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가복음과 공관서] 마가복음의 문학적 구성과 모티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가복음과 공관서] 마가복음의 문학적 구성과 모티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2:10과 2:19-20은 예수 안에서 일어나는 하나님의 현존과 일을 보여주려는 선언일 수 있다. 2:20의 언급은 예수의 죽음 자체를 암시할 뿐만 아니라 예수를 죽이려는 바리새인들과 헤롯당의 계략을 일차적으로 암시한다.
네 번째 장면은 제자들의 행동에 따른 반감을 예수에게 직접 제기하는 바리새인을 보여주고 있다. 이 장면이 보여주는 반감의 핵심은 예수의 제자들에 의한 안식일 법 위반(2:23-28)이다. 비록 2:24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마가복음의 문맥은 이것이 예수에 대한 적대하는 마음을 보여주는 핵심적인 모티프임을 보여준다. Vernon K. Robbins, Jesus the Teacher: A Socio-Rhetorical Interpretation of Mark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4), 112-113.
다섯 번째 장면에서 바리새인들은 예수를 향한 반감을 더 강화하려고 좀 더 치밀하게 예수를 주시하고 있다. 다섯 번째 장면의 핵심은 두 가지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적대자의 입장에서 이 장면의 핵심은 안식일이지만, 예수의 입장에서 이 장면의 핵심은 생명을 살리는 하나님의 일에 있다. 장면의 구성과 배열은 안식일 위반이 문제의 핵심이 아니라 그들의 완악함이다. 왜냐하면 안식일에 예수가 치료를 행했다는 것은 이 장면이 처음이 아닐 뿐만 아니라(1:21-31) 안식일에 사람을 구하는 것은 허용되었기 때문이다. E. Lohse, “sa,bbaton,” TDNT, vol. 7. (Grand Rapids: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71), 14.
다섯 번째 장면에서 안식일이 문제의 핵심이 아닌 것은 마가복음의 구성과 배열에서도 이미 밝혀진 것이다. 예수는 더 이상 안식일을 위반한 범죄자가 아니다. 왜냐하면 예수는 안식일의 주인으로서 안식일 자체를 능가하는 존재이며(2:28) 하나님의 대리자로 선언되었기 때문이다(2:5, 19). 3:6의 적대하는 마음의 절정은 점진적 발전이 아니라 완악함이라는 그들의 특성 때문이다.
Ⅴ. 나가는 말
마가복음의 시작말은 문학적인 측면과 구조적인 측면에서 장면들의 배열을 하나의 단락으로 아주 치밀하게 구성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마가는 시작말에서 의도한 것을 이루었다. 시작말에서 마가는 메시아로서 예수의 역할을 충분히 보여주었으며 또한 일어날 일에 대하여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도 충분히 암시하였다: 첫째, 시작말은 예수가 누구인지 그리고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말한다. 둘째, 하나님의 아들로서 예수는 악한 것을 파멸하며,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알리고 있다. 마지막으로, 그것에 대한 청중의 반응을 기대하고 있다. 마가복음의 첫 단락은 권위를 갖고 있는 하나님의 아들로서 예수를 보여주었다. 하나님의 권위를 가지면서 예수는 하나님의 새로운 프로그램을 조직할 수 있는 최종적인 권위를 갖고 있으며 그것에 관련된 것을 가르칠 수 있다(2:18-22).
2:1-3:6은 예수의 죽음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일어났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적대자들의 적대하는 마음은 모순 속에 있다. 예수를 죽이려는 의도는 있었지만, 예수에게 어떤 결점도 찾지 못했다. 그런 점에서 논문은 이러한 긴장감을 역설적 긴장감으로 부르는 것이다. 이 단락이 예수의 죽음뿐만 아니라 기독론의 한 측면을 보여주고 있다(2:10, 28). 이러한 인자 어록은 1장에서 보여준 예수의 권위에 연결된 것이다. 이러한 권위를 갖고 있는 인자는 고난 받고 죽을 인자이다(8:21, 9:31, 10:33-34). 3:6의 결론은 이 장면의 결론으로서 충분히 기능할 뿐만 아니라 이 단락 전체의 결론으로도 손색이 없다. 예수의 행동은 이러한 결과로 이끌고 있다. 그런 점에서 마가의 배열은 예수를 죽음의 상황으로 인도하는 행동을 재현하는 신학적 의도 안에 있다. 마가복음의 후반부에서 드러날 예수의 죽음을 역사적 사건으로 만들기 위해 저자는 장면들을 배열한 것이다.
- 함께 생각해 볼 질문들 -
1. 저자에 의하면 그리스 비극과 마가복음의 시작말은 많은 유사점이 있다. 1세기 당시 문학 유형들과 문학적 구성에 대하여 토론해 보자.
2. 등장인물들의 반응과 청중의 행동으로 의도되어진 마가의 제자도에 대해 토론해 보자(예수를 따르는 것을 중심으로).
3. 마가복음의 구성에 핵심적인 모티프인 주인공의 정체성과 그에 대한 반응 외에 마가복음의 그 밖의 모티프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8.03.17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88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