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학] 아름다움과 대칭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학] 아름다움과 대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 나에게 가장 아름다운 것이란?
본론
일상에서의 대칭
수학에서의 대칭
과학에서의 대칭(입자와 물질입자의 대칭)
우주의 탄생과 현대 우주의 대칭
결론 - 느낀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하튼 코페르니쿠스는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한다고 주장하였으며 지구가 우주에서 특별한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처음으로 간파한 사람이었다.
1918년 미국의 천문학자 할로 섀플리는 은하수 안에서 발견된 구상성단 69개의 위치를 측정하여 은하 지도를 작성했는데 여기서 태양계는 은하수 안에 지극히 평범한 일부이며 태양은 은하수 내 수많은 별들 중에 하나라는 사실이 밝혀진다. 또한 1920년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이 새로운 은하를 발견함으로써 우리가 속해있는(태양계) 은하는 우주에 흩어져 있는 수천 억 개 중 하나임을 발견한다. 우리는 우주의 중심이 아니었으며 우주는 우리의 상상이상으로 광대한 존재였던 것이다! 지금까지 관측된 바로는 우주에 수조 개의 은하가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들은 전체 공간에 놀라울 정도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대칭적용어로 표현하면 우주는 균질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 은하 google검색 이미지 참조
아름다운 우주의 모습도 대칭의 법칙에 의해 균질적으로 구성되어있다
결론 - 느낀점
처음엔 큰 기대 없이 일상 적으로 느끼는 선대칭, 회전대칭 정도의 대칭성을 생각하며 공부를 시작했다. 하지만 책을 읽을수록 현대 물리학을 이끌어 나가는 핵심이 대칭이며 만물의 구성, 우주의 탄생과 법칙 까지도 누군가 억지로 맞춘 듯 대칭을 이루고 있다는데 놀랐다. 그리고 아름다움과 대칭을 연관하며 탐구해 나가는 재미도 있었다.
대칭에 대하여 공부하다가 문득 데칼코마니가 떠올랐다. 초등학교 미술시간에 종이에 물감을 찍어 그려냈던 데칼코마니가 내 인생 처음으로 누군가에게 평가를 받고 전시한 예술작품이었다. 붓 한번 잡아 본 적 없고 연필로 마구잡이로 낙서하던 것이 전부인 아이가 종이 위에 물감을 마구 짜서 반을 접었더니 아름다운 작품이 탄생했다. 대칭의 미학적 가치는 상당히 높은 듯하다.
구석기 시대 벽화 그림을 보면 인간은 문명의 발달과 상관없이 미술적 표현을 하고자하는 존재인 듯하다. 이런 모습을 보고 미술과 예술은 자연의 모방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존재한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자연의 기본 원리는 대칭이다. 우리가 보고 느끼는 자연, 예술, 미술의 아름다움 또한 대칭으로부터 왔을 지도 모른다.
위 사진은 내 마음속 남아있는 바다에서 본 하늘의 모습과 가장 비슷한 사진이다. 미학적 지식이 전혀 없었으며 아름다움에 관심도 없었던 나였지만 바다위에서 보았던 밤하늘은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날 내가 느꼈던 밤하늘의 아름다움 또한 우주의 대칭 덕분이며 나는 대칭을 가장 아름다운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우주의 탄생과 대칭, 히로세 다치시게 지음, 김슬기 옮김, 승산 출판사, 2011
백미러 속의 우주, 데이브 골드버그 지음, 박병철 옮김, 해나무 출판사, 2013
대칭과 아름다운 우주, 리먼 레더먼, 크리스토퍼 힐 지음, 안기연 옮김, 승산 출판사, 2012
스티븐 호킹의 우주, 존 보슬로우 지음, 홍동선 옮김, 책세상 출판사
양자 역학으로 본 우주, 사토 후미타카 지음, 김재영 옮김, 아카데미 서적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03.07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69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