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음악과 교육
(1) 성격
(2) 목표
(3) 변천과정
2. 초등학교 음악교육
(1) 성격
(2) 내용체계
가. 이해 영역의 내용 체계
나. 활동 영역의 내용
(3) 변천과정
3. 논의
(1) 성격
(2) 목표
(3) 변천과정
2. 초등학교 음악교육
(1) 성격
(2) 내용체계
가. 이해 영역의 내용 체계
나. 활동 영역의 내용
(3) 변천과정
3. 논의
본문내용
내내 다른 영역에는 소홀히 한 채 가창 위주의 수업만 한다든지 혹은 악기를 중요시하는 교사는 악기에만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현행 음악교육의 영역이 가창, 감상. 창장, 기악의 네 가지 영역으로 확연히 구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영역이 골고루 교육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균형적인 음악수업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교사의 자질과 더불어 음악수업에 대한 충분한 시수 마련이 시급하다고 생각한다.
넷째, 학년마다 중복되고 누락되는 수업을 방지해야 한다.
위의 내용체계의 내용을 보면 학년별로 연계성이 있지만 거의가 중복이 되는 수업이다. 입시위주의 수업이다 보니 초등학교 수업에도 음악수업보다는 국, 영, 수 등 주요과목에 더욱 비중을 많이 두기 때문에 시간이 적고 더 보다 진보적인 것을 배우기보다는 조금조금씩 더디게 새로운 것을 배우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 문제는 정책적으로 앞에서 이야기 했던 것과 같게 되지만 음악수업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음악 수업을 늘리는 방안이 필요 할 것이다.
다섯째, 현대는 과거의 그 어느 시대보다도 창의성이 요구되는 시기이다. 음악교육에 있어 창의성은 중요시되고 있다. 음악교육에 있어서 ‘창작’은 근사한 곡의 ‘작곡’으로만 인식되어 교사에게 있어서도 음악시간의 창작은 어려운 부분일 줄 안다. 그리고 창작을 다루는 교사들도 학생들 수준은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떼우는 식의 창작 교육이 되는 식이 많다.
초등학교 3,4학년인 아이들에게 시를 주고 8마디나 16마디짜리 곡을 만들어 오라고 하는 과제가 서슴없이 내주는 실정이다. 또한 선생님이 피아노를 치고 그 다음에 이어갈 음악을 창작해 오라는 식의 과제 말이다. 솔직히 이런 수업방식은 지금 전공생인 나에게도 힘든 과제이다. 그런데 그런 과제를 서스름 없이 겨우 기본적인 음표와 박자를 아는 어린 학생들에게 그런 것을 요구한 다는 것은 얼마나 잘못되고도 크게 잘못된 일이겠는가!
즉흥연주와 가사창작은 음악수업에 있어서 잘된다면 창의적 욕구를 높일 수 있고, 음악과 학습 흥미를 높일 수 있다. 그러기 위해 교사들이 노력해야 하고 학생들의 학습수준을 고려하여 창장영역의 범위를 잘 결정해야 한다.
지금 까지 초등학교 음악교육에 대하여 알아보고 나의 논의를 펼쳐보았다.
초등학교의 음악수준이 곧 우리나의 음악교육 수준을 좌우한다고 볼 수 있다. 아니 초등학교뿐만 아니라 중고등 음악교육도 마찬가지이다. 우린 알고 있다. 기술적인 수업보다는 체험학습 창의적인 수업이 좋다는 것을 안다. 하지만 그것이 말처럼 교실 안에서는 그렇게 실행되지 않고 있다. 아니 바꿔 말하면 문서화 되어 있는 것처럼 실행하기에는 음악수업의 시간과 학교에 주어지는 음악수업의 재료들이 턱없이 모자르는 실정이기에 지금으로서는 창의적이고 다양한 활동을 통한 음악교육이 될 수 없는 상황이다.
나는 현재 이런 교육환경에서 심각한 진통을 겪고 있는 음악교육이 균형적인 으로써 그 입지를 재정립하고 활성화를 이루게 하기 위해 교육을 이끄는 담당교사들의 자질양성과 역할에 힘써야 할 것을 부탁한다.
넷째, 학년마다 중복되고 누락되는 수업을 방지해야 한다.
