문화와 연애가 가장 왕성하게 상호작용을 하던 시기, 1920년대는 그런 시대였던 듯하다.
구여성과 신여성이 함께 존재하고, 한복에 구두를 신고 중절모를 쓴 할아버지가 있고, 연애
에 목숨 건 사내들이 있다. 그 시대는 그러했다.
※참고문헌※
김기진,「관능적 관계의 윤리적 의의: 연애문제소고」,『조서문사의 연애관』, 설화서관, 1926,
「여학생 제복과 교표 문제」,『신여성』1권, 1923
「조각보」,『신여성』1권, 1923.10
나도향, 「환희」,『한국문학대전집』4, 태극 출판사, 1976,
이광수「혼인론」,『이광수 전집』17, 삼중당, 1962
양윤식, 「현대 조선의 혼인법식」,『삼천리』4권 9호, 1932
M. Mcluhan, 임상원 옮김,『구텐베르크 은하계』,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이규태,『개화백경』1, 신태양사, 1969
황우석,「연애」,『개벽』32호, 1923
김기진, 「마음의 폐허: 겨울에 서서」,『개벽』4권 12호, 1923.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11.19
  • 저작시기201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62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