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Ⅱ. 본론
Ⅲ. 결론
본문내용
우
Solumedrol
부신호르몬제, 내분비 장애
H
제산제, 소화성궤양치료제
CTRX(Ceftriaxone)
항생제
Amikacin
항생제
Orfil
항간질제
Naloxone
마약길항제; 진통, 진정작용, 행복감
DCF(diclofenac)
해열, 진통, 소염제
Macperan
구토 예방(항구토제)
Bisolvon
기침, 감기용제, 진해거담제
Vit K
혈액응고작용, 출혈성질환 예방
Botropase
출혈(특히 비출혈)예방
Labetalol
혈압강하제
Ⅱ. 결론
우리는 ER을 통해 admission된 이순이님의 상태를 더 자세히 알기 위해서 order sheet와 progress note, operation record, 통합검사결과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order sheet를 확인한 결과 V/S이나 NPO, 체위변경, side rail올리기, 머리상승 등을 통해 환자의 안위를 증진시켜주고 산소흡인, 신경계 증상 관찰, I&O check 등 수술 후의 간호를 제공해 줘야 함을 알게 되었다. 또한 약물로는 N/S를 주입하여 수분 및 전해질 균형을 맞춰주고 mannitol을 주입하여 두 개내압 상승을 예방하며, Amikacin같은 항생제를 투여해 줘야 함을 알게 되었다. PROGRESS NOTE에서는 대상자의 주 증상은 오른쪽 편마비이고 평소 당뇨가 있던 환자로서 금일 오전부터 두통, 어지러움과 같은 증상으로 내원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현 병력으로는 고혈압과 당뇨가 있으나 약물 치료나 병원에서 치료는 받지 않았다고 하여 환자가 현재 자신의 질병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고 자가간호 또한 부족한 상태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3년 전 갑상선 암 진단받고 갑상선 전 절제술의 과거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졸려보이는 모습과 약간의 경부경직이 있어 활동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Operation Record에서는 환자의 진단명이 고혈압성 기저핵 뇌출혈이라는 것과 국소마취를 통해 EVD를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어서 수술 후 간호가 필요함을 느꼈고 마지막으로 통합검사결과지에서는 뇌혈관 조영술과 CT촬영을 통해 배액튜브 삽입 후 대뇌의 좌측 혈종이 부분적으로 해결됨을 알 수 있었다.
우리는 이를 통해 이순이님의 결과지를 제대로 이해하여 이순이님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환자의 과거력이나 현 병력을 고려하여 수술 후 간호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Solumedrol
부신호르몬제, 내분비 장애
H
제산제, 소화성궤양치료제
CTRX(Ceftriaxone)
항생제
Amikacin
항생제
Orfil
항간질제
Naloxone
마약길항제; 진통, 진정작용, 행복감
DCF(diclofenac)
해열, 진통, 소염제
Macperan
구토 예방(항구토제)
Bisolvon
기침, 감기용제, 진해거담제
Vit K
혈액응고작용, 출혈성질환 예방
Botropase
출혈(특히 비출혈)예방
Labetalol
혈압강하제
Ⅱ. 결론
우리는 ER을 통해 admission된 이순이님의 상태를 더 자세히 알기 위해서 order sheet와 progress note, operation record, 통합검사결과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order sheet를 확인한 결과 V/S이나 NPO, 체위변경, side rail올리기, 머리상승 등을 통해 환자의 안위를 증진시켜주고 산소흡인, 신경계 증상 관찰, I&O check 등 수술 후의 간호를 제공해 줘야 함을 알게 되었다. 또한 약물로는 N/S를 주입하여 수분 및 전해질 균형을 맞춰주고 mannitol을 주입하여 두 개내압 상승을 예방하며, Amikacin같은 항생제를 투여해 줘야 함을 알게 되었다. PROGRESS NOTE에서는 대상자의 주 증상은 오른쪽 편마비이고 평소 당뇨가 있던 환자로서 금일 오전부터 두통, 어지러움과 같은 증상으로 내원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현 병력으로는 고혈압과 당뇨가 있으나 약물 치료나 병원에서 치료는 받지 않았다고 하여 환자가 현재 자신의 질병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고 자가간호 또한 부족한 상태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3년 전 갑상선 암 진단받고 갑상선 전 절제술의 과거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졸려보이는 모습과 약간의 경부경직이 있어 활동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Operation Record에서는 환자의 진단명이 고혈압성 기저핵 뇌출혈이라는 것과 국소마취를 통해 EVD를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어서 수술 후 간호가 필요함을 느꼈고 마지막으로 통합검사결과지에서는 뇌혈관 조영술과 CT촬영을 통해 배액튜브 삽입 후 대뇌의 좌측 혈종이 부분적으로 해결됨을 알 수 있었다.
우리는 이를 통해 이순이님의 결과지를 제대로 이해하여 이순이님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환자의 과거력이나 현 병력을 고려하여 수술 후 간호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성인간호학 케이스, 농흉 케이스,3가지 간호진단
[간호학] 자극성 장증후군 전염성 장질환
[간호학] 자연유산(Spontaneus abortion)과 간호
[간호학] preeclampsia 간호관리 사정과 간호진단
[간호학] 간호사와 관련 직원간의 관계 윤리
[간호학] 폭식증
[간호학] 청소년기의 심리적 특징
[간호학] 수면의 증진 방법
[간호학] 산업재해 대책과 재해보상
[간호학] 냉요법
[간호학] 치아장애와 간호 (치태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치아응급)
[간호학] 위장관 삽관과 간호
[간호학] 사랑 이성교제 결혼
[간호학] 호흡기계 내분비계 신경계 변화에 따른 징후
소개글