위의 내용체계의 내용을 보면 학년별로 연계성이 있지만 거의가 중복이 되는 수업이다. 입시위주의 수업이다 보니 초등학교 수업에도 음악수업보다는 국, 영, 수 등 주요과목에 더욱 비중을 많이 두기 때문에 시간이 적고 더 보다 진보적인 것을 배우기보다는 조금조금씩 더디게 새로운 것을 배우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 문제는 정책적으로 앞에서 이야기 했던 것과 같게 되지만 음악수업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음악 수업을 늘리는 방안이 필요 할 것이다.
다섯째, 현대는 과거의 그 어느 시대보다도 창의성이 요구되는 시기이다. 음악교육에 있어 창의성은 중요시되고 있다. 음악교육에 있어서 ‘창작’은 근사한 곡의 ‘작곡’으로만 인식되어 교사에게 있어서도 음악시간의 창작은 어려운 부분일 줄 안다. 그리고 창작을 다루는 교사들도 학생들 수준은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떼우는 식의 창작 교육이 되는 식이 많다.
초등학교 3,4학년인 아이들에게 시를 주고 8마디나 16마디짜리 곡을 만들어 오라고 하는 과제가 서슴없이 내주는 실정이다. 또한 선생님이 피아노를 치고 그 다음에 이어갈 음악을 창작해 오라는 식의 과제 말이다. 솔직히 이런 수업방식은 지금 전공생인 나에게도 힘든 과제이다. 그런데 그런 과제를 서스름 없이 겨우 기본적인 음표와 박자를 아는 어린 학생들에게 그런 것을 요구한 다는 것은 얼마나 잘못되고도 크게 잘못된 일이겠는가!
즉흥연주와 가사창작은 음악수업에 있어서 잘된다면 창의적 욕구를 높일 수 있고, 음악과 학습 흥미를 높일 수 있다. 그러기 위해 교사들이 노력해야 하고 학생들의 학습수준을 고려하여 창장영역의 범위를 잘 결정해야 한다.
지금 까지 초등학교 음악교육에 대하여 알아보고 나의 논의를 펼쳐보았다.
초등학교의 음악수준이 곧 우리나의 음악교육 수준을 좌우한다고 볼 수 있다. 아니 초등학교뿐만 아니라 중고등 음악교육도 마찬가지이다. 우린 알고 있다. 기술적인 수업보다는 체험학습 창의적인 수업이 좋다는 것을 안다. 하지만 그것이 말처럼 교실 안에서는 그렇게 실행되지 않고 있다. 아니 바꿔 말하면 문서화 되어 있는 것처럼 실행하기에는 음악수업의 시간과 학교에 주어지는 음악수업의 재료들이 턱없이 모자르는 실정이기에 지금으로서는 창의적이고 다양한 활동을 통한 음악교육이 될 수 없는 상황이다.
나는 현재 이런 교육환경에서 심각한 진통을 겪고 있는 음악교육이 균형적인 으로써 그 입지를 재정립하고 활성화를 이루게 하기 위해 교육을 이끄는 담당교사들의 자질양성과 역할에 힘써야 할 것을 부탁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우리나라 교육과정과 교육내용 및 교육평가
[영어교과평가][영어교육평가][영어과평가]영어과평가(영어교육평가)의 목적, 영어과평가(영...
수학과 수준별교육과정(학습, 수업)의 의미와 취지, 수학과 수준별교육과정(학습, 수업)의 뉴...
[수준별학습]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수업) 의의,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수업) 분류...
미술과 교육과정의 변천과 개정, 고등학교 미술과(미술교육) 10학년 내용, 고등학교 미술과(...
사회과 수준별수업(학습, 교육과정) 의미와 이론적 배경, 사회과 수준별수업(학습, 교육과정)...
재량활동(재량활동교육과정)의 확대의미와 기본방향, 재량활동(재량활동교육과정)의 편성방침...
재량활동(재량활동교육과정)의 개정배경과 필요성, 재량활동(재량활동교육과정)의 기본방향과...
학교교육과정의 특징과 필요성, 학교교육과정의 구성방침과 편성운영절차, 학교교육과정의 조...
재량활동교육과정의 특징, 재량활동교육과정의 목적, 재량활동교육과정의 편성, 재량활동교육...
특별활동교육과정의 개념, 특별활동교육과정의 목표, 특별활동교육과정의 교육중점, 특별활동...
재량활동교육과정의 성격, 재량활동교육과정의 목표, 재량활동교육과정의 편성운영, 재량활동...
학교교육과정의 성격과 필요성, 학교교육과정의 편성운영방향, 학교교육과정의 관련변인, 학...
[재량활동]재량활동(재량활동교육과정)의 성격과 목적, 재량활동(재량활동교육과정)의 교육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